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붕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학교붕괴의 현상들
(2) 학교 붕괴의 원인
1) 학생요인
2) 교사요인
3) 교장 요인
4) 학부모 요인
5) 사회적 요인
6) 정책 요인
7) 기타 요인
(3) 대안 제시

Ⅲ. 결론

본문내용

모는 내 자식만 챙기는 막무가내식 이기주의를 버리고, 남을 존중하고 협동하는 가치관을 자식에게 심어줄 수 있도록 노력하고, 학교 교육에 대한 신뢰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둘째로는 학교와 교사가 능동적으로 변해야 한다. 학교와 교사는 소위 N세대(network generation)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최소한 변화한 시대와 학생을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을 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학교는 학교규율을 재정비하고 인간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학생이 가고 싶은 곳, 즐거운 곳, 더 머물고 싶은 곳으로 변해야 하며, 시대의 변화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인성교육, 도덕교육, 민주시민교육, 창의성 신장교육, 그리고 구체적인 진로교육 등이 강조되어야 한다. 교사는 청소년의 문화와 가치관을 이해함으로서 학생과의 벽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하고 정보화 마인드를 가지고 교육과정을 21세기형 학생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교육할 수 있는 전문성을 신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성을 토대로 하는 새로운 각오와 연수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로 교직 사회의 불안을 제거하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가 불안하면 교육을 기대할 수 없다. 요즘 교사들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정부와 교장의 몫이다. 정부나 교장은 교원에게 신뢰감을 주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연금제도나 정년문제, 생계 등의 문제를 공론화해서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정책을 세워야 한다. 교장은 교사들 스스로 자부심과 사명감을 갖도록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로는 교육재정과 시설을 개선하여야 한다. 무엇보다 교육재정을 확보하여 학급당 학생수를 줄이고 더 좋은 학교 시설, 환경을 만들어야 사교육과 과외 수요를 학교 안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물론, 현재 시행중인 특기, 적성 교육활동을 내실있고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Ⅲ . 결론
청소년기는 개인의 인성과 도덕, 지식과 건강, 공동체의식과 민주의식, 가치관 등을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래 준비를 통하여 인생의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교육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 교육 공동체 모두가 기를 펴고 살 수 있는 교육 정책이 필요하다. 학교는 학생들에게 학습과 생활을 통해 꿈과 희망을 주는 재미있는 곳, 교사에겐 보람과 긍지를 주는 즐거운 곳, 학부모에게는 자녀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포근한 곳이 되어야 한다.
교사는 시대변화에 무감각한 고정관념을 더 이상 고집하지 말고, 자율적 풍토에서 자란 소위 '열린교육'을 받은 신세대 학생들을 열린 마음으로 이해하려는 유연하고 융통성있게 사고하는 훈련과 교육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의 '학교붕괴' 현상을 극복하고 새로운 세기를 위한 교육에 앞서가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 교사와 교장, 사회 구성원 모두가 힘과 지혜, 고민들을 모아야 할 것이다. 물론 이 필자 역시 학교 현장에서 이런 고민들을 안고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다짐하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4.14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3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