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에게 묻다 삶을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노력을 할 수 있다 1) 마음 트레이닝에 소개된 다양한 활동들을 참조하여 자신의 일상에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해 본 후, 2) 그중 3가지 방법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심리학에게 묻다 삶을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노력을 할 수 있다 1) 마음 트레이닝에 소개된 다양한 활동들을 참조하여 자신의 일상에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해 본 후, 2) 그중 3가지 방법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첫 번째 마음 트레이닝-감정의 척도화
1) 일상생활에서의 감정의 척도화의 적용
2) 적용 과정을 통한 나의 감정 변화(느낀 점)
3) 적용 과정을 통한 깨달음(배운 점)
(2) 두 번째 마음 트레이닝-감정 단어의 연습
1) 일상생활에서의 감정 단어 연습의 적용
2) 적용 과정을 통한 나의 감정 변화(느낀 점)
3) 적용 과정을 통한 깨달음(배운 점)
(3) 세 번째 마음 트레이닝-즐거운 활동
1) 일상생활에서의 즐거운 활동의 적용
2) 적용 과정을 통한 나의 감정 변화(느낀 점)
3) 적용 과정을 통한 깨달음(배운 점)
3. 결론
4. 참고 문헌 및 출처

본문내용

모두 외출하고 혼자 남는 일이 더 많아지고 있다. 어떤 주말은 하루 종일 집 밖으로 발 한 자국 떼지 못하는 날도 있다.
모자 눌러쓰고 편한 옷 입고 집 근처 롯데시네마나 CGV를 가서 보고 싶었던 영화 할인받아 관람하고 나올 때는 너무 짜릿하다. 적당한 영화가 없을 경우는 샌드위치 하나 사서 폰만 챙기고 근처 공원으로 간다. 적당한 자리를 잡아 이어폰을 꽂고 보고 싶은 드라마나 영화를 틀면 집에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왔다 갔다 먹고 노는 사이에서 더 집중이 잘 되는 것도 놀라운 일이지만 샌드위치를 먹을 때는 뭐라 말할 수 없게 기분이 좋다.
2) 적용 과정을 통한 나의 감정 변화(느낀 점)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활동이 있다. 나 역시 가장 좋아하고 아무리 해도 질리지 않는 취미가 있다. 속상하거나 화가 난 일이 있어도 유재석이 나오는 예능 한편을 보고 있으면 어느새 입이 슬며시 벌어져 있다고 한다. 내가 너무 단순하나? 생각한 적도 있지만 내가 질리지 않을 만큼 좋아하는 취미라고 결정 내리려 한다. 전과 후의 내 감정 변화를 주의 깊게 살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는데 활동 후의 나는 우중충했던 기분이 싹 없어진 내가 되어 있으니 우울한 감정에 나를 가둬두지 않게 해 줘서 고마울 뿐이다.
3) 적용 과정을 통한 깨달음(배운 점)
즐거운 활동이란 용어를 알기 전에는 그랬던 적도 있다. 내가 지금 기분이 안 좋은데 이 감정도 좀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는. 너무 쉽게 풀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지는 않을 거라 생각했던 것 같다. 우울한 기분에 나를 가두고 긴 시간을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시간을 보낸다고 상상을 해봤다. 그렇게 보낸 시간들은 나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고 그 어떤 것도 얻을 수 없을 것 같다. 무언가를 하고 분위기를 바꿔보려는 게 부질없게 보일 수도 있지만 나를 더 아껴주고 사랑해 주는 방법은 후자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혹시 좋아하는 활동이 없을 경우, 여러 가지 활동들을 시간을 들여 경험해 보고 자신의 감정과 기분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봤으면 좋겠다. 결코 거창한 활동일 필요는 전혀 없다.
3. 결론
이 세상에는 다양한 성격과 다양한 생김새를 가진 수많은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다.
나와 너의 생각이 같고 우리 모두의 성격이 틀에 맞춘 것처럼 똑같다면 누군가의 행동에 대한 반응이나 결괏값은 누구라도 예상할 수 있기에 아무런 갈등도 문제도 생기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어제와 또 다른 오늘을 다양한 사람들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님을 우리는 안다. 모든 게 빠르게 변하는 현대사회 구성원들의 개성과 특성은 더 뚜렷해지고 있기에 사람 간의 관계에서 오는 갈등과 문제도 더 다양해질 수밖에 없다. 결국 나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내 감정을 잘 파악하고 조절하여 나를 다스리는 일이다. 이것은 나의 정신을 더욱 건강하게 해 주는 일이며 결국 나를 아끼는 일이다.
4. 참고 문헌 및 출처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 가격3,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2.01
  • 저작시기2024.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9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