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재의 정의
1) 학문적 영재의 정의
2) 미국교육성의 정의
3) Renzulli의 세 고리 개념 정의
4) Gagne의 적성 이론 정의
5) Sternberg의 이론
6) Gadner(1985)의 다지능 이론 정의
2. 영재의 행동특성
1) 창의적인 과학자의 특성
2) 과학영재의 창의적 특성
3) 과학영재들의 동기적 특성
3. 과학 영재의 판별의 원리
4. 영재 판별의 단계 및 방법
1) 학문적 영재의 정의
2) 미국교육성의 정의
3) Renzulli의 세 고리 개념 정의
4) Gagne의 적성 이론 정의
5) Sternberg의 이론
6) Gadner(1985)의 다지능 이론 정의
2. 영재의 행동특성
1) 창의적인 과학자의 특성
2) 과학영재의 창의적 특성
3) 과학영재들의 동기적 특성
3. 과학 영재의 판별의 원리
4. 영재 판별의 단계 및 방법
본문내용
일 때도 있다.
8. 사물이나 상황을 조직화하고 구조화하기를 좋아한다.
9. 옮고 그름, 좋고 나쁜 것에 관심을 가지며 이들에 대해 평가하고 판단한다.
과학 영재의 판별의 원리
일반적으로 과학영재는 수학 과학분야에 잇어서 학업성취도가 빠르고, 늘 새롭고 창의적인 일에 몰두하기를 즐기며 사고의 개방성과 융통성이 높은 학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영재 판별 방안 수립의 기본 원리 (이재신,1996)
① 영재판별은 가능한 한 조기에 시작되어야 하며,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② 영재의 판별은 판별 대상이 되는 학생의 연령 또는 학교 수준에 따라 그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③ 영재 판별의 절차와 방법은 영재를 위하여 제공하는 교육프로램의 목표와 성격, 또는 영재교육의 제도적 운영방법의 여하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④ 영재의 판별은 이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다면적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야 한다.
⑤ 영재 판별 과정은 어떠한 형태의 영재교육을 계획하든지 간에 다양한 판별도구를 이용하여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다양한 판별도구와 방법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는 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 이상의 영재 판별 방안 수립의 기본 원리에 따르면 과학 영재의 판별 또한 가능한 한 조기에 다단계에 걸쳐 다양한 판별도구와 방법으로 판별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종합 판단하되 얻은 자료를 활용할 때는 주의해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요약 할 수 있다.
영재 판별의 단계 및 방법
과학영재아를 판별하기 위한 단계나 방법에 대한 도구 개발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어 왔는데 이들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4단게에 의해 과학 영재를 판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단계 : 출신학교의 성적, 교사의 관찰과 추천, 각종 대회 참가 경력
↓
2단계 : 지능검사, 적성검사, 창의성 검사, 흥미 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 표준화 검사
↓
3단계 : 교사와 학부모, 주변 동료들에 의한 지속적인 관찰에 의한 방법
↓
4단계 : 과학영재가 행한 수행평가와 산출물을 바탕으로 판별
▶ 우리나라에서는 4단계 중에 두 번째 와 세 번째 단계를 평가하기보다는 기초학력과 심화학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필고사 형태의 판별 단계나 교과성적 위주의 내신성적 반영 체제를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사물이나 상황을 조직화하고 구조화하기를 좋아한다.
9. 옮고 그름, 좋고 나쁜 것에 관심을 가지며 이들에 대해 평가하고 판단한다.
과학 영재의 판별의 원리
일반적으로 과학영재는 수학 과학분야에 잇어서 학업성취도가 빠르고, 늘 새롭고 창의적인 일에 몰두하기를 즐기며 사고의 개방성과 융통성이 높은 학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영재 판별 방안 수립의 기본 원리 (이재신,1996)
① 영재판별은 가능한 한 조기에 시작되어야 하며,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② 영재의 판별은 판별 대상이 되는 학생의 연령 또는 학교 수준에 따라 그 구체적인 절차와 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③ 영재 판별의 절차와 방법은 영재를 위하여 제공하는 교육프로램의 목표와 성격, 또는 영재교육의 제도적 운영방법의 여하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④ 영재의 판별은 이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다면적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야 한다.
⑤ 영재 판별 과정은 어떠한 형태의 영재교육을 계획하든지 간에 다양한 판별도구를 이용하여 다단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하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⑥ 다양한 판별도구와 방법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활용하는 데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 이상의 영재 판별 방안 수립의 기본 원리에 따르면 과학 영재의 판별 또한 가능한 한 조기에 다단계에 걸쳐 다양한 판별도구와 방법으로 판별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종합 판단하되 얻은 자료를 활용할 때는 주의해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요약 할 수 있다.
영재 판별의 단계 및 방법
과학영재아를 판별하기 위한 단계나 방법에 대한 도구 개발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 되어 왔는데 이들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4단게에 의해 과학 영재를 판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단계 : 출신학교의 성적, 교사의 관찰과 추천, 각종 대회 참가 경력
↓
2단계 : 지능검사, 적성검사, 창의성 검사, 흥미 검사, 과학적 태도 검사 표준화 검사
↓
3단계 : 교사와 학부모, 주변 동료들에 의한 지속적인 관찰에 의한 방법
↓
4단계 : 과학영재가 행한 수행평가와 산출물을 바탕으로 판별
▶ 우리나라에서는 4단계 중에 두 번째 와 세 번째 단계를 평가하기보다는 기초학력과 심화학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필고사 형태의 판별 단계나 교과성적 위주의 내신성적 반영 체제를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