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폴 틸리히 신론의 변천사
(2)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론
(3) 존재론적 신론의 신학적 의의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폴 틸리히 신론의 변천사
(2)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론
(3) 존재론적 신론의 신학적 의의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편적인 참여, 실재의 형식, 이끄는 운명을 포함하는 의미를 지시하는 영과 인격성을 가지는 개체화, 자기초월적인 역동성, 자기 결단의 자유가 지시하는 힘을 의미를 포함하는 존재론적인 요소의 통일을 나타낸다. 영으로 살아가는 삶은 육체와 정신을 포함하며 존재자로서의 실재가 아니고 존재론적 요소의 기능을 포함하는 신의 삶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상징이다.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의 원리는 힘, 로고스(logos), 영으로 이뤄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힘은 하나님의 신성을 만드는 토대로 비존재에 대항하는 존재의 근원으로 모든 존재하는 것에 존재의 힘을 부여하게 된다. 로고스는 언약을 통한 이뤄짐을 나타내는 창조성에 결합하는 구조로 힘을 이루는 과정의 당위성을 부여한다. 영은 힘과 의미의 통일을 이뤄 개신교의 전체적인 원리로 신의 근거가 된다. 영은 신의 근거로 존재하며 로고스를 통해 잠재적인 것에 현실성이 부여되며 무한한 것과 유한한 것은 구별될 수 있지만, 분리될 수는 없는 통합된 삼위일체를 의미한다. 유장환(200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인 패러다임.
3. 결론
이제까지 폴 틸리히의 신론의 변천사와 존재론적 신론, 존재론적 신론의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틸리히의 삶에서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추구하던 초기의 신학은 인식론적인 종교철학에 머무르다가 전쟁에 군목으로 참여하면서 맞이한 환경과 팽배해진 전체주의의 영향으로 삶의 결핍과 인간성 상실의 경험을 통해 이후에는 실존주의적이며 존재학적인 신학 체계로 변모하였다. 폴 틸리히의 신학을 대표하는 존재론적인 신론은 존재의 유한성과 신에 존재에 관해 물음을 해결하는 존재론의 도입을 통해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을 설명하였다. 다소 철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하나님이라는 존재에 관한 물음에 신학적인 대답을 제시하는 변증법적인 기술로 비존재를 극복하고 신을 기원하고 유지하며 이끄는 창조자로서의 신의 면모를 증명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통해 영원하고 전능한 존재이자 시간과 공간의 유한성을 깨는 무소부재하고 전지하며 사랑을 베푸는 하나님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4. 참고문헌
李三生(1986). Paul Tillich의 신학방법론.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11 No.- [1986]. 牧園大學校.
http://www.riss.kr/link?id=A2081909
이준연(2019). ‘종교’로부터의 도피: 생(生)의 종교성에 대한 아이리스 머독과 폴 틸리히의 사유를 중심으로.
倫理硏究 Vol.1 No.126 [2019]. 한국윤리학회.
http://www.riss.kr/link?id=A106370557
유장환(200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인 패러다임.
목원신학연구소 신학과 현장 Vol.13 No.- [2003]. 목원대학교.
http://www.riss.kr/link?id=A82710430
유장환(201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 신론의 의의.
組織神學論叢 Vol.0 No.35 [2013]. 한국조직신학회.
http://www.riss.kr/link?id=A99837974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의 원리는 힘, 로고스(logos), 영으로 이뤄진다고 설명하고 있다. 힘은 하나님의 신성을 만드는 토대로 비존재에 대항하는 존재의 근원으로 모든 존재하는 것에 존재의 힘을 부여하게 된다. 로고스는 언약을 통한 이뤄짐을 나타내는 창조성에 결합하는 구조로 힘을 이루는 과정의 당위성을 부여한다. 영은 힘과 의미의 통일을 이뤄 개신교의 전체적인 원리로 신의 근거가 된다. 영은 신의 근거로 존재하며 로고스를 통해 잠재적인 것에 현실성이 부여되며 무한한 것과 유한한 것은 구별될 수 있지만, 분리될 수는 없는 통합된 삼위일체를 의미한다. 유장환(200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인 패러다임.
3. 결론
이제까지 폴 틸리히의 신론의 변천사와 존재론적 신론, 존재론적 신론의 신학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틸리히의 삶에서 2차 세계대전 이전에 추구하던 초기의 신학은 인식론적인 종교철학에 머무르다가 전쟁에 군목으로 참여하면서 맞이한 환경과 팽배해진 전체주의의 영향으로 삶의 결핍과 인간성 상실의 경험을 통해 이후에는 실존주의적이며 존재학적인 신학 체계로 변모하였다. 폴 틸리히의 신학을 대표하는 존재론적인 신론은 존재의 유한성과 신에 존재에 관해 물음을 해결하는 존재론의 도입을 통해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을 설명하였다. 다소 철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하나님이라는 존재에 관한 물음에 신학적인 대답을 제시하는 변증법적인 기술로 비존재를 극복하고 신을 기원하고 유지하며 이끄는 창조자로서의 신의 면모를 증명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통해 영원하고 전능한 존재이자 시간과 공간의 유한성을 깨는 무소부재하고 전지하며 사랑을 베푸는 하나님의 존재를 설명하고 있다.
4. 참고문헌
李三生(1986). Paul Tillich의 신학방법론.
論文集 - 牧園大學校 Vol.11 No.- [1986]. 牧園大學校.
http://www.riss.kr/link?id=A2081909
이준연(2019). ‘종교’로부터의 도피: 생(生)의 종교성에 대한 아이리스 머독과 폴 틸리히의 사유를 중심으로.
倫理硏究 Vol.1 No.126 [2019]. 한국윤리학회.
http://www.riss.kr/link?id=A106370557
유장환(200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인 패러다임.
목원신학연구소 신학과 현장 Vol.13 No.- [2003]. 목원대학교.
http://www.riss.kr/link?id=A82710430
유장환(2013). 폴 틸리히와 존재론적 신론의 의의.
組織神學論叢 Vol.0 No.35 [2013]. 한국조직신학회.
http://www.riss.kr/link?id=A9983797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