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아 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이데아 란 무엇인가?
1. 정의

2. 플라톤의 이데아

3. 플라톤의 중기 대화편에서의 이데아에 증명에 대한 서술과정

본문내용

근거세우기의 방법은 끝나고 만다. "어떻게 같음 자체가 있다는 근거를 세울 수 있는가?" 분류와 관련된 인류의 행위와 관련하여 유사한 것을 한테 묶고 그것에다가 같은 이름을 붙인다. 참여와 관련해서는 같은 사물과 같음 자체의 유사함을 찾아내고, 그 유사함을 추상호하여 정도의 구별로서 드러나는 유사성을 종류의 구별로 만들면서 같음 자체를 이끌어낸다. 근거세우기와 참여 이론에서 공통된 현상은 같음은 남기고 다름은 없애버린다는 것이다. 다름이 없어지는 까닭은 다름이 생존을 보장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플라톤이 지식과 의견에 관한 자신의 이론과 근거세우기와 연역의 방법 사이에 부정합성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는가? 아니면 알고 있었지만 언급하지 않았을 뿐인가? 플라톤이 주장하는 근거세우기와 연역의 방법은 근거에 의해 설명되는 현상 그 자체는 잘못 이해될 여지가 없다는 조건을 필요로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상과 그에 관한 근거의 귀결을 대조 할 수 없게된다. 그런데 한편으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입을 빌어 감각 기관들은 틀리기 쉬운 의견을 낳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문제는 현상에 대한 파악이 감각 기관들에 의존한다는 데 있다.
형상인 같음 자체는 인식의 기준이며 형상의 인식 진리이다. 또한 형상과 개별 사물 사이에 일치가 성립하면, 그것은 진리이고 일치가 성립하지 않으면 진리가 아니다. 그런데 이미 언급했듯이 형상은 진리이지만, 개별 사물은 억견으로서 진리가 아니다. 그럼으로 형상과 개별 사물 사이에는 어떤 일치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근거세우기와 연역의 방법은 이데아론의 기초를 위태롭게 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2.07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