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개요
II.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III.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관계
-요약자료
II.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III.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관계
-요약자료
본문내용
능력 = f ( 적성 x (훈련 + 경험)
②Sutermeister: 지식과 기술에 의해 결정
지식-교육, 경험, 훈련, 흥미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기술-위 요소 뿐만 아니라 적성과 성격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③Campbell & Prichard: 적성, 기술, 과제에 대한 이해
2) 성격특성과 역할지각 요인
·직무수행 = f (동기 x 능력 x 성격특성)
-적재적소 선발과 배치문제를 동기관리의 근본적인 선행조건으로 다룸
·직무수행 = f (동기 x (능력·성격특성) x 역할)
-역할명료성과 역할갈등에 관심
-역할: 어떤 직무를 맡은 개인 자신이나 타인에 의해 기대되는 행동
-역할모호성: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명확히 한정지을 수 없을
경우
-역할갈등: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역할이 동시에 부여된 경우
3. 직무동기 수준과 직무수행 수준과의 관계
·가장 단순한 견해: 일차함수 관계 상정(동기 高 -> 수행 高)
·reverse-U 관계도 있을 수 있음
-지나친 경쟁압력하에서 수행하거나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지나치게 높은 동기수준은 효율적 수행에 저해될 수 있음
·과제의 성질, 보상 크기, 상황에 따른 개인의 불안수준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어떤 요인이 작용해서 동기와 수행간의 관계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가?
선형관계의 조건: ①과제의 성질: 난이도 낮을수록
②보상의 크기: 보상이 크면
③개인의 불안수준: 불안이 높지않으면
·reverse-U 관계의 경우;
①인지적으로 좁은 시야: 동기수준 높아지면 목표달성에 주의를 집중한 나머 지, 새롭거나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시야가 오히려
좁아져서 필요 정보를ㄹ 취하지 못하기 때문
②정서적 부작용: 동기가 높아지면 불안과 같은 강한 정서상태가 유발되어서 이로 인해 수행이 저하됨
만족, 동기, 수행의 상호관계(요약자료)
I. 개요
·직무만족, 동기, 수행 간에는 일차함수적인 정적 상관관계를 가정할 수 있는가?
-종래의 입장: 만족 -> 동기 -> 수행(행복한 작업자가 생산성이 높다)
-세 요소간의 상호관계는 상당히 복잡(수행 -> 만족)
II.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1. 직무만족의 개념
1) 정의
2) 직무만족의 내용
① 직무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 vs. 직무와 관련된 단면 각각에 대한 만족?
② 직무의 단면 또는 요인은 얼마나 되는가?
③ 직무요인별 만족에 의해 전체적 직무만족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④ 생활 전반의 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
3) 직무불만족으로 인한 부작용
·개인목표 관련
·조직목표 관련
4) 장기적 직무만족의 효과
2.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1) 높은 직무만족 - 높은 직무동기
2) 낮은 직무만족 - 낮은 직무동기
3) 높은 직무만족 - 낮은 직무동기
4) 낮은 직무만족 - 높은 직무동기
3. 직무만족 이론
1) 욕구충족 이론(Schaffer, Maslow)
2) 성과차이 이론(Katzel, Locke)
3) 형평이론(Adams)
4) 이요인 이론(Herzberg)
5) 유인가 이론(Vroom)
III.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관계
1. 개요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은 조직과 구성원이 각각 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목표
2. 직무만족 -> 직무수행
3. 직무수행 -> 직무만족
4. 제3요인에 의한 공변관계
5. 직무만족 <-> 직무수행
III. 직무동기와 직무수행의 관계
1. 개요
·대부분의 동기화 계획의 기본 가정: 동기화될수록 생산성이 높아질 것이다
·동기와 수행의 일차함수관계가 항상 성립되지는 않음
2. 동기 이외의 직무수행 결정요인(능력, 성격특성, 역할지각)
1) 능력
2) 성격특성과 역할지각 요인
3. 직무동기 수준과 직무수행 수준과의 관계
②Sutermeister: 지식과 기술에 의해 결정
지식-교육, 경험, 훈련, 흥미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기술-위 요소 뿐만 아니라 적성과 성격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③Campbell & Prichard: 적성, 기술, 과제에 대한 이해
2) 성격특성과 역할지각 요인
·직무수행 = f (동기 x 능력 x 성격특성)
-적재적소 선발과 배치문제를 동기관리의 근본적인 선행조건으로 다룸
·직무수행 = f (동기 x (능력·성격특성) x 역할)
-역할명료성과 역할갈등에 관심
-역할: 어떤 직무를 맡은 개인 자신이나 타인에 의해 기대되는 행동
-역할모호성: 직무에서 요구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명확히 한정지을 수 없을
경우
-역할갈등: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역할이 동시에 부여된 경우
3. 직무동기 수준과 직무수행 수준과의 관계
·가장 단순한 견해: 일차함수 관계 상정(동기 高 -> 수행 高)
·reverse-U 관계도 있을 수 있음
-지나친 경쟁압력하에서 수행하거나 복잡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 지나치게 높은 동기수준은 효율적 수행에 저해될 수 있음
·과제의 성질, 보상 크기, 상황에 따른 개인의 불안수준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어떤 요인이 작용해서 동기와 수행간의 관계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가?
선형관계의 조건: ①과제의 성질: 난이도 낮을수록
②보상의 크기: 보상이 크면
③개인의 불안수준: 불안이 높지않으면
·reverse-U 관계의 경우;
①인지적으로 좁은 시야: 동기수준 높아지면 목표달성에 주의를 집중한 나머 지, 새롭거나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시야가 오히려
좁아져서 필요 정보를ㄹ 취하지 못하기 때문
②정서적 부작용: 동기가 높아지면 불안과 같은 강한 정서상태가 유발되어서 이로 인해 수행이 저하됨
만족, 동기, 수행의 상호관계(요약자료)
I. 개요
·직무만족, 동기, 수행 간에는 일차함수적인 정적 상관관계를 가정할 수 있는가?
-종래의 입장: 만족 -> 동기 -> 수행(행복한 작업자가 생산성이 높다)
-세 요소간의 상호관계는 상당히 복잡(수행 -> 만족)
II.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1. 직무만족의 개념
1) 정의
2) 직무만족의 내용
① 직무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 vs. 직무와 관련된 단면 각각에 대한 만족?
② 직무의 단면 또는 요인은 얼마나 되는가?
③ 직무요인별 만족에 의해 전체적 직무만족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④ 생활 전반의 만족과 직무만족의 관계?
3) 직무불만족으로 인한 부작용
·개인목표 관련
·조직목표 관련
4) 장기적 직무만족의 효과
2. 직무만족과 직무동기의 관계
1) 높은 직무만족 - 높은 직무동기
2) 낮은 직무만족 - 낮은 직무동기
3) 높은 직무만족 - 낮은 직무동기
4) 낮은 직무만족 - 높은 직무동기
3. 직무만족 이론
1) 욕구충족 이론(Schaffer, Maslow)
2) 성과차이 이론(Katzel, Locke)
3) 형평이론(Adams)
4) 이요인 이론(Herzberg)
5) 유인가 이론(Vroom)
III.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의 관계
1. 개요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은 조직과 구성원이 각각 추구하는 가장 기본적인 목표
2. 직무만족 -> 직무수행
3. 직무수행 -> 직무만족
4. 제3요인에 의한 공변관계
5. 직무만족 <-> 직무수행
III. 직무동기와 직무수행의 관계
1. 개요
·대부분의 동기화 계획의 기본 가정: 동기화될수록 생산성이 높아질 것이다
·동기와 수행의 일차함수관계가 항상 성립되지는 않음
2. 동기 이외의 직무수행 결정요인(능력, 성격특성, 역할지각)
1) 능력
2) 성격특성과 역할지각 요인
3. 직무동기 수준과 직무수행 수준과의 관계
추천자료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만족과의 관계 (의류쇼핑 소비자행동)
공기업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중국진출기업의 경영환경 및 투자만족도 조사
해외배낭여행의 요인에 따른 만족도
하이마트 고객만족 성고사례
대학생 휴대폰 이용실태 및 만족요인 분석 설문지
경영조직론상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하여
서비스경영 교보문고 고객만족
내부고객(종업원)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
노트북 구매행동과 만족도 조사 설계안.ppt
병원病院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CS)경영 10가지 원칙
[수업지도안] 만족스런 도덕이론이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 사회사업의 기반이 되는 도...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한 조직의 주요활동 사례를 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