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2.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3. 진단적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4. 치료적계획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5. 교육적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6. 간호평가
2. 간호진단, 장기목표, 단기목표
3. 진단적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수행
4. 치료적계획 (+이론적 근거), 치료적 수행
5. 교육적계획 (+이론적 근거), 교육적 수행
6. 간호평가
본문내용
식이섬유 즉 섬유질은 우리 몸에 흡수는 되지 않지만, 이동하면서 콜레스테롤 등 지방 흡수의 감소와 당질 흡수를 억제시켜 당화 지수를 낮추어 준다. 위에 체류 시간을 늘여 포만감을 늘여서 식사 섭취를 줄여 주고, 대변의 부피와 무게를 형성한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인체에서의 화학변화에 필요한 효소 작용을 돕는 보조 물질로 일일 권장량을 꼭 복용하도록 한다. 16가지 미네랄, 20가지의 비타민은 꼭 공급받아야 하는 필수 영양소로써 인체 내에 존재하는 양 300만개의 효소활동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안정적인 기초대사량의 유지와 함께 생리적 안정성을 위하여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하다. 규칙적인 식사는 소화불량을 예방하고 체중 감소뿐 아니라 혈당과 혈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업무의 집중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건강식사의 첫 번째는 아침식사로부터 시작된다.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힘과 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한 생활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점심과 저녁식사의 폭식을 예방할 수 있어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전날 저녁식사 이후의 오랜 공복기로부터 포도당을 정상적으로 공급하여 정상적인 혈당을 유지시킴으로써 하루 업무 수행과 건강 유지에 매우 유리하다. 하루 식사량을 10으로 하면 아침은 3 점심은 5 저녁은 2 의 양을 먹는 것이 인체 리듬에 가장 좋다.
둘째로 1년 365일, 매일 아침 정확한 시간에 먹는 규칙적인 식사습관은 건강과 직결된다. 아침을 거르고 오후에서야 첫 끼니를 먹는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계속하면 위장병 등 소화기 계통 질환과 함께 비만, 피로 등의 질병과 함께 일상생활의 리듬이 깨어지기 쉽다.
셋째로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의 5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가 있는 신선한 계절식품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식사 중간에 먹는 간식은 종류를 잘 고려해야 한다. 견과류나 과일. 채소 등의 간식은 하루 전체 식사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어 권장되지만, 과자류의 간식은 하루 총 섭취 열량의 증가와 함께 고지방식으로 체중조절에도 나쁘다. 채식이 몸에 좋다고 하지만 채식만을 장기간 지속할 경우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되는 칼슘, 철분, 아연,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B12등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진다. 이러한 영양소의 부족은 골다공증, 빈혈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부득이하게 채식 중심의 식사를 해야 할 경우라면 콩류, 계란 등의 식품을 같이 섭취해서 영양소의 불균형을 맞추어 주도록 한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 체중이 2kg 이상 증가할 것이다.
-> X, 2kg를 증가하진 않았으나, 일주일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kg 증량하였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는다.
-> O, 대상자는 오심은 있었으나 구토는 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배식된 음식의 2/3 이상 섭취한다.
-> O, 대상자는 3일차에 음식의 2/3 이상 섭취하였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식욕이 증가했다고 말한다.
-> O, 대상자는 3일차에 식욕이 조금 생겼다고 표현하였다.
비타민과 미네랄은 인체에서의 화학변화에 필요한 효소 작용을 돕는 보조 물질로 일일 권장량을 꼭 복용하도록 한다. 16가지 미네랄, 20가지의 비타민은 꼭 공급받아야 하는 필수 영양소로써 인체 내에 존재하는 양 300만개의 효소활동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안정적인 기초대사량의 유지와 함께 생리적 안정성을 위하여 규칙적인 식사가 중요하다. 규칙적인 식사는 소화불량을 예방하고 체중 감소뿐 아니라 혈당과 혈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업무의 집중도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건강식사의 첫 번째는 아침식사로부터 시작된다. 규칙적인 아침식사는 힘과 지구력을 향상시켜 건강한 생활의 원동력으로 작용하며 점심과 저녁식사의 폭식을 예방할 수 있어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 전날 저녁식사 이후의 오랜 공복기로부터 포도당을 정상적으로 공급하여 정상적인 혈당을 유지시킴으로써 하루 업무 수행과 건강 유지에 매우 유리하다. 하루 식사량을 10으로 하면 아침은 3 점심은 5 저녁은 2 의 양을 먹는 것이 인체 리듬에 가장 좋다.
둘째로 1년 365일, 매일 아침 정확한 시간에 먹는 규칙적인 식사습관은 건강과 직결된다. 아침을 거르고 오후에서야 첫 끼니를 먹는 불규칙한 식사습관을 계속하면 위장병 등 소화기 계통 질환과 함께 비만, 피로 등의 질병과 함께 일상생활의 리듬이 깨어지기 쉽다.
셋째로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의 5가지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가 있는 신선한 계절식품들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식사 중간에 먹는 간식은 종류를 잘 고려해야 한다. 견과류나 과일. 채소 등의 간식은 하루 전체 식사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어 권장되지만, 과자류의 간식은 하루 총 섭취 열량의 증가와 함께 고지방식으로 체중조절에도 나쁘다. 채식이 몸에 좋다고 하지만 채식만을 장기간 지속할 경우 동물성 식품으로 섭취되는 칼슘, 철분, 아연,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B12등의 영양소 섭취가 부족해진다. 이러한 영양소의 부족은 골다공증, 빈혈 등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부득이하게 채식 중심의 식사를 해야 할 경우라면 콩류, 계란 등의 식품을 같이 섭취해서 영양소의 불균형을 맞추어 주도록 한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 체중이 2kg 이상 증가할 것이다.
-> X, 2kg를 증가하진 않았으나, 일주일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1kg 증량하였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는다.
-> O, 대상자는 오심은 있었으나 구토는 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배식된 음식의 2/3 이상 섭취한다.
-> O, 대상자는 3일차에 음식의 2/3 이상 섭취하였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식욕이 증가했다고 말한다.
-> O, 대상자는 3일차에 식욕이 조금 생겼다고 표현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