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양 비교문화론) 철학을 주제로 하여 동서양 서양철학자, 동양철학자를 작성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양 비교문화론) 철학을 주제로 하여 동서양 서양철학자, 동양철학자를 작성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임하게 된다.
순자와 홉스의 자연관은 매우 흡사하다. 순자의 \'천(天)\'은 근대 서구적 개념으로서의 자연, 즉 홉스 이론의 자연에 가깝다. 순자의 천은 \'본디 저절로 있는 것\'으로 인간과는 가치적 연관이 없는 중립적인 공간일 뿐이다. 따라서 일식, 월식, 가뭄, 홍수와 같은 것은 인간이 두려워 할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오히려 순자의 자연관에 따르면 자연은 인간이 두려움 없이 이용해도 되는 별개의 대상이 된다. 홉스 역시 자연은 신의 섭리에 따른 피조물이 아니라는 유물론적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순자와 홉스의 인간의 존재에 대해서는 인식의 차이를 보인다. 홉스는 인간 역시 자연의 영역의 구성물로 보았다. 인간은 동물과 존재적으로 다르지 않은데, 다만 자연적 본성으로 얻어진 이성이 있어 사회를 이루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홉스 당시 과학적 방법론 발전의 영향이다. 다른 동물에 비해 두뇌가 발달했던 인간에게, 이성은 신이 주신 게 아니라 자연 과학적 인과물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순자는 인간은 동물과 구분되는 \'지(知)\'를 가지고 있는데, 이로써 인간은 동물과는 차원이 다른 천하의 가장 귀한 존재가 된다고 하였다. 즉 홉스는 인간이 매우 우등한 존재로서의 자연에 구성된 특별한 동물로 보았으나, 순자는 인간이 자연과는 차원적으로 독립된 대등한 존재로 보았다.
Ⅲ. 결론
서양철학은 존재를 찾아가는 것이고, 동양 철학은 관계를 찾아가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서양 철학은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을 연구 하였다면, 동양철학은 인간의 관계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래서 서양은 개인주의가, 동양철학은 집단주의가 형성된 것 이다.
이러한 개념적인 차이를 배경에 두고 순자와 홉스의 이론의 차이를 살펴본다면 각자의 논점이 결과적으로 같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논의로 일체화됨을 알 수 있다. 동양과 서양은 모든 부분에서 같은 문제를 고민했던 것은 아니지만 분명히 서로 비슷하고 연관된 논의들을 거쳤기 때문에 두 사상에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Ⅳ. 참고문헌
[네이버 지식백과] 순자 [荀子]
[네이버 지식백과] 홉스 [Thomas Hobbes]
[리바이어던] 토머스 홉스 저 | 동서문화사 | 2016.06.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 저 | 책세상 | 2018.07.
[생각의 지도] 리처드 니스벳 저 | 김영사 | 2004.04.
[도서동양철학자, 유럽을 거닐다] 류대성 저 | 인더북스 | 2010.01.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1.06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