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불상의 중생구원 이미지와 의미(14세기 금동보살상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고서]불상의 중생구원 이미지와 의미(14세기 금동보살상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4세기 시대적 상황
2. 14세기 금동보살상
1)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
2) 지순명 금동관음보살입상·대세지보살입상
3)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3. 14세기 금동보살상의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표적 보살이다. 14세기 불상들 가운데 금동보살상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당시 보살신앙의 크게 일어났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혼란한 시대상은 곧 백성들의 고난으로 이어지게 된다. 민생이 피폐해짐에 따라 백성들은 삶은 고통으로 채워졌으며 이러한 시기를 버팀에 있어 종교의 역할이 강조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14세기에 만들어진 불상들의 경우 대부분 보살상이라는 점에서 이는 중생의 제도와 구원을 염원하는 당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4세기 불상들을 분석하며 나는 14세기 고려 말과 21세기 한국 사회가 다양한 측면에서 공통점이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14세기 고려 말은 원·명 교체기였으며, 외세의 침략이 지속되던 시기이다. 현재 우리나라 역시 전 세계적으로는 미국과 중국이 패권 다툼을 벌이고 있으며, 북한과의 갈등, 사드문제로 촉발된 중국과의 갈등과 같이 혼란한 국제 정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14세기 고려 말 민생이 어려웠던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 사회는 저성장, 청년실업, 경제양극화 등의 문제로 국민들이 어려운 시기를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14세기 고려 말의 백성들이 느꼈던 감정과 21세기 한국 사회의 국민들이 느끼고 있는 삶의 대한 감정이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조심스럽게 추측해볼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어려운 환경에 처한 사람들에게 종교는 안식처로서 역할 한다. 국·내외적으로 혼란스러운 시기를 살아가던 14세기 고려 백성들은 피폐한 현생을 살아가고 있지만 종교를 통해 언젠가는 구원을 받을 수 있길 염원했을 것이다. 이러한 백성들의 마음을 반영하듯 고려말기 불상은 늘 온화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주로 보살상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불상이 시대적 상황을 내포하고 있으며, 백성들을 달래고자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고려말기 국내외적으로 혼란스러웠던 시대적 상황은 당시 불상들이 중생의 제도와 구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보살상으로 만들어지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국 14세기 말 고려는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다. 조선 건국 이후 숭불억제 정책이 펼쳐졌지만 이번 보고서에 살펴본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의 경우 조선건국 초기에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전히 불교가 조선시대 초기까지는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또한 14세기와 비슷한 환경에 처한 21세기 우리 사회에서도 국민들의 마음을 위로함에 있어 종교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참고문헌
- 최성은(2013),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 일조각
- 김광후(2016), 한국의 불상, 혜성출판사
- 정은우(2008), 불상의 미소, 보림
- 김환대(2009), 한국의 불상, 이담북스
- 운허 & 동국역경원, \"佛像(불상)\", 《불교 사전》
- [네이버 지식백과] 고려 [高麗] (두산백과)
- 에듀동아(2017.02.02.) ‘금동관음보살좌상, 부석사로’ 판결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 네이버 지식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7.31
  • 저작시기201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07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