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2. 고구려 문화의 전개와 고분벽화

3. 고구려 고분벽화의 시대별 지역별 특징

본문내용

성적이다.
5세기 후반의 늦은 시기로 편년되는 쌍영총(雙楹塚)은 벽화 중의 사신 비중이 높아지면서 생활풍속의 후퇴가 뚜렷이 진행되던 시기의 생활풍속계열 벽화 고분이다. 널길 좌우벽에 행렬, 앞방 입구 좌우벽에 수문위사(守文衛士), 앞방 좌우벽에 청룡과 백호, 안벽 좌우에 문지기를 그렸으며, 앞방과 널방 사이에 세워진 두 개의 8각 돌기둥에는 용, 널방 앞벽 위의 소슬그림 사이에 주작 한 쌍, 왼벽 윗부분에 귀부인공양행렬, 안벽에 묘주인부부정좌상과 쌍현무(雙玄武)를 묘사했다. 벽화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인물과 사신, 연꽃의 배치와 묘사이다. 인물들은 고구려의 전형적인 인물들을 그려넣었는데, 인물에 따라 얼굴 형태와 표정에 변화를 줌으로써 개성을 드러내려 하고 있다. 특이한 것은 널방 안벽의 묘주인부부는 여전히 개성 없는 신상형(神像形)인물로 그려졌으며 그 크기는 오히려 작아졌다는 것이다. 이는 5세기 중엽 전후 고구려 사회에 풍미하던 불교의 전생적 내세관 및 정토왕생신앙의 영향으로 재래의 현세 재현 중심의 계세적(繼世的) 내세관이 약화되면서 무덤칸 안에 묘주인 부부를 그려 넣을 필요성이 낮아진 것과 관련이 깊은 현상으로 이해된다.
5세기 집안·환인 지역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8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