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 2 장 부정부패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 3 장 공무원 부패의 실태
제 4 장 공무원 부패의 원인과 방지방안
제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 2 장 부정부패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제 3 장 공무원 부패의 실태
제 4 장 공무원 부패의 원인과 방지방안
제 5 장 결 론
본문내용
제도적인 장치가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 5 장 결 론
공무원 부정부패는 관직에 연계된 정보와 권한의 불합리적 사용으로 사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공공의 권위가 부여되지 아니한 행태인 점에서 공직에 반하는 일탈된 행위이다.
한국의 공무원 부패는 일종의 부패문화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은 구조적인 문제로 발전하여 부패의 치유를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제2장에서 부패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부패의 개념과 영향, 접근방법 및 유형 등을 논하였고, 제3장에서는 공무원 부패의 실태를 공무원 징계통계와 범죄백서를 통해 고찰하였다.
공무원의 부정부패는 정·경·관 등의 유착관계가 그 중심을 이루어 구조적이고 관행처럼 굳어져 광범위하게 이 사회에 퍼져 있어 시대가 처한 사회분위기와 함께 부패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공무원 부패현상은 민주사회 발전과 국가발전의 기둥을 흔들어 놓은 괴물적 존재이며 국민의 고통을 탐닉하는 중대범죄이다. 공직사회의 부패추방은 구호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부패의 정확한 실체를 규명하고 그 원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제4장에서는 공무원 실태분석을 토대로 하여 부패가 발생하는 원인과 그 방지방안을 논의하였다.
행태적 원인으로는 권위주의적·가족주의적·형식주의적 행태가 논의되었으며, 제도적 원인으로는 공무원의 비현실적인 처우문제, 즉 보수의 비적정성·인사제도의 비합리성 등을 들 수 있으며, 공무원의 권한남용의 소지가 충분한 규제의 비현실성, 공무원의 부패에 대해 효율적으로 통제할 통제기구의 위약성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환경적 원인으로서 취약한 정치구조와 정경유착의 관행, 구조적 뇌물관행으로 인한 건전한 시민문화의 상실 등을 그 원인으로 논의했다.
선진민주화를 위해서는 정치적으로 관료가 중립을 확보해야 하고 권력과 권한의 남용현상을 일소하고 부패를 추방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공무원 부패의 방지방안으로는 윤리 의식의 개혁차원에서 시민의식의 개혁과 공직자 윤리 규범의 제고를, 부패 친화적인 행정 시스템의 개혁차원에서는 행정정보공개제도의 확대와 정부 규제의 완화 및 민간부문의 자율성 확보를, 부패 사정체계의 정비와 강화차원에서 사정기관의 정비 및 독립성 확보와 부패에 대한 적발·처벌의 강화를, 공무원 근무 여건 개선차원에서 보수 체계의 적정화·인사제도의 합리화·공무원단체의 활성화를, 정치 자금 및 뇌물의 통제차원에서 정치 자금의 양성화·공직자 재산 등록과 공개 심사의 내실화·실질책임주의를, 끝으로 부패를 유발하는 행정 환경의 개선차원에서 합법적 로비활동의 활성화·민관의 공조 방안 강구·불합리하고 비현실적인 법규의 정비·부패환경을 제공하는 각종 규제 완화와 경쟁 촉진·공무원과 민원인의 직접 접촉 기회의 감축·고위층으로부터 솔선수범하는 자발적인 개혁의지 등을 논의했다.
공무원의 부패에 대한 통제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많은 현실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공무원 부패에 관련된 정보의 부족, 시민의 일시적인 관심, 정치·행정체제의 복잡성, 그리고 부패통제의 역기능(무사안일, 보신주의 등의 발생 등) 등의 존재는 효율적인 통제전략의 수립이나 채택을 현실적으로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공무원의 부정부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정부패에 대한 체계적인 원인분석과 강력한 방지방안의 모색 및 객관적인 견지에서 철저하게 적용하는 노력과 더불어 반부패운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부정부패에 대한 철저한 국민의 감시와 사회전반의 의식개혁이 뒤따를 수 있는 사회기풍의 진작과 분위기 조성이 함께 이루어질 때 비로소 깨끗하고 건강한 정부, 사회 각 부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 그리고 국민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양질의 국가행정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국내문헌 >
구민상, "한국관료제의 부패와 그 진단, 「한림대청림」제27호, 한남대출판부, 1985
김경수, "부정부패 현상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시 공무원과 시민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김규정, 「행정학원론」, (서울:법문사), 1985
김연실, "공무원의 부정부패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김영종, 「부패학」, 서울:숭실대출판부, 1996
김해동, "부패의 행정", 「행정논총」제30권 제2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2
김해동·윤태범, 「관료부패와 통제」, (서울 : 집문당), 1994
김호순, "한국 공무원 사회의 부패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박광국, "부정부패와 국민의식 : 행정부의 과업성과와 정책불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5권 제4호, 1996
박재완, "부패통제정책의 발전방향", 형사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1999
안해균, 「한국행정체제론」,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윤태범, "한국관료부패의 유형과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이만영, "부패방지제도의 벤치마킹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이상민, "공직사회의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영균,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방지 대책", 「한국행정논집」, 제8권 제3호, 1996
이은강, "공무원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전수일, "일선대민행정공무원의 부조리 실태와 대책", 현대사회연구소, 1990
전종섭, 「행정학:구상과 문제해결」, 서울:박영사, 1987
조영재, "한국의 서정쇄신과 공직자 부패방지",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0
한영탁, "IMF는 부패공화국의 사필귀정, 자유공론 제373호, 1998
홍봉기, "우리 나라 공무원의 부정부패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홍성옥, "공무원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기타자료 >
국제투명성기구, http://www.transparency.or.kr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통계연보 통권 제4호」, 2001
제 5 장 결 론
공무원 부정부패는 관직에 연계된 정보와 권한의 불합리적 사용으로 사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공공의 권위가 부여되지 아니한 행태인 점에서 공직에 반하는 일탈된 행위이다.
한국의 공무원 부패는 일종의 부패문화를 형성하고 있고, 이것은 구조적인 문제로 발전하여 부패의 치유를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제2장에서 부패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부패의 개념과 영향, 접근방법 및 유형 등을 논하였고, 제3장에서는 공무원 부패의 실태를 공무원 징계통계와 범죄백서를 통해 고찰하였다.
공무원의 부정부패는 정·경·관 등의 유착관계가 그 중심을 이루어 구조적이고 관행처럼 굳어져 광범위하게 이 사회에 퍼져 있어 시대가 처한 사회분위기와 함께 부패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공무원 부패현상은 민주사회 발전과 국가발전의 기둥을 흔들어 놓은 괴물적 존재이며 국민의 고통을 탐닉하는 중대범죄이다. 공직사회의 부패추방은 구호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부패의 정확한 실체를 규명하고 그 원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제4장에서는 공무원 실태분석을 토대로 하여 부패가 발생하는 원인과 그 방지방안을 논의하였다.
행태적 원인으로는 권위주의적·가족주의적·형식주의적 행태가 논의되었으며, 제도적 원인으로는 공무원의 비현실적인 처우문제, 즉 보수의 비적정성·인사제도의 비합리성 등을 들 수 있으며, 공무원의 권한남용의 소지가 충분한 규제의 비현실성, 공무원의 부패에 대해 효율적으로 통제할 통제기구의 위약성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환경적 원인으로서 취약한 정치구조와 정경유착의 관행, 구조적 뇌물관행으로 인한 건전한 시민문화의 상실 등을 그 원인으로 논의했다.
선진민주화를 위해서는 정치적으로 관료가 중립을 확보해야 하고 권력과 권한의 남용현상을 일소하고 부패를 추방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공무원 부패의 방지방안으로는 윤리 의식의 개혁차원에서 시민의식의 개혁과 공직자 윤리 규범의 제고를, 부패 친화적인 행정 시스템의 개혁차원에서는 행정정보공개제도의 확대와 정부 규제의 완화 및 민간부문의 자율성 확보를, 부패 사정체계의 정비와 강화차원에서 사정기관의 정비 및 독립성 확보와 부패에 대한 적발·처벌의 강화를, 공무원 근무 여건 개선차원에서 보수 체계의 적정화·인사제도의 합리화·공무원단체의 활성화를, 정치 자금 및 뇌물의 통제차원에서 정치 자금의 양성화·공직자 재산 등록과 공개 심사의 내실화·실질책임주의를, 끝으로 부패를 유발하는 행정 환경의 개선차원에서 합법적 로비활동의 활성화·민관의 공조 방안 강구·불합리하고 비현실적인 법규의 정비·부패환경을 제공하는 각종 규제 완화와 경쟁 촉진·공무원과 민원인의 직접 접촉 기회의 감축·고위층으로부터 솔선수범하는 자발적인 개혁의지 등을 논의했다.
공무원의 부패에 대한 통제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많은 현실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공무원 부패에 관련된 정보의 부족, 시민의 일시적인 관심, 정치·행정체제의 복잡성, 그리고 부패통제의 역기능(무사안일, 보신주의 등의 발생 등) 등의 존재는 효율적인 통제전략의 수립이나 채택을 현실적으로 어렵게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결국 공무원의 부정부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정부패에 대한 체계적인 원인분석과 강력한 방지방안의 모색 및 객관적인 견지에서 철저하게 적용하는 노력과 더불어 반부패운동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자세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부정부패에 대한 철저한 국민의 감시와 사회전반의 의식개혁이 뒤따를 수 있는 사회기풍의 진작과 분위기 조성이 함께 이루어질 때 비로소 깨끗하고 건강한 정부, 사회 각 부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 그리고 국민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양질의 국가행정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 국내문헌 >
구민상, "한국관료제의 부패와 그 진단, 「한림대청림」제27호, 한남대출판부, 1985
김경수, "부정부패 현상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시 공무원과 시민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김규정, 「행정학원론」, (서울:법문사), 1985
김연실, "공무원의 부정부패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김영종, 「부패학」, 서울:숭실대출판부, 1996
김해동, "부패의 행정", 「행정논총」제30권 제2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2
김해동·윤태범, 「관료부패와 통제」, (서울 : 집문당), 1994
김호순, "한국 공무원 사회의 부패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박광국, "부정부패와 국민의식 : 행정부의 과업성과와 정책불신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제5권 제4호, 1996
박재완, "부패통제정책의 발전방향", 형사정책연구 제10권 제2호, 1999
안해균, 「한국행정체제론」,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윤태범, "한국관료부패의 유형과 구조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이만영, "부패방지제도의 벤치마킹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이상민, "공직사회의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영균, "공무원 부정부패의 원인과 방지 대책", 「한국행정논집」, 제8권 제3호, 1996
이은강, "공무원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전수일, "일선대민행정공무원의 부조리 실태와 대책", 현대사회연구소, 1990
전종섭, 「행정학:구상과 문제해결」, 서울:박영사, 1987
조영재, "한국의 서정쇄신과 공직자 부패방지",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0
한영탁, "IMF는 부패공화국의 사필귀정, 자유공론 제373호, 1998
홍봉기, "우리 나라 공무원의 부정부패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홍성옥, "공무원 부정부패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기타자료 >
국제투명성기구, http://www.transparency.or.kr
행정자치부, 「행정자치부 통계연보 통권 제4호」, 2001
추천자료
공무원 전문성 지방 공무원
한국관료의 행정행태와 공무원노동조합 (공무원 노조)
(중국의 사회 분석) 중국의 권력부패의 원인과 실태 및 당국의 대응책 분석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공무원 노사관계
공무원의 권리제한과 보호방향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과 공무원 노동조합에 대한 고찰
[행정학] 전자정부 시대의 부패
조달행정(조달정책)의 개념, 조달행정(조달정책)과 부정부패방지, 조달행정(조달정책)과 G2B...
[관료, 행정관료, 정책관료, 관료제, 관료조직]관료와 행정관료, 관료와 정책관료, 관료와 관...
[연대투쟁][연대][투쟁][교육투쟁][노동조합투쟁][국제연대투쟁][공무원노동기본권투쟁]연대...
공무원 노동조합_ 공무원노조의 찬반의견
공무원 보수제도(報酬制度) - 보수수준의 결정요인, 공무원 보수체계
공무원公務員의 행동윤리규범 - 행정윤리, 공무원의 충성,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공무원단체
세상읽기와 논술 D형 김영란법 뿌리 깊은 부패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