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의 영향
2)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의 영향
3) 교육과정에 대한 심리학의 영향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설명하시오.
1)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2) 타일러의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
3)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차이점
3. 참고문헌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의 영향
2)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학의 영향
3) 교육과정에 대한 심리학의 영향
2.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설명하시오.
1)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
2) 타일러의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
3)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차이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학과 같은 과목에는 도움 되나 미술, 문학 등은 도움 안 되는 단점이 있다. 교육목표 진술의 형태는 타일러(Tyler), 블룸(Bloom), 메이거(Mager) 학자가 진술했다. 먼저, 타일러는 행동적인 목표는 목표의 결과가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종착점 행동, 최종 행동을 관찰 가능한 용어로 진술하고 교육내용과 행동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교육목표에 포함되는 행동 유형은 중요한 사실 및 원리의 이해능력, 자료의 해석력, 원리의 적용능력, 학습 연구, 그 결과 보고의 기능, 넓고 능숙한 흥미, 사회적 태도 등이 필요하다.
3)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 타일러는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만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타일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내용을 보면 첫째,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는? 둘째, 목표 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 선정은? 셋째, 학습 경험은 수업을 위해 어떻게 조직? 넷째, 학습경험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이다. 즉,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서는 학습내용, 교육목표 등에 대한 자세한 대답은 제시하지 않았으며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만을 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 교육과정설계 모형에서의 타일러 행동 목표는 결과가 보이는 것이며 쉽게 말해 목표를 통해 결과를 암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타일러 행동적인 목표는 목표의 결과가 보이는 것이며 그래서 종착점 행동, 최종 행동을 관찰 가능한 용어로 진술하고 교육내용과 행동 요인을 동시에 고려해야한다. 즉,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모델에서의 타일러는 행동적 목표를 잘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해보면 타일러가 교육과정 개발모델에서는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의 중요성만을 강조했지만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음을 알 수 있다. 단순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임으로 타일러는 개발할 때 기준과 과정만을 중요시하였지만 교육과정설계 모형의 경우 모형의 목표는 목표 수준에 따라 추상적이거나 구체적 수준으로 나누고 목표로부터 수업목표가 만들어지다 보니 타일러가 교육과정설계 모형에서는 행동적 목표를 중요성을 주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의 차이점은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발 기준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했지만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행동적 목표의 중요성을 새우는 것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3. 참조문헌
1)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 HRD 용어사전, 2010. 9. 6., (사)한국기업교육학회
3) 교육과정 강의안 자료
3)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 타일러는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만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타일러 교육과정에서의 핵심내용을 보면 첫째,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목표는? 둘째, 목표 달성에 유용한 학습경험 선정은? 셋째, 학습 경험은 수업을 위해 어떻게 조직? 넷째, 학습경험의 효과에 대한 평가는? 이다. 즉,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서는 학습내용, 교육목표 등에 대한 자세한 대답은 제시하지 않았으며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만을 제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 교육과정설계 모형에서의 타일러 행동 목표는 결과가 보이는 것이며 쉽게 말해 목표를 통해 결과를 암시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타일러 행동적인 목표는 목표의 결과가 보이는 것이며 그래서 종착점 행동, 최종 행동을 관찰 가능한 용어로 진술하고 교육내용과 행동 요인을 동시에 고려해야한다. 즉,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모델에서의 타일러는 행동적 목표를 잘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해보면 타일러가 교육과정 개발모델에서는 단순 교육과정 개발의 기준 및 과정의 중요성만을 강조했지만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음을 알 수 있다. 단순 교육과정 개발은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교육과정을 만드는 것임으로 타일러는 개발할 때 기준과 과정만을 중요시하였지만 교육과정설계 모형의 경우 모형의 목표는 목표 수준에 따라 추상적이거나 구체적 수준으로 나누고 목표로부터 수업목표가 만들어지다 보니 타일러가 교육과정설계 모형에서는 행동적 목표를 중요성을 주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의 차이점은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교육과정의 개발 기준을 세우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했지만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에서는 행동적 목표의 중요성을 새우는 것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3. 참조문헌
1)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 HRD 용어사전, 2010. 9. 6., (사)한국기업교육학회
3) 교육과정 강의안 자료
추천자료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2022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 교육과정) 공통형: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
교육과정 교육과정 운영과 이에 대한 교원의 역할에 대해 설명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교육과정 )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과 역행설계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비교설명하시오. ...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교육과정 운영과 이에 대...
2교육과정 ) 교육과정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의 영향에 대해 설명
교육 과정 ) 1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 사회학 심리학 영향에 대해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