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상의 정의
2. 낙상 발생요인
(1) 환경적 요인
(2) 질병적 요인
3. 낙상사고의 위험성
4. 노인들이 낙상에 취약한 이유
5. 낙상발생시 응급대처 요령
6. 낙상 후 관리법
7. 낙상 예방법
(1) 개인적요인 예방법
(2) 주변환경요인 개선
8. 낙상예방 간호중재
9. 느낀점
2. 낙상 발생요인
(1) 환경적 요인
(2) 질병적 요인
3. 낙상사고의 위험성
4. 노인들이 낙상에 취약한 이유
5. 낙상발생시 응급대처 요령
6. 낙상 후 관리법
7. 낙상 예방법
(1) 개인적요인 예방법
(2) 주변환경요인 개선
8. 낙상예방 간호중재
9. 느낀점
본문내용
에 의하면 노인은 골절 후 2~3일만 누워있어도 지병이 악화되고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폐렴, 심장병, 색전증으로 사망한다고 한다. 즉, 꾸준히 활동하고 환자 상태에 맞는 운동과 골밀도를 높일 수 있는 치료가 필요하다.
고관절 관련 낙상 후 관리에는 일단 뼈이다 보니 식사에서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으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관절의 하중을 줄여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만약 낙상을 당하고 병원에나 자택에서 침상, 휠체어 이동 시에는 침상을 휠체어 높이로 낮추고 침상 상부를 올려 어르신 상체를 세운 다음 어르신의 몸을 틀어 다리를 침대 아래로 떨어드린다. 휠체어는 건 측(건강한 부위)에 두고 발바닥을 바닥에 닿도록 한다.
7. 낙상 예방법
(1) 개인적요인 예방법
- 내적요인을 제거한다.
①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치료한다.
② 시력 및 청력의 장애를 제거한다.
③ 신경 및 근골격계를 건강하게 한다.
- 외적요인을 제거한다.
① 약물복용을 주의한다.
② 부적절한 주거환경을 제거한다.
③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며, 부적절한 사용을 회피한다.
(2) 주변환경요인 개선
1) 전체주거공간의 환경개선
① 고정되지 않은 깔개를 없앨 것
② 카페트는 귀퉁이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것
③ 정리정돈을 깨끗이 할 것
④ 마루바닥에는 전선이나 줄을 없엘 것
⑤ 야간에도 전등을 켜서 조도를 유지할 것
⑥ 키가낮은 가구나 바닥의 물건을 없엘 것
⑦ 의자의 다리를 안전하게 유지할것
⑧ 계단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⑨ 너무 낮은 의자를 없엘 것
⑩ 바닥에 미끄러운 왁스를 칠하지 말 것
⑪ 전화기는 잡기 쉬운 곳에 둘 것
2) 욕조 및 화장실의 환경개선
① 변기와 욕조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② 욕조바닥을 미끄럽지 않게 고무를 깔 것
③ 변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변을 용이하게 할 것
3) 실외환경의 안전유지
① 보도의 바닥을 평평하게 유지보수 할 것
② 외부 계단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③ 보도주변의 수목을 가지런히 할 것
④ 출입구에 야간조명을 설치할 것
8. 낙상예방 간호중재
- 침상 최대한 낮게 유지
- 침대 바퀴는 항상 잠금장치 유지
- 침상 주변의 밝기와 다른 물건들은 환자나 보호자가 찾기 쉬운 곳에 위치
- 가능하다면, 낙상을 유발할 행동을 감시하기 위해 경고장치(alarm system) 이용
- 침대와 욕실에 조명 적당히 유지
- 바닥 표면 미끄럽지 않도록 유지
- 통로는 이용이 용이하도록 주변 정리하고 깨끗이 유지
- 병원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통행이 적은 시간을 이용하여 반드시 미끄럼 주의 안내판을 설치하고 반씩 나누어 청소
9. 느낀점
노인의 낙상에 관하여 조사하면서 가볍게만 여기던 낙상이 노인에게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다. 앞서 말했듯이 낙상은 가벼운 타박상 뿐 아니라 골절, 염좌, 뇌손상,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등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무엇보다 예방법이 중요하다고 느꼇고, 낙상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 계절 등을 찾아보며 더 효과적인 예방법을 알게 되었다.
고관절 관련 낙상 후 관리에는 일단 뼈이다 보니 식사에서는 단백질, 칼슘,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으로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관절의 하중을 줄여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만약 낙상을 당하고 병원에나 자택에서 침상, 휠체어 이동 시에는 침상을 휠체어 높이로 낮추고 침상 상부를 올려 어르신 상체를 세운 다음 어르신의 몸을 틀어 다리를 침대 아래로 떨어드린다. 휠체어는 건 측(건강한 부위)에 두고 발바닥을 바닥에 닿도록 한다.
7. 낙상 예방법
(1) 개인적요인 예방법
- 내적요인을 제거한다.
①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치료한다.
② 시력 및 청력의 장애를 제거한다.
③ 신경 및 근골격계를 건강하게 한다.
- 외적요인을 제거한다.
① 약물복용을 주의한다.
② 부적절한 주거환경을 제거한다.
③ 보행보조기를 사용하며, 부적절한 사용을 회피한다.
(2) 주변환경요인 개선
1) 전체주거공간의 환경개선
① 고정되지 않은 깔개를 없앨 것
② 카페트는 귀퉁이를 안전하게 고정시킬 것
③ 정리정돈을 깨끗이 할 것
④ 마루바닥에는 전선이나 줄을 없엘 것
⑤ 야간에도 전등을 켜서 조도를 유지할 것
⑥ 키가낮은 가구나 바닥의 물건을 없엘 것
⑦ 의자의 다리를 안전하게 유지할것
⑧ 계단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⑨ 너무 낮은 의자를 없엘 것
⑩ 바닥에 미끄러운 왁스를 칠하지 말 것
⑪ 전화기는 잡기 쉬운 곳에 둘 것
2) 욕조 및 화장실의 환경개선
① 변기와 욕조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② 욕조바닥을 미끄럽지 않게 고무를 깔 것
③ 변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용변을 용이하게 할 것
3) 실외환경의 안전유지
① 보도의 바닥을 평평하게 유지보수 할 것
② 외부 계단의 손잡이를 설치할 것
③ 보도주변의 수목을 가지런히 할 것
④ 출입구에 야간조명을 설치할 것
8. 낙상예방 간호중재
- 침상 최대한 낮게 유지
- 침대 바퀴는 항상 잠금장치 유지
- 침상 주변의 밝기와 다른 물건들은 환자나 보호자가 찾기 쉬운 곳에 위치
- 가능하다면, 낙상을 유발할 행동을 감시하기 위해 경고장치(alarm system) 이용
- 침대와 욕실에 조명 적당히 유지
- 바닥 표면 미끄럽지 않도록 유지
- 통로는 이용이 용이하도록 주변 정리하고 깨끗이 유지
- 병원 바닥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통행이 적은 시간을 이용하여 반드시 미끄럼 주의 안내판을 설치하고 반씩 나누어 청소
9. 느낀점
노인의 낙상에 관하여 조사하면서 가볍게만 여기던 낙상이 노인에게 얼마나 큰 악영향을 미치는지 알게 되었다. 앞서 말했듯이 낙상은 가벼운 타박상 뿐 아니라 골절, 염좌, 뇌손상,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 등 매우 위험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무엇보다 예방법이 중요하다고 느꼇고, 낙상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 계절 등을 찾아보며 더 효과적인 예방법을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