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Kohlberg의 하인즈 사례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정해 보세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 Kohlberg의 하인즈 사례 들려주고 주변 사람들(약 3명 정도)의 도덕성단계를 측정해 보세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덕성과 범죄의 상관관계
2. 도덕성에 대한 콜버그의 접근법 그리고 도덕성 발달단계
3. 하인츠 딜레마에 대한 응답
4.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에 따른 응답자들의 도덕성 측정 및 평가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할 수 있다.
즉, C는 자신의 의무를 수행하여 기존 사회시스템을 유지함에 우선적 가치를 둘 것이며 개인을 전체 조직과의 관련성 하에서 판단 즉, 개인은 사회의 일부라는 생각을 하는 인물로 평가된다. 따라서 범죄의 유혹이 있더라도 범죄로 나아갈 생각은 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Ⅲ. 결론
콜버그는 도덕적 갈등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개인의 도덕성을 제시했으며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도 도덕성의 발달로 인식하였다.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면.
또한 콜버그는 각각의 도덕성 발단 단계는 갈등 상황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제시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될 수 있으므로 해당 상황에서 부합하는 각자의 정의, 올바름이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유지연, 콜버그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한 도덕성 함양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면.
이러한 콜버그의 입장에 의한다면 절대적 정의란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에 대한 철학적 의문으로 다시 회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절대적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거대 담론은 본 고에서 논하기에는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에서 점증하는 청소년 범죄라는 갈등 상황은 청소년기의 윤리 의식의 결여에 있지 않은가라는 의문에서 시작했으며, 이를 논증하기 위해 하인츠 딜레마를 통해 응답자의 윤리적 단계를 평가하고 그들의 범죄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하인츠는 높은 단계의 학생이 도덕적으로 더 적절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으며, 유지연, 콜버그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한 도덕성 함양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5면.
응답자들이 3, 4, 6단계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 이르렀으며,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범죄로 나아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결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윤리적 발달 단계는 우리 사회의 범죄 발생과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인의 윤리성을 증진하여 범죄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후속 과제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은영,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유지연, 콜버그의 인지발달이론을 통한 도덕성 함양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임 웅, 형법총론 제11정판, 법문사, 2019.
대법원, 2021년 사법연감, 2022.
대법원, 2022년 사법연감, 2023.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1.19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7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