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지역 답사에관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내용

심 스테파노 한 분뿐이다.
「치명일기」에 나타나는 심 스테파노에 관한 내용을 보면 "본디 강릉 굴아위에 살더니, 무진 5월에 경포(포도청 포졸)에게 잡혀 지금 풍수원 사는 최 바오로와 함께 갇히었다. 치명하니 나이는 29세 된 줄은 알되 치명한 곳은 자세히 모르노라."고 기록돼 있다.
하지만 교회 전통 사학자들의 연구 결과와 지금까지 구전으로 전해 오는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병인박해 때 많은 신자들이 강릉 칠사당과 임영광에서 심문을 받고 순 교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칠사당과 객사문은 강릉 시청 바로 옆과 뒤편에 있기 때문에 찾기 쉽다. 영동 고속 국도를 타고 강릉에 진입해 곧장 들어오면 왼편에 강릉 시청과 함께 칠사당이 보인다. 강원도 유형 문화재 제7호인 칠사당은 대도호 부윤(大都護府尹)이 주재하던 조선시대 관공서로 호적(戶籍), 농사(農事), 병무(兵務), 교육(敎育), 세금(稅金), 재판(裁判), 풍속(風俗)에 관한 일곱 가지 정사(政社)를 베풀던 곳이다. 따라서 '칠사당'이란 현판은 은유적인 표현이 아니고 실제적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 건물의 최초 건립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인조 10년(1632년)에 중건하고, 영조2년(1726년)에 중수했으며, 고종 3년(1866년)에는 진위병(鎭衛兵)의 영으로 쓰이다가 이듬해 화재로 타 버린 것을 강릉 부사 조명하가 중건했다고 한다.
교회 사학자들은 여러 순교자 증언록을 인용, 이곳 칠사당에서 병인박해 때 심문도 없이 목이 잘리는 참수형으로 많은 교우들이 순교했다고 말하고 있다.
칠사당 동헌 마당 한가운데에는 체포된 천주교인들을 묶어 갖은 고문을 가하며 심문했던 것으로 전하는 고목이 아직도 푸르름을 갖직한 채 남아 있다.
현재 강릉에 남아 있는 유일한 조선 시대 관청 건물인 칠사당은 한쪽이 다락 형식으로 된 '가'(기역)자 형태의 건조물로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단아한 조선 시대의 건축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칠사당 뒤편에 있는 '임영관 객사문'은 지금 국보 제51호로 지정된 입구 '객사문'과 함께 터만 남아 있다. 고려 태조가 재위 19년(936년)에 총 83간의 건물로 창건했다는 임영관은 이제 그 터만 남아 그 영화를 뒤로 한 채 무성히 자란 잡초만 뒤섞여 있다.
황량한 임영관 터에 들어서면 박해 시대 천주교인들이 무수한고문에 못 이겨 신음하던 처절한 모습을 떠올리게 하는 묘한 분위기를 자아내는데, 이곳에서 바라다보이는 임당동 성당의 전경은 자유로운 신앙생활에 만취해 있는 우리가 신앙 선조들로부터 얼마나 값진 은혜를 받고 있는가를 절감케 한다.
칠사당과 객사문 인근에 위치한 임당동 성당은 고전미와 현대미가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수려한 교회 건축물로 정평이 나 있는 성당이어서 강릉을 찾으면 꼭 한번 방문, 전례에 참례할 것을 권한다.
중국인 건축가 가 요셉이 설계해 1954년에 착공, 1955년에 완공된 현재의 임당동 성당은 고딕 양식을 변형한 장방형 건물로 정면 중앙부 종탑과 성당 외곽이 원형 그대로 완벽하게 보존돼 있어 1950년대 성당 건축의 전형을 감상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9.21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