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니다. 다시 말해 위에서 말한 것처럼 학생들의 선택을 그저 무비판적으로 당연시하지 않고 자신의 선택을 명료화하도록 자극하는 일을 교사는 실천해야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 교실에서 권위주의적으로 행동하는 교사와 함께 있는 학생들은 수동적·순응적 존재로 길들여질 확률이 많고,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교실 문화를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노력에 역행하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 있는 교사들과 예비 교사들은 앞서 말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고 자기의 입장을 기꺼이 수정할 수 있고 학생들 혹은 다른 교사들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레이리의 ‘교사론’에서는 교육 실천을 하는 교사가 무능하거나, 준비를 소홀히 하고, 또 무책임하다면 학생들의 실패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저도 강력하게 동의합니다. 왜냐하면 현재 교사들 중에서 혹은 예비교사들 중에서는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사생활을 하거나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학생들을 싫어하며 연금을 받아내기 위해 버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달리 학생들을 가슴깊이 진정으로 사랑하며, 교육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뜻이 있어,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학생들을 지도하고 가르치는 것에 대해 뿌듯함과 만족감 더 나아가 행복감을 느끼는 현직교사 또는 예비교사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교육에 대한 뜻과 학생들에 대한 사랑을 가진 사람들이 한명 한명 모이게 된다면 앞서 말한 교사로서 부적절한 혹은 부적격한 사람들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힘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후자와 같은 생각을 가진 저와 그들이 지금부터 예비교사로서 혹은 현직교사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부당함에 맞서는 투쟁에 진지하게 임하며 몸소 실천하면 가까운 미래의 우리와 마주할 학생들이 보다 더 가치 있고 강한 존재로 조금씩 바뀌어 가도록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아이러 쇼어.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 현장 교육을 위한 프레이리와 비고츠키의 만남. 살림터. 2015
*임연기 외. 교직실무. 공동체. 2012
*홍은광.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 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5332&mobile&cid=40942&categoryId=34329
하지만 실제 교실에서 권위주의적으로 행동하는 교사와 함께 있는 학생들은 수동적·순응적 존재로 길들여질 확률이 많고,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교실 문화를 만들어 나가도록 하는 노력에 역행하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에 있는 교사들과 예비 교사들은 앞서 말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고 자기의 입장을 기꺼이 수정할 수 있고 학생들 혹은 다른 교사들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프레이리의 ‘교사론’에서는 교육 실천을 하는 교사가 무능하거나, 준비를 소홀히 하고, 또 무책임하다면 학생들의 실패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저도 강력하게 동의합니다. 왜냐하면 현재 교사들 중에서 혹은 예비교사들 중에서는 단순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사생활을 하거나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학생들을 싫어하며 연금을 받아내기 위해 버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달리 학생들을 가슴깊이 진정으로 사랑하며, 교육에 대한 자기 나름대로의 뜻이 있어, 우리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는 학생들을 지도하고 가르치는 것에 대해 뿌듯함과 만족감 더 나아가 행복감을 느끼는 현직교사 또는 예비교사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교육에 대한 뜻과 학생들에 대한 사랑을 가진 사람들이 한명 한명 모이게 된다면 앞서 말한 교사로서 부적절한 혹은 부적격한 사람들의 영향력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는 힘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후자와 같은 생각을 가진 저와 그들이 지금부터 예비교사로서 혹은 현직교사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부당함에 맞서는 투쟁에 진지하게 임하며 몸소 실천하면 가까운 미래의 우리와 마주할 학생들이 보다 더 가치 있고 강한 존재로 조금씩 바뀌어 가도록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아이러 쇼어. 교실을 위한 프레이리 : 현장 교육을 위한 프레이리와 비고츠키의 만남. 살림터. 2015
*임연기 외. 교직실무. 공동체. 2012
*홍은광.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 교육운동에 대한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05332&mobile&cid=40942&categoryId=3432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