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유가사상의 본질과 역사적개관
제 1 장 유가사상의 본질
1.유의 의미
제 2 장 유가사상의 역사적 개관
1.시대 구분
2.고대 유가사상
3. 중세 유가사상
4.근세 유가사상
제3장 유가와 유교
제 2 부 유가 경세사상
제1장유가 경세사상에 관한 일연구
1.경세의 함의
2.경세개념의 변천
제4장 황종의의 경세사상에 관한 일고찰
1.시대배경
2. 이주의 민본사상
3.이주의 경세사상
☞참고자료
제 1 장 유가사상의 본질
1.유의 의미
제 2 장 유가사상의 역사적 개관
1.시대 구분
2.고대 유가사상
3. 중세 유가사상
4.근세 유가사상
제3장 유가와 유교
제 2 부 유가 경세사상
제1장유가 경세사상에 관한 일연구
1.경세의 함의
2.경세개념의 변천
제4장 황종의의 경세사상에 관한 일고찰
1.시대배경
2. 이주의 민본사상
3.이주의 경세사상
☞참고자료
본문내용
발휘하지 못하고, 환관과 제휴하여야만 그 직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東林인사는 이러한 환관과의 대립에서 축출된 퇴직관원이 중심이 되어, 無錫에 東林서원을 설립하고, 강학을 통하여 정치의 기강을 쇄신하려고 하였다.
명 중엽이후 상품경제는 크게 발전하여,새로운 공상업시민이 급속히 성장하였다. 황족 집단의 사치로 인한 재정의 보충을 목적으로, 1696년 수탈을 자행하였다. 그들의 가혹한 행위는 상공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城市經濟는 크게 타격을 받았으며,각지에서 연속적으로 군중성의 반항운동이 일어났다.
민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1692년에 이르러서는 이미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明初의 전장체도하에서는 사회신분이 비교적 고정적인 반면에,中期以後 제도의 와해와 정치기강의 문란으로 인하여 신분제오상의 변화를 일으켰다.
2. 이주의 민본사상
明末에 이르러 진보한 사회·경제적 배경속에서 이주는 보다 철저한 民本槪念을 제창하였고, 통치자의 관리는 반드시 인민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고 하고, 최고권력을 당연히 인민에게 속한다고 하였다.
1) 原君
梨洲는 근대의 계몽군권을 제한하였으며, 더 이상 종교적 신앙, 도덕적 선악에 의거하지 않고 명확히 현실의 이해와 생활의 功用을 가지고 사회현상과 인간관계를 유지·조절·처리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사실 중국식의 政敎분리의 근대적 요구를 암암리에 포착하고 있는 것이다.
梨洲는 人君은 마땅히 양민의 책임이 있고, 향락의 권리를 추구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옛사람은 이 뜻을 깊이 알아, 노력을 싫어 하는 자는 人君의 될수 없었거, 人君이 된자는 반드시 公天下의 心을 다하여 만민의 복리를 추구해야 하였다.
2)原臣
臣道를 論함에 있어, 일체의 政治工作에 종사할 뿐이고, 신은 결코 군을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한 성에 충성하는 것을 극력 배척하였다. 「原臣」篇에 먼저 原道는 군의 뜻에 따르는 것이 아니고, 군을 위해 희생하는 것도 아니며, 자기가 정치에 종사하는 목적은 천하만민을 위해 求治에 있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臣의 직분은 기본상 군의 직분과 동일하고, 모두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것이고, 정치에 종사하는 것을 인군의 僕從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즉 군주와 신하는 마땅히 만민의 이익을 자기 직분을 다해야 하며 그들은 평등한 師友관계일뿐, 주종관계는 아니다. 이것은 中國傳統의 政治觀一名分設을 타도하고, 법가이래의 정분론을 배격하고 사대부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梨洲의 군신론은 명대의 제왕전제에 대한 부정과 비판이다.
3)原法
고대의 군주정치는 오히려 일종의 人治政治로, 법치정치가 아니었던 것이다. 梨洲는 비록 儒家人治理論의 영향을 받았지만, 人治理論에서 벗어나 진보적 법치이론을 제창했다.
이주가 주장하는 법은 시민계급의 민주주의법으로 반드시 객관적 인민의 필요가 기초가 되어야 한다.
3.이주의 경세사상
이주는 군주정치의 국한을 타도하고 진보적 민의 이론을 제출하였다. 이주의 관점 중 학교의 기능은 養士와 논쟁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군주는 무단독재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주의 주장은 漢·宋儒의 가장 큰 차이는 그가 이미 제도상 학생의 논정권의 보장을 취득하려는 데 있다. 당시는 이미 독서인이 너무 많아 사회진출이 어려웠으며, 이주의 주장은 한편으로 당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한편으로는 군주전제정치를 방지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주의 학제개혁론 중 군현학의 개혁은 한층 뛰어나다. 그는 하나의 대중교육을 위한 제도를 주장하였으며,학교에서는 가히 군현의 정치를 논하고, 학교의 청의를 정치에 반영하여, 학교에다 의회적 기능을 부여했던 것이다. 또한 집권적 전제군주제를 방지하기 위한 분권적 지방자치론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주의 학교론 중에는 사대부계층 이회에 전이민의 여론까지도 청치이ㅔ 반영하려는 민주주의 발상을 엿볼 수 있다.
민주정치는 통상 대의 정치이다. 대외정치하에서 내각제는 주요한 제도의 하나이다. 중국고대의 정치제도중 재상제도를 중시하여, 이주는 다시 하나의 재상 중심의 내각제도를 주장하였다.
이주는 토지제도를 개혁하려 하였다. 이주는 등급이 없는 지조와 부세를 획일적으로 上等田土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이주는 두가지의 개혁방안을 내놓고 있다. 그 하나는 토지사용의 평균주의로, 근대초기의 토지개혁상에 있어서 진보적 사고라 볼 수 있으며, 법률평등과 서로 표리를 이루고 있어서 진보적 사고라 볼 수 있으며, 법률평등과 서로 표리를 이루고 있다.
다른 하나는 稅出負擔의 평균분임주의로, 이것은 그가 주장하는 廢嫡銀과 관계가 잇다. 그는 토지의 등차를 정하여, 5등급으로 나누고, 척박한 땅은 일이년 경작하지 않으면 옥토가 아니 될 수 없다고 하여, 돌려짓기로써, 지력의 재생을 꾀하기도 하였다.
이주의 입장이 어떻든 간에 受田의 법으로써 인민의 곤궁을 소생시키려고 하였으며, 또한 田賦를 가볍게하여 인민의 부담을 가볍게 하여 인민의 부담을 경감시켰으며, 양민을 위한 정치의 종지를 관철하려고 하였다. 토지개혁의 목적은 養民에 있으며, 인민의 실제수요에 적합하게 하여, 사대부계층을 중심으로하는 정치참여를 보장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의 경제개혁중 가장 뛰어난 것은 사민 평등의 기초하에 공상업의 발전을 중시한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서민층의 대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인민이 단순이 정치상의 도구가 아닌, 정치의 주체를 나타내는 구성원으로 파악하였던 것이다.
이주는 민본의 입장에 서서 그의 經世思想을 수립하였으며, 그의 사상은 수미가 관통되고, 본말이 구비되고 있으며 역사로써 전제정치의 폐해를 고찰하여, 정치를 개혁하려고 하였다.
이주의 민본사상과 경세사상은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의 근대지향적 개혁사상은 중국역사발전에 있어서 교량적 기능을 하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참고자료
중국유가사상의 이해. 이경규편저. 중문
유가철학의 본질. 이광률. 중문. 1998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이승환.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유학과 현대세계. 사중명 지음. 김기현옮김. 서광사. 1998
유교사. 조성을 이동철 옮김. 이론과 실천. 1990
東林인사는 이러한 환관과의 대립에서 축출된 퇴직관원이 중심이 되어, 無錫에 東林서원을 설립하고, 강학을 통하여 정치의 기강을 쇄신하려고 하였다.
명 중엽이후 상품경제는 크게 발전하여,새로운 공상업시민이 급속히 성장하였다. 황족 집단의 사치로 인한 재정의 보충을 목적으로, 1696년 수탈을 자행하였다. 그들의 가혹한 행위는 상공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城市經濟는 크게 타격을 받았으며,각지에서 연속적으로 군중성의 반항운동이 일어났다.
민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1692년에 이르러서는 이미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明初의 전장체도하에서는 사회신분이 비교적 고정적인 반면에,中期以後 제도의 와해와 정치기강의 문란으로 인하여 신분제오상의 변화를 일으켰다.
2. 이주의 민본사상
明末에 이르러 진보한 사회·경제적 배경속에서 이주는 보다 철저한 民本槪念을 제창하였고, 통치자의 관리는 반드시 인민을 위해 복무해야 한다고 하고, 최고권력을 당연히 인민에게 속한다고 하였다.
1) 原君
梨洲는 근대의 계몽군권을 제한하였으며, 더 이상 종교적 신앙, 도덕적 선악에 의거하지 않고 명확히 현실의 이해와 생활의 功用을 가지고 사회현상과 인간관계를 유지·조절·처리하려고 하였다. 이것은 사실 중국식의 政敎분리의 근대적 요구를 암암리에 포착하고 있는 것이다.
梨洲는 人君은 마땅히 양민의 책임이 있고, 향락의 권리를 추구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옛사람은 이 뜻을 깊이 알아, 노력을 싫어 하는 자는 人君의 될수 없었거, 人君이 된자는 반드시 公天下의 心을 다하여 만민의 복리를 추구해야 하였다.
2)原臣
臣道를 論함에 있어, 일체의 政治工作에 종사할 뿐이고, 신은 결코 군을 위해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한 성에 충성하는 것을 극력 배척하였다. 「原臣」篇에 먼저 原道는 군의 뜻에 따르는 것이 아니고, 군을 위해 희생하는 것도 아니며, 자기가 정치에 종사하는 목적은 천하만민을 위해 求治에 있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臣의 직분은 기본상 군의 직분과 동일하고, 모두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한 것이고, 정치에 종사하는 것을 인군의 僕從으로 보아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즉 군주와 신하는 마땅히 만민의 이익을 자기 직분을 다해야 하며 그들은 평등한 師友관계일뿐, 주종관계는 아니다. 이것은 中國傳統의 政治觀一名分設을 타도하고, 법가이래의 정분론을 배격하고 사대부의 기능을 강조하였다.
梨洲의 군신론은 명대의 제왕전제에 대한 부정과 비판이다.
3)原法
고대의 군주정치는 오히려 일종의 人治政治로, 법치정치가 아니었던 것이다. 梨洲는 비록 儒家人治理論의 영향을 받았지만, 人治理論에서 벗어나 진보적 법치이론을 제창했다.
이주가 주장하는 법은 시민계급의 민주주의법으로 반드시 객관적 인민의 필요가 기초가 되어야 한다.
3.이주의 경세사상
이주는 군주정치의 국한을 타도하고 진보적 민의 이론을 제출하였다. 이주의 관점 중 학교의 기능은 養士와 논쟁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군주는 무단독재를 할 수 없는 것이다. 이주의 주장은 漢·宋儒의 가장 큰 차이는 그가 이미 제도상 학생의 논정권의 보장을 취득하려는 데 있다. 당시는 이미 독서인이 너무 많아 사회진출이 어려웠으며, 이주의 주장은 한편으로 당시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한편으로는 군주전제정치를 방지하려고 하였던 것이다. 이주의 학제개혁론 중 군현학의 개혁은 한층 뛰어나다. 그는 하나의 대중교육을 위한 제도를 주장하였으며,학교에서는 가히 군현의 정치를 논하고, 학교의 청의를 정치에 반영하여, 학교에다 의회적 기능을 부여했던 것이다. 또한 집권적 전제군주제를 방지하기 위한 분권적 지방자치론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이주의 학교론 중에는 사대부계층 이회에 전이민의 여론까지도 청치이ㅔ 반영하려는 민주주의 발상을 엿볼 수 있다.
민주정치는 통상 대의 정치이다. 대외정치하에서 내각제는 주요한 제도의 하나이다. 중국고대의 정치제도중 재상제도를 중시하여, 이주는 다시 하나의 재상 중심의 내각제도를 주장하였다.
이주는 토지제도를 개혁하려 하였다. 이주는 등급이 없는 지조와 부세를 획일적으로 上等田土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이주는 두가지의 개혁방안을 내놓고 있다. 그 하나는 토지사용의 평균주의로, 근대초기의 토지개혁상에 있어서 진보적 사고라 볼 수 있으며, 법률평등과 서로 표리를 이루고 있어서 진보적 사고라 볼 수 있으며, 법률평등과 서로 표리를 이루고 있다.
다른 하나는 稅出負擔의 평균분임주의로, 이것은 그가 주장하는 廢嫡銀과 관계가 잇다. 그는 토지의 등차를 정하여, 5등급으로 나누고, 척박한 땅은 일이년 경작하지 않으면 옥토가 아니 될 수 없다고 하여, 돌려짓기로써, 지력의 재생을 꾀하기도 하였다.
이주의 입장이 어떻든 간에 受田의 법으로써 인민의 곤궁을 소생시키려고 하였으며, 또한 田賦를 가볍게하여 인민의 부담을 가볍게 하여 인민의 부담을 경감시켰으며, 양민을 위한 정치의 종지를 관철하려고 하였다. 토지개혁의 목적은 養民에 있으며, 인민의 실제수요에 적합하게 하여, 사대부계층을 중심으로하는 정치참여를 보장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의 경제개혁중 가장 뛰어난 것은 사민 평등의 기초하에 공상업의 발전을 중시한 것이었다. 이것은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서민층의 대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인민이 단순이 정치상의 도구가 아닌, 정치의 주체를 나타내는 구성원으로 파악하였던 것이다.
이주는 민본의 입장에 서서 그의 經世思想을 수립하였으며, 그의 사상은 수미가 관통되고, 본말이 구비되고 있으며 역사로써 전제정치의 폐해를 고찰하여, 정치를 개혁하려고 하였다.
이주의 민본사상과 경세사상은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의 근대지향적 개혁사상은 중국역사발전에 있어서 교량적 기능을 하였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참고자료
중국유가사상의 이해. 이경규편저. 중문
유가철학의 본질. 이광률. 중문. 1998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이승환. 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유학과 현대세계. 사중명 지음. 김기현옮김. 서광사. 1998
유교사. 조성을 이동철 옮김. 이론과 실천. 1990
추천자료
[자연법사상][실정법사상][자연법][실정법]자연법(자연법사상)의 개념, 실정법(실정법사상)의...
실학(실학사상)의 역사적 배경과 개념, 실학(실학사상)의 성격, 실학(실학사상)의 시대적 상...
[이제마][사상의학]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정의, 이제마 사상의학(사상체질의학)의...
성리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이이,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유형원, 실학 교육철학(교육사상)...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교육사상가 페스탈로치(페스탈로찌), 신인문주의교육 계발주의적 ...
노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묵자의 교육사상(교육철학), 맹자의...
[서양윤리사상][서양윤리사상의 의의][서양윤리사상의 특징][서양윤리사상의 연원][서양윤리...
[도가사상]道(도)의 정의, 道(도)의 깨달음, 도가사상(노장사상)의 개념, 도가사상(노장사상)...
[한국전통윤리사상]윤리사상의 개념,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의의, 한국전통윤리사상의 특징, 한...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플라톤과 키케로, 유아교육철학자(교육사상) 에라스무스와 루터, ...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유아교육사상(유아교육철학), 퀸틸리아누스, 루터, 로크 유아교육사...
[중화사상, 중화사상 의미, 중화사상 역사, 중화사상의 민족중심문화, 중화사상의 우월의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