목차
1. 주요내용 및 논지 요약
2.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3. 새로운 문제 제기
2.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3. 새로운 문제 제기
본문내용
신문에 보도되었다. 이승만과 우익단체는 물론 공산당도 이에 역시 격분하였다. 1946. 1. 3일 민족통일자주독립촉성시민대회의 조직을 하면서 서울시 인민위원회와 외곽단체인 반파쇼공동투쟁위원회가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조공경기도당청년부 책임자였던 박일원에 따르면 모스크바 결정이 발표된 직후 당 정치국원 강진이 서울주재 소련 부영사인 샤프신과 장시간 회담을 하였고, 박헌영이 비밀리에 평양을 다녀온 후 나동욱의 집에서 중앙위원회 확대회의를 한 후 그 문제를 당에 대한 충성문제로 만들어 다대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스코바결정 절대 지지를 강압적으로 결의시켰다. 이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책임비서의 명의로 된 지시문이 산하의 모든 지부조직에 하달되었다.
2.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 한반도에서의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 한국에서 좌익이 발생하게 된 배경
- 남한 공산당의 내부의 투쟁과 강화
- 미 군정당국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의 기본방향은 무엇인가?
- 소련이 김일성을 등장시키게 된 배경
- 전쟁의 발발에 박헌영을 비롯한 국내 좌익세력의 역할은 무엇인가?
- 정전후 박헌영일파의 숙청의 이유
3. 새로운 문제 제기
- 한반도 분단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미국인가, 소련인가?
- 한국내의 자생조직을 합치거나 조직화를 왜 추지하지 못했는가?
- 신탁통치에 대한 공산당(북조선)에서 찬탁으로 돌아서게 된 경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증명이 필요함.
- 중경 임시정부는 왜 정부조직을 갖추고 있고 국제기구에서도 활동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 점령군당국으로부터 한국의 대표세력으로 인정받지 못 하였나?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조공경기도당청년부 책임자였던 박일원에 따르면 모스크바 결정이 발표된 직후 당 정치국원 강진이 서울주재 소련 부영사인 샤프신과 장시간 회담을 하였고, 박헌영이 비밀리에 평양을 다녀온 후 나동욱의 집에서 중앙위원회 확대회의를 한 후 그 문제를 당에 대한 충성문제로 만들어 다대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모스코바결정 절대 지지를 강압적으로 결의시켰다. 이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책임비서의 명의로 된 지시문이 산하의 모든 지부조직에 하달되었다.
2.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 한반도에서의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 한국에서 좌익이 발생하게 된 배경
- 남한 공산당의 내부의 투쟁과 강화
- 미 군정당국의 한반도에 대한 정책의 기본방향은 무엇인가?
- 소련이 김일성을 등장시키게 된 배경
- 전쟁의 발발에 박헌영을 비롯한 국내 좌익세력의 역할은 무엇인가?
- 정전후 박헌영일파의 숙청의 이유
3. 새로운 문제 제기
- 한반도 분단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미국인가, 소련인가?
- 한국내의 자생조직을 합치거나 조직화를 왜 추지하지 못했는가?
- 신탁통치에 대한 공산당(북조선)에서 찬탁으로 돌아서게 된 경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증명이 필요함.
- 중경 임시정부는 왜 정부조직을 갖추고 있고 국제기구에서도 활동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 점령군당국으로부터 한국의 대표세력으로 인정받지 못 하였나?
추천자료
남북한 국가의 성립
해방 이후 장면정권 까지의 정치과정 (요약)
[한국공산주의운동사 2 해방후 편(4~6장)] - 한국의 공산주의 배경 과정 조선민공화국의 출현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한국공산주의 운동사 2 (제4~6장) - 미 군정기의 한국 공산주의 ...
한국공산주의운동사 2 (해방후 편) - Robert A Scalapino 이정식 - 강독보고서 - 공산당 출현...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 2 해방후 편 (제4~6장) -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 조선인민공화국 ...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2 해방 후편(1945-53) 4~6장 - 조선인민공화국의 출현 미국의 초기 정책...
북조선 탄생 - 주변부에서의 혁명해방 점령 그리고 새 질서의 등장 인민개조 연합정치와 통일...
북한연구 주요 저작 강독 - 북조선 탄생(The North Korean Revolution) 1945-1950 - 반식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