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평가
2) 도덕성 단계 측정 결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평가
2) 도덕성 단계 측정 결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을 하는 하인즈의 행동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다. 도덕적인 행동이 타인을 기쁘게 하고, 타인을 도우며, 타인에게 인정을 받는 것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는 증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반응에서 볼 수 있듯이, 좋은의도는 가치가 있는 것이기에 괜찮다고 여기는 것을 보면, 해당 성인은 2수준-단계3 : “착한 소년” 지향에 속하는 도덕성에 속해있다.
(3) 43세 여성
하인즈의 행동에 대해서 만약에 약사가 누군가를 죽게 두었다면, 잘못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였다. 또한 자신의 아내를 살리고자 하는 것은 하인즈의 의무이다. 그러나 하인즈의 법을 어겨서는 안되었으며, 약사에게 값을 치르게 하고, 훔친 것에 대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대답을 하였다. 그녀는 법으로 반영이 되어있는 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그녀의 도덕성은 2수준-단계4: 사회-질서-유지, 도덕성에 속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Ⅲ. 결론(향후 방향 및 전망 등)
본론에서는 콜버그의 3가지 도덕 수준과 6단계의 기본적인 주제와 특징에 대해서 논하였다. 그리고 도덕성에 대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도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 대상자의 연령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연령대를 택하여 논한 점의 이유이다. 연령은 그들의 경험과 삶의 깊이를 말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인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물론,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개인적인 성향도 그들의 도덕적인 가치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나이에 따른 경험,은 간과를 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피아제가 인지에 관련이 되어 있는 도덕성 이론이라고 하였다면, 콜버그는 사회적 측면의 도덕성을 제시하는 것에 있어 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은 단순하게 착하기만 해서는 안되며,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지 도덕정 판단을 할 수 있다.”를 강조한다.
그러나 본인 생각에는 콜버그의 이론은 남자아이 72명만 조사했다는 부분에 있어 불안정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남자 아이들은 여자 아이들보다 규칙 준수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남자와 여자의 심리적 발달 단계를 좀 더 구별을 하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
Ⅳ. 참고문헌
김진 <콜버그의 도덕발달> UUP 2013
김미정 <콜버그(L. Kohlberg)의 토의식 수업이 도덕적 판단력과 학업성적에 미치은 영향> 한국교원대학교,[2000] [국내석사]
(3) 43세 여성
하인즈의 행동에 대해서 만약에 약사가 누군가를 죽게 두었다면, 잘못된 삶을 살고 있다고 말하였다. 또한 자신의 아내를 살리고자 하는 것은 하인즈의 의무이다. 그러나 하인즈의 법을 어겨서는 안되었으며, 약사에게 값을 치르게 하고, 훔친 것에 대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라고 대답을 하였다. 그녀는 법으로 반영이 되어있는 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래서 그녀의 도덕성은 2수준-단계4: 사회-질서-유지, 도덕성에 속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Ⅲ. 결론(향후 방향 및 전망 등)
본론에서는 콜버그의 3가지 도덕 수준과 6단계의 기본적인 주제와 특징에 대해서 논하였다. 그리고 도덕성에 대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도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에 있어 대상자의 연령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는 다양한 연령대를 택하여 논한 점의 이유이다. 연령은 그들의 경험과 삶의 깊이를 말해준다. 그렇기 때문에 도덕적인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
물론,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개인적인 성향도 그들의 도덕적인 가치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나이에 따른 경험,은 간과를 할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피아제가 인지에 관련이 되어 있는 도덕성 이론이라고 하였다면, 콜버그는 사회적 측면의 도덕성을 제시하는 것에 있어 그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은 단순하게 착하기만 해서는 안되며, 사회적 맥락을 고려해야지 도덕정 판단을 할 수 있다.”를 강조한다.
그러나 본인 생각에는 콜버그의 이론은 남자아이 72명만 조사했다는 부분에 있어 불안정한 부분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남자 아이들은 여자 아이들보다 규칙 준수에 더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남자와 여자의 심리적 발달 단계를 좀 더 구별을 하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있다.
Ⅳ. 참고문헌
김진 <콜버그의 도덕발달> UUP 2013
김미정 <콜버그(L. Kohlberg)의 토의식 수업이 도덕적 판단력과 학업성적에 미치은 영향> 한국교원대학교,[2000] [국내석사]
추천자료
성격 사회성 도덕성 발달이론
심리학개론_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
심리학개론>> 콜스버그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
심리학개론)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
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정해 보세요
심리학개론 ) 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
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사람들약3명 정도의 도덕
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정. 심리학개론
심리학개론_kohlberg의 하인즈 사례를 들려주고 주변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