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철학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
서론
1.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생애
2. 주요 저서
◎순수이성비판 (純粹理性批判 Kritik der reinen Vernunft)
◎실천이성비판 (實踐理性批判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판단력비판 (判斷力批判 Kritikder Urteilskraft)

본론
1. 칸트가 살았던 당시의 시대상황
2. 칸트의 사회철학 사상
(1) 칸트의 윤리학의 기본 개념
***이성적 존재(理性的 存在)로서의 인간-
***선의지(善意志)와 의무(義務)-
***순수이성(純粹理性)과 실천이성(實踐理性)-
***정언 명법(正言 命法)-
***목적 왕국(目的 王國)-

(2) 칸트의 법철학
***사법-재산법(財産法)-
***사법: 개인법(個人法)-
***사법: 가족법(家族法)-
***공법(公法)-

결론
1. 의의
2. 비판적 평가

본문내용

저항이 전체 헌법을 무효로 만들기 때문이다. 만일 국민의 저항이 허용되기 위해서는, 이를 허용하는 공법이 있어야 한다. 만일 적극적 저항이 인정된다면, 최고입법인 헌법이 그 자체로 모순에 빠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법적인 상태가 있는 경우, 정당한 상태는 오직 법적인 방식으로만 성립될 수 있다. 때문에 모든 적극적인 저항권은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이 칸트의 견해이다. 따라서 가장 가혹한 전제정치가 행해진다 해도 폭군 살해자는 정당화 될 수 없으며, 그 폭군을 사형시킨다는 것은 법이라는 미명하에 자행된 살인과 다름없는 일이라고 보았다.
Ⅲ. 결론
1. 의의
칸트의 철학은 신학과 동시에 철학의 미래적인 발전에 엄청난 의미를 갖는다. 철학 분야에서는 코페르티쿠스가 천문학에 가져온 대혁명에 견줄 만했다. 신학에 미친 그의 철학의 의의는 자신이 예견했던 것을 훨씬 넘어섰는데 - 여기에 대해서는 본장의 뒷부분에서 다루기로 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그의 저서들은 새로운 시대의 전환기인 18세기 합리주의의 정상에 있었으므로 신학의 분야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무엇을 말하였는지 주의깊게 살펴 보려고 한다. 그는 신학적 이해에 있어서도 인식론의 문제에 접근할 때와 동일하게 철저한 조직성을 갖고서 접근했기 때문에, 그의 신학 사상은 신학적 합리주의를 설득력있게 표현했다는 점에서 우리의 관심을 끈다.
2. 비판적 평가
칸트의 도덕 철학은 첫 번째, 칸트의 도덕철학은 실천이성과 선의지에 대한 극단적인 신뢰에 기초하고 있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것은 근대 계몽주의의 전형적인 태도로서 우리는 과연 이것이 수용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두 번째, 갈등의 해결 상황에서 두 행위 모두가 도덕법칙에 따른 의무일 때 둘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선택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단점을 지닌다. 정언명법이라는 것이 형식적인 것에 불과하고 내용적인 지침을 제대로 주지 못한다. 세 번째 칸트의 내면적인 심정과 의무라는 동기의 강조라는 것이 행위자 자신 외에는 어느 누구도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도덕이라는 것이 외부의 평가를 중요한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이는 실천이성·선의지에 대한 굳건한 신뢰 외에는 다른 외부적 평가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칸트가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강조하여 자율적 인간, 도덕 입법적 인간을 확립하였고 이성적 인간상을 확립하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부인할 수 없는 큰 기여를 하였지만, 그의 도덕률은 인간에게 준엄하지만 그러나 불가능한 요구를 강요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칸트의 사회철학 사상으로서의 법철학은 이것이 당시의 프러시아의 가혹한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는 자유를 보장하는 법과는 거리가 먼 왕의 법률에 무기력한 저항, 완전한 복종의 형태로 나타날 뿐이었다. 그의 순수한 철학적 입장은 이성의 존엄성을 예찬하였으나 현실정치에 있어서는 무책임한 동물적 요구로 인해 그것은 한낱 공허한 이상이 되거나 부당하게 시행되는 법조차 정당화시키는 수단이 되고 말았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앞에서 말한 저항에 대한 칸트의 신중한 태도 표명을 볼 때 그것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프로이센에서 칸트 사후 몇 년 뒤에 이루어진 제한된 시민개혁은 국민의 압력이 아니라 지도적 위치에 있었던 국왕의 관리들의 계몽된 의지의 힘을 입었다는 점을 간과하여 그를 평가해서는 안될 것이다.
***참고자료***
사회철학 입문, 한스핑크 풀빛 1983.
윤 리 학, 김영철 학연사 2002.
http://ca.geocities.com/jazzchul2000/kant/kant.htm
http://kr.encycl.yahoo.com/final.html?id=15068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2.06.2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