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출석 수업에서 원격 수업으로의 전환하며 나온 문제점
(2) 문제에 대한 대처방안과 효과적 학습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출석 수업에서 원격 수업으로의 전환하며 나온 문제점
(2) 문제에 대한 대처방안과 효과적 학습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사물 그리고 환경과도 함께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이러한 환경 자체는 선생님과 부모님들이 도와주어야 한다. 어른과 아이는 분명하게 다르다. 아이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상황이라도 아직 집중력이나 명확도에 대해서 알지못하기 때문에 분명하게 케어가 필요하다.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 비대면 수업의 핵심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고츠키 이론에 따라서 보게 되면 학생들 간의 협동 학습도 중요하다 하지만 대면으로 진행하기 힘든 부분이 분명하게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온라인 상으로 역할을 정하고 나누어서 과제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앞서 말했듯이 사회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그들에게도 역시 적당한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것, 그리고 소속감을 줄 수 있는 측면에서도 과제는 꼭 필요할 것이다.
사실 애초에 이 모든 사항들이 사교육을 조금 절제시켜야 하는 것이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기도 하다. 학교 외 사교육으로 모든 것을 채우려 한다면, 그 역시 의무 교육을하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3. 결론
교육 격차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 코로나로 비롯된 온연한 코로나 문제는 아니긴 하다. 전교 1등에게 교과서로만 공부했다고 해도, 사람들은 믿지 않고 당연하게도 사교육으로 빠지게 되기도 한다. 사실 국가가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떠나서 실무자들에게는 이러한 직접 지원하는 방식들이 좀 동떨어져있는 얘기일 수도 있다.
코로나를 통해서 교육 격차가 문제인 것도, 그리고 아이들에게 사회성 결여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도 우리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모두 알게 되었기 때문에, 항상 교육 당국은 물론 어른들 역시도 아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지원, 그리고 끊임 없는 피드백과 관리가 꼭 필요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변진경 기자, 시사인, 학교를 왜 가야 하나 답해야 하는 시간, 2020.6.18.,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27
- 경기도교육연구원, 코로나 19와 교육:원격수업 내실화 제언, 2021
- 경기도교육연구원, 코로나19와 RYDRB :학교 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 중심으로, 2020
- 강태중 교수, 한겨레, 경쟁에 감염된 학교 이야기, 코로나 이후 새롭게 써야, 2021.3.18.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9347.html
이에 따라서 비고츠키 이론에 따라서 보게 되면 학생들 간의 협동 학습도 중요하다 하지만 대면으로 진행하기 힘든 부분이 분명하게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온라인 상으로 역할을 정하고 나누어서 과제를 진행할 수 있게 한다. 앞서 말했듯이 사회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그들에게도 역시 적당한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것, 그리고 소속감을 줄 수 있는 측면에서도 과제는 꼭 필요할 것이다.
사실 애초에 이 모든 사항들이 사교육을 조금 절제시켜야 하는 것이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기도 하다. 학교 외 사교육으로 모든 것을 채우려 한다면, 그 역시 의무 교육을하는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3. 결론
교육 격차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 코로나로 비롯된 온연한 코로나 문제는 아니긴 하다. 전교 1등에게 교과서로만 공부했다고 해도, 사람들은 믿지 않고 당연하게도 사교육으로 빠지게 되기도 한다. 사실 국가가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떠나서 실무자들에게는 이러한 직접 지원하는 방식들이 좀 동떨어져있는 얘기일 수도 있다.
코로나를 통해서 교육 격차가 문제인 것도, 그리고 아이들에게 사회성 결여라는 것이 얼마나 무서운지도 우리는 이번 기회를 통해서 모두 알게 되었기 때문에, 항상 교육 당국은 물론 어른들 역시도 아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그리고 지원, 그리고 끊임 없는 피드백과 관리가 꼭 필요할 것이다.
4. 참고문헌
- 변진경 기자, 시사인, 학교를 왜 가야 하나 답해야 하는 시간, 2020.6.18.,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27
- 경기도교육연구원, 코로나 19와 교육:원격수업 내실화 제언, 2021
- 경기도교육연구원, 코로나19와 RYDRB :학교 구성원의 생활과 인식을 중심으로, 2020
- 강태중 교수, 한겨레, 경쟁에 감염된 학교 이야기, 코로나 이후 새롭게 써야, 2021.3.18.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9347.html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교육] 구비문학에서 바라본 국어의 위기와 그에 따른 국어 교육 방향
오수벨, 가네, 브루너의 교수이론들의 비교 설명하시오
인터뷰학습, CAI(컴퓨터보조학습, 컴퓨터보조수업), 올림픽학습, 의사소통중심학습(의사소통...
교육, 교육시장,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수설계모형, 문제중심학습 (PBL : Problem-Based Lea...
[멀티미디어 학습] 멀티미디어학습의 개념,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분석 및 향후 전망
[글쓰기 1학년 공통] 1. 코로나가 바꾼 나의 일상
교육심리학_COVID-19사태로 학생들이 집에서 원격 형태로 학교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기존의...
교육심리학_COVID-19 사태로 학생들이 집에서 원격 형태로 학교수업에 참여하였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