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임금(2002년 임금교섭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국민경제와 고용
1. 경제동향 및 전망
2. 고용동향 및 전망

Ⅱ. 임 금
1. 임금수준
2. 임금내역별 구성비
3. 임금격차
4. 임금계층별 근로자 분포
5. 근로시간
6. 임금교섭 내역
7. 임금제도 개편 동향

Ⅲ. 노동생산성과 기업의 경영실적
1. 노동생산성
2. 기업의 경영실적

Ⅳ. 도시근로자의 가구소득과 생계비
1. 도시근로자의 가구소득
2. 소득분배
3. 생계비

Ⅴ. 임금과 국제경쟁력
1. 제조업 임금수준의 국제비교
2.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의 국제비교

Ⅵ. 임금교섭 실태(2001년)

본문내용

I) 대비 2000년 제조업의 월평균 임금수준은 우리나라가 1.74로 일본(1.20), 대만(1.05), 미국(0.87)보다 높은 수준
[ 1인당 GNI 대비한 임금수준의 국제비교(제조업) ]
<1인당 GNI 대비 제조업의 임금수준>
(단위 : 미국달러)
구 분
연간 1인당 GNI
월평균1인당
GNI(A)
월평균임금
(제조업, B)
1인당 GNI대비
임금수준(B/A)
한 국
1999
8,595
716.2
1,240
1.73
2000
9,770
814.2
1,416
1.74
일 본
1999
36,156
3,013.0
3,510
1.16
2000
37,879
3,156.6
3,773
1.20
대 만
1999
13,235
1,102.9
1,166
1.06
2000
14,216
1,184.7
1,242
1.05
미 국
1999
33,927
2,827.3
2,519
0.89
2000
35,802
2,983.5
2,598
0.87
자료 : 통계청, 『월간국제통계』, 2002.2.
재정경제부,『주요경제지표』, 2002.2.
2. 제조업 단위노동비용의 국제비교
○ 미국 노동통계국의 발표에 의하면 2000년도 우리나라 제조업의 단위노동비용지수(미달러 기준)는 67.0로 일본(102.5), 미국(89.9), 대만(77.7)보다 낮은 수준
※ 단위노동비용(Unit Labor Cost)이란 상품 1단위를 생산하는데 지출되는 노동비용을 의미. 각국 상품의 국제경쟁력 비교시 노동생산성까지 고려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임금이나 노동생산성의 절대수준을 비교하는 것보다는 보다 적절한 지표(단위노동비용 = 시간당 노동비용/시간당 실질노동생산성)
<제조업의 단위노동비용지수 국제비교(미국달러 기준)>
(1992=100.0)
구 분
한 국
일 본
미 국
대 만
1996
123.3
109.6
93.5
93.0
1997
95.8
97.7
91.9
87.4
1998
63.7
92.4
92.7
76.0
1999
65.4
102.4
90.4
76.9
2000
67.0
102.5
89.9
77.7
자료: 미국 노동통계국, 『Monthly labor review』, 각호.
Ⅵ. 임금교섭 실태(2001년)
◇ 2001. 10∼11월 실시된 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에 의뢰)의 2001년 임금실태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구성
◇ 조사는 271개 사업체 및 해당노동조합을 대상으로 실시
□ 임금교섭의 선호 형태
노사 모두 기업별 교섭을 선호하는 경우가 다수를 차지
- 사측은 기업별 교섭이 86.3%로서 전년에 비해 크게 높아졌고, 노측은 52.4%로 사측의 선호도보다는 낮지만 전년에 비해서는 소폭증가
업종별 공동교섭은 사측 8.1%, 노측 32.5%로 전년에 비해 다소 감소
<임금교섭의 선호 형태 추이>
(단위: %)
구 분
노측 응답
사측 응답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2001년
2000년
1999년
1998년
기업별 교섭
52.4
51.4
46.2
40.8
86.3
65.1
76.9
82.9
업종별 공동교섭
32.5
38.5
42.2
48.6
8.1
33.0
19.5
12.9
지역별 공동교섭
5.2
1.8
5.6
3.7
3.7
1.8
1.6
0.8
대각선 교섭
10.0
8.3
6.0
6.9
1.8
0.0
2.0
3.3
□ 임금 및 단체협약 동시 교섭
○ 노사 모두 절반 이상이 임금 및 단체협약의 동시 진행을 바람직 하다고 보며, 전년도에 비하여 그 비율도 증가
<임금 및 단체협약의 동시 교섭에 대한 평가>
(단위: %)
구 분
노측 응답
사측 응답
2001년
2000년
2001년
2000년
바람직함
69.7
66.1
80.5
77.1
바람직하지 않음
30.3
33.9
19.5
22.9
□ 임금교섭의 소요기간 및 교섭횟수
○ 평균 교섭횟수는 노측 9.3회, 사측 8.4회로 전년에 비해 다소 늘어남
< 임 금 교 섭 횟 수 >
(단위: %)
구 분
노측 응답
사측 응답
2001년
2000년
2001년
2000년
평균 교섭횟수
9.3
7.4
8.4
6.7
5회 이하
24.8
43.5
29.6
52.8
6∼10회
48.0
32.4
48.6
26.9
11∼20회
22.8
22.2
18.9
19.4
21회 이상
4.3
1.9
2.9
0.9
□ 임금교섭 타결방식
○ 타결방식은 노사자율 교섭에 의한 타결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는 교섭권 위임 방식순임
<임금교섭 타결 방식>
(단위: %)
구 분
노측 응답
사측 응답
2001년
2000년
1999년
2001년
2000년
1999년
미 타 결
14.4
6.5
6.8
14.0
5.6
6.8
무교섭 타결
5.2
6.5
10.8
7.0
5.6
10.8
조정 또는 중재
5.9
4.6
3.2
5.2
4.6
2.4
교섭권 위임
10
12.0
7.2
8.9
7.4
3.6
노사자율 타결
64.6
70.4
72.1
64.9
76.9
76.5
□ 임금인상률의 결정요인
○ 임금인상률의 결정요인으로 노측은 기업의 지불능력(32.1%), 물가 및 생계비(14.8%), 타기업의 임금수준(11.1%)을 중시하고, 사측은 기업의 지불능력(42.8%), 타기업의 임금수준(14.8%), 타기업의 임금인상률(11.4%) 순으로 중시
<임금인상률의 결정 요인>
(단위: %)
구 분
노측 응답
사측 응답
2001년
2000년
1999년
2001년
2000년
1999년
유노조
무노조
유노조
무노조
사용자단체의 지침
6.3
5.1
8.9
2.2
10.3
8.1
5.9
1.8
노동조합단체의 지침
8.5
19.1
0.4
11.5
5.5
11.8
0.7
10.6
고용보장과의 연계
6.3
3.7
3.0
14.5
1.5
2.2
3.3
6.2
타기업의 임금수준
11.1
15.1
25.5
3.5
14.8
16.2
28.4
4.8
타기업의 임금인상률
10.0
10.3
11.1
7.0
11.4
16.2
11.1
14.1
노동생산성
4.8
5.1
10.3
7.0
5.5
5.9
9.2
7.5
기업의 지불능력
32.1
15.8
29.9
30.0
42.8
27.9
31.4
46.3
물가 및 생계비
14.8
21.3
7.7
16.7
7.0
9.6
7.0
7.9
근로자 여론조사
6.3
4.0
2.6
7.1
1.1
1.8
2.2
0.9
  • 가격3,300
  • 페이지수38페이지
  • 등록일2002.09.22
  • 저작시기20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3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