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술 막걸리 !!!!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한국의 술 막걸리
♠ 술의 유래
♠ 막걸리의 유래
♠ 막걸리 제조방법 및 과정
♠ 이화주
♠ 막걸리의 특징
♠ 누룩의 유래
♠ 누룩디디기
♠ 누룩의 종류
♠ 누룩의 모양

본문내용

룩 제법과 비슷한 형식의 흩임 누룩 제조법이었다.
이렇게 빚은 누룩에는 주로 붉거나 노란 곰팡이가 생기기 때문에 홍국(紅麴)이라 불리어 졌으며, 주로 술
이외에도 초나 젖 담그는데도 사용되었다. 천대홍주(天坮紅酒)에는 홍국이 사용되지만, 관서 감홍로 (關西甘紅
露)에는 지초를 사용해서 붉은 기를 낸다고 쓰여 있으며, 현재도 지초는 전통주인 진도 홍주를 만들때 쓰인다.
☞ 향온국
향온국은 보리가루와 녹두가루를 섞어 누룩을 만드는 방법으로 녹두국(綠豆麴) 제법대로 빚으면서 쌀 대신에
보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누룩은 향온주와 내국홍로방에 사용된다.
♠ 누룩의 모양
누룩의 모양은 지방에 따라 다르며 크기와 품질도 다르다. 대개원형 원판형 네모형 또는 원판형이나 네모형
가운데 구멍이 뚫린 모양이다. 누룩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수분이 쉽게 발산되어 균의 침투가 좋지 않아 숙성이
잘 안되고 너무 얇으면 시일내에 숙성되어 색깔은 좋지만 향미가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술찌개미가 많아 주량이
적어진다. 반대로 너무 두꺼우면 내부의 수분발산이 곤란하여 품온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고 제조 후 건조가 어렵
다. 누룩고리는 누룩을 성형하기 위한 용기로 누룩틀 이라고도 한다. 누룩고리는 나무와 짚을 이용하여 만든 것
이 주류를 이루는데 대리석을 깔아 만든 석물과 쇠를 녹여 만든 주물형태의 것도 있다. 흔히 얇게 켠 송판을
이용, 체를 만들 때와 같이하여 칡덩굴이나 삼끈으로 묶고 새끼줄을 감아 만든 누룩고리가 있는가 하면, 괴목 등
의 통나무에 한 두개의 구멍을 파서 만든 것도 있고 송판을 정방형으로 짜 맞춘 것도 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1.09.29
  • 저작시기20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