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을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20점)
2.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0점)
3.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으로 작성하고 그 내용을 분석‧설명하시오. (20점)
4. 아래에 제시된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점)
① 교과의 구조
② 포트폴리오 평가
2.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0점)
3.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으로 작성하고 그 내용을 분석‧설명하시오. (20점)
4. 아래에 제시된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점)
① 교과의 구조
② 포트폴리오 평가
본문내용
으며, 때에 따라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두 번째 영상에서는 유아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좋아하는 노래를 음정과 박자, 가사에 맞게 기억하여 따라 부르는 것을 보았으며 이는 만 3세 유아가 노래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기억하며 따라 부르는 발달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 평소 즐겨 보는 키즈 유튜버를 따라하는 것을 보아 자의식이 생기고 공감능력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딸기가 제일 맛있어”라고 말하고, “이제 딸기도 판대?”, “추운 날엔 딸기만 팔아?” 등의 표현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표현하고, 과거의 경험에 빗대어 새로운 사실을 유추해내는 추리능력이 형성됨을 보여준다. 또, “아 맞다, 선물 있다.”, “엄마, 눈 감아봐, 보지 마”라고 하며 엄마에게 자신이 준비한 선물을 주고 놀라게 하려는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을 기쁘게 하는 법, 깜짝 상황에 대한 감정의 이해가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세 번째 영상에는 앞에서의 영상과 다르게 만 3세 남아의 발달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만 3세 남아는 ‘수술’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의사선생님과 아버지 사이에서 오는 대화와 분위기를 통해 심각성을 느끼고 두려워하였다. 이는 만 3세 유아가 공감능력이 월등히 발달했음을 알게 해주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을 유추하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 그동안 자신이 동생에 비해 형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치고를 무서워하지 않고, 의젓한 모습을 보이는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였던 것과 반대로 무서운 감정이 극에 달하자, “난 그냥 애야”, “나 사실, 불소 무서웠어요.”, “여기 다 무서웠어요.”라고 자신이 약함을 인정하고 숨으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만 3세 유아가 자신의 신체, 행동, 사고가 타인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보여주며, 거의 성인과 유사한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아에게 치과에서 왜 울었어요? 라고 질문하자 유아는 “아...나 운거 아닌데.. 불소가 매워가지고”, “나는 무서운 게 없어요.” 라고 답을 한 것을 보아, 두려움에 이성적으로 대처하고, 감성적인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이 남성적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등 자신이 여아인지 남아인지 알고 자신의 성역할에 맞는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4. 아래에 제시된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점)
① 교과의 구조
교과의 구조는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같은 말로, 교과의 구조를 통해 기본 원리를 알게 하여 어떤 유아라도 그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는 단순히 이름을 외우는 것에서 나아가 지식적 구조를 파악해 그와 관련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체계적인 개념의 형성이 가능하다. 즉, 브루너의 교과의 구조는 각 학문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이나 원리로 사실이나 정보를 서로 관련짓고 체계화하는 주요 개념이나 체계를 말한다. 교과의 구조를 통해 유아는 학습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학습 밖에 상황에서도 학습된 내용을 토대로 판단 및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아의 기초지식에서 고등지식으로 성장하는 것에 더 빠른 길을 제시하고, 그 차이를 좁힐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교과의 구조를 통해 유아는 점진적인 학습 단계를 밟아 기초지식에서 고등지식으로 나아갈 수 있고, 학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적 사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② 포트폴리오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의 그림, 글쓰기, 창작물 등 창조적, 독창적 작품을 모아둔 개별적 작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유아의 특정 지능만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의 지능을 평가할 수 있게 하여 유아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좋은 평가법이다. 이 평가 방법은 학생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약점을 뒤로하고 장점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 마지막 평가 과정에서 유아가 자신의 작품을 평가하게 하여 강점을 파악하고, 약점을 인지하여 추후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창작한 그림, 글쓰기, 창작물 등을 바탕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과정보다는 결과를 우선시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다만, 이 평가 과정은 유아의 다양한 작품 및 활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평가 과정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이종승/Tyler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교육과학사/1991
두 번째 영상에서는 유아와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좋아하는 노래를 음정과 박자, 가사에 맞게 기억하여 따라 부르는 것을 보았으며 이는 만 3세 유아가 노래를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기억하며 따라 부르는 발달 단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 평소 즐겨 보는 키즈 유튜버를 따라하는 것을 보아 자의식이 생기고 공감능력이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딸기가 제일 맛있어”라고 말하고, “이제 딸기도 판대?”, “추운 날엔 딸기만 팔아?” 등의 표현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표현하고, 과거의 경험에 빗대어 새로운 사실을 유추해내는 추리능력이 형성됨을 보여준다. 또, “아 맞다, 선물 있다.”, “엄마, 눈 감아봐, 보지 마”라고 하며 엄마에게 자신이 준비한 선물을 주고 놀라게 하려는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을 기쁘게 하는 법, 깜짝 상황에 대한 감정의 이해가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세 번째 영상에는 앞에서의 영상과 다르게 만 3세 남아의 발달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만 3세 남아는 ‘수술’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의사선생님과 아버지 사이에서 오는 대화와 분위기를 통해 심각성을 느끼고 두려워하였다. 이는 만 3세 유아가 공감능력이 월등히 발달했음을 알게 해주고 이를 기반으로 상황을 유추하는 능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또, 그동안 자신이 동생에 비해 형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치고를 무서워하지 않고, 의젓한 모습을 보이는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였던 것과 반대로 무서운 감정이 극에 달하자, “난 그냥 애야”, “나 사실, 불소 무서웠어요.”, “여기 다 무서웠어요.”라고 자신이 약함을 인정하고 숨으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만 3세 유아가 자신의 신체, 행동, 사고가 타인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음을 보여주며, 거의 성인과 유사한 정서 상태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 또한, 유아에게 치과에서 왜 울었어요? 라고 질문하자 유아는 “아...나 운거 아닌데.. 불소가 매워가지고”, “나는 무서운 게 없어요.” 라고 답을 한 것을 보아, 두려움에 이성적으로 대처하고, 감성적인 약점을 보이지 않는 것이 남성적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등 자신이 여아인지 남아인지 알고 자신의 성역할에 맞는 행동을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4. 아래에 제시된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점)
① 교과의 구조
교과의 구조는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같은 말로, 교과의 구조를 통해 기본 원리를 알게 하여 어떤 유아라도 그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유아는 단순히 이름을 외우는 것에서 나아가 지식적 구조를 파악해 그와 관련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체계적인 개념의 형성이 가능하다. 즉, 브루너의 교과의 구조는 각 학문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핵심적인 개념이나 원리로 사실이나 정보를 서로 관련짓고 체계화하는 주요 개념이나 체계를 말한다. 교과의 구조를 통해 유아는 학습한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학습 밖에 상황에서도 학습된 내용을 토대로 판단 및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유아의 기초지식에서 고등지식으로 성장하는 것에 더 빠른 길을 제시하고, 그 차이를 좁힐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러한 교과의 구조를 통해 유아는 점진적인 학습 단계를 밟아 기초지식에서 고등지식으로 나아갈 수 있고, 학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적 사용을 이끌어낼 수 있다.
② 포트폴리오 평가
포트폴리오 평가란 유아의 그림, 글쓰기, 창작물 등 창조적, 독창적 작품을 모아둔 개별적 작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유아의 특정 지능만 평가하는 것이 아닌, 여러 분야의 지능을 평가할 수 있게 하여 유아의 장·단점을 파악하기 좋은 평가법이다. 이 평가 방법은 학생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약점을 뒤로하고 장점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 마지막 평가 과정에서 유아가 자신의 작품을 평가하게 하여 강점을 파악하고, 약점을 인지하여 추후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유아가 창작한 그림, 글쓰기, 창작물 등을 바탕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과정보다는 결과를 우선시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다만, 이 평가 과정은 유아의 다양한 작품 및 활동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평가 과정에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한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이종승/Tyler 교육과정과 수업의 원리/교육과학사/1991
추천자료
[교육과정 4학년] 1.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
교육과정 2021년 1학기 기말 1. 타일러의 교육과정 모형 2.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 3. 만 3...
[2021 교육과정][기말시험] 1.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
2교육과정 )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
2교육과정 )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을 유아...
3교육과정 )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
3교육과정 )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을 유아교...
교육과정 )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