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연구의 새접근-질적연구 4장 현장연구의 실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입장 승인

2. 처음 며칠 간

3. 참여자와 관찰자의 연속선

4. 면접

5. 사진과 현장 연구

6. 현장을 떠남

본문내용

아니다. '언제나' 그 곳에 있고 친숙해짐으로써, 사진사는 결국 하나의 특별한 자극의 위치에서 벗어난다.
 활동적인 유아집단과 같은 장면에서는 15분내에 새로운 사람이 더 이상 아닐 수 있으며 30분 이내에 잊혀져 버릴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는 하루에 1시간 정도의 관찰 기간을 2, 3일 정도 가진 후에 사람들은 사진기를 의식하지 않고 자기 자신으로 돌아올 수 있다. 이러한 '소거 시간'이 자연스러운 사건에 초점을 맞추는 어떤 연구설계에서도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
 종종 사진사가 그곳에 도착할 때, 사람들은 그들이 '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해 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해결되지 않는 한, 그들은 보통 때와 같이 할동하기 싫어할 것이다.
6. 현장을 떠남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4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