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동기부여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내용이론

(1) 합리적 경제적 인간관

(2)사회적 인간관(인간관계론적 욕구이론)

(3) 성장이론(자기실현적 인간관)

(4) Z이론

(5) Schein의 복잡한 인간관

3. 과정이론

본문내용

1) Georgopoulos 등의 경로-목표이론
Georgopoulos 등은 생산활동을 하려는 개인의 동기는 자신이 추구하려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자신의 행동이 하나의 수단 또는 경로로써 얼마나 유용성이 있는지에 대한 지각에 달려있자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즉, 근로자가 자신의 높은 생산성을 개인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되는 경로(수단)이라고 생각할 경우 자신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려 하지만, 반면에 낮은 생산성이 자신의 목표달성에 도움이 되는 경로라고 생각할 경우에는 자신의 생산성을 낮추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로-목표이론은 조직구성원의 직무동기가 업무행태(생산활동)의 결과로 주어지는 이익이 존재할 것이라는 기대 또는 추정된 확률에 의존한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이론의 한 범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2) Vroom의 기대이론
Vroom의 기대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여러 가지 행동대안(방향)이 가져오게 될 어떠한 결과에 대해 주관적으로 가치를 부여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고 있다. 즉 어떠한 행동으로 인하여 기대대되는 다양한 결과에 대하여 어떤 것이 더 좋고 안좋은지에 대한 선호를 갖는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정에 근거해서 Vroom은 어떠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동기의 강도는 그 행동이 가져오게 될 어떠한 결과에 부여하는 가치의 크기와 특정한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면 그러한 결과가 주어질 수 있다는 믿음의 정도 또는 수단성 그리고 열심히 노력하면 어떠한 성과를 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을 서로 곱한 것에 비례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Vroom의 기대이론을 단순화하여 수식으로 표현하면 M=f(E,I,V)가 된다.
M(motivation force) : 어떠한 일을 열심히 하고자 하는 동기의 강도
E(expectancy) : 자신의 노력이 어떠한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I(instrumentality) : 수단성(도구성). 개인이 달성한 직무성과가 자신이 바라는 결과
(보상)을 얻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의 정도
V(valence) : 유인가. 어떠한 결과(보상)에 대해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중요성)의 크기
또는 선호의 강도
(3)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업적·만족이론)
Porter와 Lawler는 Vroom 등의 초기 기대이론을 수정, 발전시켜 좀 더 복잡한 이론모형을 제시하고 있는데,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근무성과(직무성취 또는 업적)와 그로 인한 보상에 부여하는 가치 그리고 노력이 보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대가 열심히 일하고자 하는 직무동기를 좌우한다. 노력에 의한 근무성과는 개인에게 만족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만족감은 성과향상으로 인한 외재적 보상(보수, 승진 등)과 내재적 보상(성취감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데 자신에게 주어진 보상이 다른 직원에게 주어진 보상과 비교하여 공평한 것이라고 생각하거나 느끼면 만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부상에 대한 만족도의 크기는 향후 동기유발과정에서 보상의 유인가(보상에 대해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의 크기 또는 선호의 강도)에 영향을 주며, 노력의 결과 실ㅊ제로 얻게된 근무성과는 앞으로도 노력하면 성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영향을 주면서 환류(feed back)가 이루어짐에 따라 동기유발의 과정이 전체적으로 다시 반복하게 된다.
위와같은 Porter와 Lawler의 기대이론이 Vroom 등의 초기 이론과 다른 점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감이란 변수를 중요변수로 제시하였으며 이전의 이론에서는 개인의 만족도에 의해 근무성과가 결정된다고 보았지만 Porter와 Lawler는 보상이 공평할 경우 근무성과의 향상이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근무성과는 노력뿐만아니라 능력과 자직(개인적 특성), 역할지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wuja을 제시하였다.
셋째, 보상 그 자체뿐만 아니라 타인과 비교되는 보상의 공평성에 대한 지각이 만족감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Vroom과는 달리 동기유발과정에서 환류과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즉 조직구성원의 노력이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고 성과향상에 따른 외재적·내재적 보상이 공정하다면 만족감이 높아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시 만족감의 향상이 직무수행노력을 증진시키며, 노력의 결과 얻게된 성과 향상도 노력하면 성과를 올릴 수 있다는 기대감을 크게하여 직무수행 노력을 증진시키는 환류과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2.29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3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