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Main Opinion. 문이과의 통합은 학생의 수업참여도와 흥미도를 높일 것
#2. Main Opinion. 창의적 인재, 통합형 인재를 기르려면 문이과 통합은 필수다.
#3. Main Opinion.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잘못된 판단을 줄여준다.
#4. (반대측) 진로 수업을 통해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
#5. (반대측) 문이과 통합 시, 대한민국 이공계는 하향평준화되어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이 어려울 것이다.
#6. (반대측) 지식의 편식 현상은 융합인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취향이다.
#7. (반대측) 문이과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준다.
#2. Main Opinion. 창의적 인재, 통합형 인재를 기르려면 문이과 통합은 필수다.
#3. Main Opinion.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잘못된 판단을 줄여준다.
#4. (반대측) 진로 수업을 통해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진다.
#5. (반대측) 문이과 통합 시, 대한민국 이공계는 하향평준화되어 전문적인 지식의 습득이 어려울 것이다.
#6. (반대측) 지식의 편식 현상은 융합인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취향이다.
#7. (반대측) 문이과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준다.
본문내용
게 가르치겠네? 하는 간단한 생각으로 인해 나온 주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어디까지나, 문이과 통합 정책의 구체적인 사항이 나와봐야 알 수 있는 사항이라고 생각합니다.
#6. (반대측) 지식의 편식 현상은 융합인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취향이다.
----------------------------------------------------------------
이 주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정하는 바입니다. 그런데, 개개인의 취향이 동전의 양면처럼 한쪽 면으로만 쏠려있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문이과를 동전의 양면처럼 한쪽 면만 공부하라는 것은 오히려 학생 개개인의 취향을 무시해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이렇게 한 가지 길로만 학생들을 유도하는 것은 잘못되었고, 양쪽 길을 모두 열어두고 학생의 취향에 맞게 적절한 선에서 공부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좀 더 나은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7. (반대측) 문이과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준다.
----------------------------------------------------------------
물론, 갑작스러운 문이과의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 어느 정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그렇지만, 기존의 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분명한 사항입니다.
당장에 대학입시에 잠깐의 혼란이 있더라도 이는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잠깐의 혼란이 있은 뒤로, 이후에는 우리나라 교육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6. (반대측) 지식의 편식 현상은 융합인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취향이다.
----------------------------------------------------------------
이 주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인정하는 바입니다. 그런데, 개개인의 취향이 동전의 양면처럼 한쪽 면으로만 쏠려있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문이과를 동전의 양면처럼 한쪽 면만 공부하라는 것은 오히려 학생 개개인의 취향을 무시해버리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저는 이렇게 한 가지 길로만 학생들을 유도하는 것은 잘못되었고, 양쪽 길을 모두 열어두고 학생의 취향에 맞게 적절한 선에서 공부의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 좀 더 나은 해결책이라고 생각합니다.
#7. (반대측) 문이과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준다.
----------------------------------------------------------------
물론, 갑작스러운 문이과의 통합은 대학입시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저도 이 부분에 대해서 어느 정도 동의하는 바입니다. 그렇지만, 기존의 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해결해야 하는 것은 분명한 사항입니다.
당장에 대학입시에 잠깐의 혼란이 있더라도 이는 어느 정도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잠깐의 혼란이 있은 뒤로, 이후에는 우리나라 교육이 더 나은 방향으로 갈 수 있지 않겠습니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