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2.종류
3.Deci(1970, 1975)의 내적 동기 관리법 : 참여적 접근
4.내적동기의 연구경향과 과제
5.결론 및 평가
2.종류
3.Deci(1970, 1975)의 내적 동기 관리법 : 참여적 접근
4.내적동기의 연구경향과 과제
5.결론 및 평가
본문내용
1.정의 : 특정한 행동을 수행하게 하는 동기가 외적인 보상이 아닌, 활동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할 때, 그 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이 더 큰 만족감을 갖는다는 이론.
2.종류
⑴ de Charms 의 내외인과성(locus of causality)
핵심 : 원래 내적으로 동기화된 반응에 외적 보강물이 주어지게 되면 이 외적 보강물이 원래 보상을 받지 않았던 그 이전보다도 반응의 확률을 떨어뜨린다는 것.
가정 : 내적 동기를 결정짓거나 증진시키는 데는 자기자신이 행동의 원인이라는 경험이 가장 중요.
행동의 두 가지 구분 : 개인이 처한 개관적 상황이나 사실보다 지각의 측면이 중요.
- 자발적 행동 : 행동의 원인 – 개인적 원인
- 타율적 행동 : 행동의 원인 – 타율적 행동
자발적 행동 – 타율적 행동 측정도구 및 훈련계획 개발
- 훈련계획의 기본요소
① 자기연구 : 집단의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기본동기 깊이 고려.
② 내적 목표설정 : 훈련상황에서 자신의 동기에 따라 현실적 장 단기 목표설정
③ 계획과 목표 지향 행동 : 설정한 목표의 구체적인 활동 계획
④ 개인적 책임의 경험 : 목표도달시도의 성공여부 및 목표들에 대한 책임감.
특이점 : 자신의 행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내적동기개발을 시도.
⑵ Deci 의 인지적 평가 이론
핵심 : 인간이 지니고 있는 자결성과 유능성이라는 두 가지 욕구를 충족시킬 수만 있다면 인간은 어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내적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수행수준에 따른 모상의 경쟁적 제공방법이 내적동기를 저하시킨다.
가정 : 자기 생활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사건들을 스스로 통제하며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려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이다.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첫번째 : 자결성의 감정과 지각에 기반을 둠.
- 두번째 : 유능성의 감정과 지각에 기반을 둠.
- 보상의 기능적 측면 : 내적동기 저하.
⑶ 자기지각 이론들
Lepper, Greene 및 Nisbett(1973)의 과정당화가설
- 어떤 외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명백한 수단으로써 일정한 활동에 종사시키게 되면, 이 활동에 대한 내적 흥미가 저하될 수 있다. – 원래 바라던 활동을 다른 어떤 숨겨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행하도록 유도하면 그 활동 자체를 목표로 보지 않게 될 것이다.
Ross(1975, 1976)의 보상의 현저성가설
- 보상의 현저성과 우세성, 수행상의 성공수준과 관련 없이 주어지는 보상은 내적동기를 저하시킨다.
- 시사점 : 외적보상의 중요성을 인정하되 보상체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하여야 한다.
Staw(1976)의 자기지각이론적 해석
외적보상수준
낮음 높음
불충분 정당화 조건(불안정한 지각) 외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으로 지각
내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으로 지각 과정당화 조건
(불안정한 지각)
낮음
내적보상수준
높음
- 외적보상이 내적 동기의 증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외적보상에 대한 비판에 한계점이 있음을 명시하려고 시도.
⑷ Kruglanski(1975)의 내생적 귀인이론
내생적 귀인 : 행위 그 자체가 이유로서 귀인되는 경우
외생적 귀인 : 행위 이외의 외생적인 또 다른 목표를 매개하는 수단이 되는 경우.
2.종류
⑴ de Charms 의 내외인과성(locus of causality)
핵심 : 원래 내적으로 동기화된 반응에 외적 보강물이 주어지게 되면 이 외적 보강물이 원래 보상을 받지 않았던 그 이전보다도 반응의 확률을 떨어뜨린다는 것.
가정 : 내적 동기를 결정짓거나 증진시키는 데는 자기자신이 행동의 원인이라는 경험이 가장 중요.
행동의 두 가지 구분 : 개인이 처한 개관적 상황이나 사실보다 지각의 측면이 중요.
- 자발적 행동 : 행동의 원인 – 개인적 원인
- 타율적 행동 : 행동의 원인 – 타율적 행동
자발적 행동 – 타율적 행동 측정도구 및 훈련계획 개발
- 훈련계획의 기본요소
① 자기연구 : 집단의 따뜻한 분위기 속에서 자신의 기본동기 깊이 고려.
② 내적 목표설정 : 훈련상황에서 자신의 동기에 따라 현실적 장 단기 목표설정
③ 계획과 목표 지향 행동 : 설정한 목표의 구체적인 활동 계획
④ 개인적 책임의 경험 : 목표도달시도의 성공여부 및 목표들에 대한 책임감.
특이점 : 자신의 행동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내적동기개발을 시도.
⑵ Deci 의 인지적 평가 이론
핵심 : 인간이 지니고 있는 자결성과 유능성이라는 두 가지 욕구를 충족시킬 수만 있다면 인간은 어떤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내적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수행수준에 따른 모상의 경쟁적 제공방법이 내적동기를 저하시킨다.
가정 : 자기 생활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사건들을 스스로 통제하며 자신이 유능하다고 느끼려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이다.
내적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첫번째 : 자결성의 감정과 지각에 기반을 둠.
- 두번째 : 유능성의 감정과 지각에 기반을 둠.
- 보상의 기능적 측면 : 내적동기 저하.
⑶ 자기지각 이론들
Lepper, Greene 및 Nisbett(1973)의 과정당화가설
- 어떤 외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명백한 수단으로써 일정한 활동에 종사시키게 되면, 이 활동에 대한 내적 흥미가 저하될 수 있다. – 원래 바라던 활동을 다른 어떤 숨겨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행하도록 유도하면 그 활동 자체를 목표로 보지 않게 될 것이다.
Ross(1975, 1976)의 보상의 현저성가설
- 보상의 현저성과 우세성, 수행상의 성공수준과 관련 없이 주어지는 보상은 내적동기를 저하시킨다.
- 시사점 : 외적보상의 중요성을 인정하되 보상체제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하여야 한다.
Staw(1976)의 자기지각이론적 해석
외적보상수준
낮음 높음
불충분 정당화 조건(불안정한 지각) 외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으로 지각
내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으로 지각 과정당화 조건
(불안정한 지각)
낮음
내적보상수준
높음
- 외적보상이 내적 동기의 증진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외적보상에 대한 비판에 한계점이 있음을 명시하려고 시도.
⑷ Kruglanski(1975)의 내생적 귀인이론
내생적 귀인 : 행위 그 자체가 이유로서 귀인되는 경우
외생적 귀인 : 행위 이외의 외생적인 또 다른 목표를 매개하는 수단이 되는 경우.
추천자료
(일반심리학) 동기이론과 접근방법에 관한 총체적 이해
교육심리학 '동기이론'에 대하여
[교육행정]동기부여이론
공무원의 안일함에 숨어있는 동기이론
[리더쉽]동기부여이론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와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에 대해 설명.
매슬로우의 욕구단계와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에 대해 설명하시오
[행정학]동기부여이론
머레이의 욕구 및 동기이론 요약
인지부조화론에 근거하고 있는 동기이론을 설명
인지부조화론에 근거하고 있는 동기이론을 설명
[조직과 리더십] 동기부여이론과 사례
M&A(기업인수합병) 동기이론 (M&A와 기업목표, M&A의 제이론)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에 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