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유산소적 운동
2.무산소적 운동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점-
2.무산소적 운동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점-
본문내용
운동에 의하여 근 속의 글리코겐이 유산이 되며 이 유산은 혈액을 통하여 간장으로 보내져 거기에서 글리코겐으로 재합성되어 축적되는 방법이다.
CP C+P
ADP+P ATP
무산소적 운동에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반응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하나는, 크레아틴인산(creatine)의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크레아틴인산의 분해를 촉진하여 인산(phosphate)을 아데노신2인산(ADP)에 공급하여 아데노신3인산(ATP)을 재합성시키는 것이다.
{ C}_{6} { H}_{ 12} { O}_{ 6}
lactic acid + P
ADP + P ATP
또 하나는, 해당작용(解糖作用)이다. 결국 효소의 활동의 의하여 탄수화물을 젖산으로 분해하는 작용인 것이다. 여기에서 생성된 에너지의 일부는 ATP의 재합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점 ♤
exercise system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
연료원
글리코겐(글루코스)이 주된 영양성 연료원이다.
글리코겐, 지방, 단백질이 영양성 연료원이다.
산소
산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산소가 요구된다.
ATP
ATP는 근육세포에서 재합성된다. 젖산(lactic acid)이 생성된다.
ATP는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재합성 된다. 산소대사 능력은 미토콘드리아 세포의 수와 밀집도에 관련되어 있다.
최대 용량
중간 정도 (1.2몰, ATP)
크다. (90.0몰, ATP)
최대 힘
중간정도(1.6몰 ATP/mim)
작다. (1.0 몰 ATP/mim)
에너지
단기간의 보통 신체활동에 대하여 에너지를 주로 공급한다. 운동시작 후 30초에서 90초 사이에서의 주요 에너지원이 된다.
운동시작 후 2분이 지나면 다른 에너지 체계를 지배하게 된다.
근섬유
Ⅱ형 근섬유(위상성의 빠른 수축): 짧은 시간에 많은 장력을 발생, 쉽게 피로하는 경향이 있다. (큰 장력을 생산하는 근육에서 많이 발견)
Ⅰ형의 금섬유(긴장성, 느린 수축): 장력을 많이 발생시키지 않지만 장시간 동안 수축을 유지. 쉽게 피로되지 않는다. (자세유지 근육에서 많이 발견)
참고문헌
성동진, 건강체력 유지 증진을 위한 운동처방과 생리학, 형설출판사, 서울, 1991
조명진, 스포츠 생리학, 고문사, 서울, 1985
internet
http://www.bodytrends.com/gourley.htm
http://well-net.com/cardiov/aerex1.html
CP C+P
ADP+P ATP
무산소적 운동에는 다음과 같이 2가지 반응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하나는, 크레아틴인산(creatine)의 분해효소(分解酵素)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크레아틴인산의 분해를 촉진하여 인산(phosphate)을 아데노신2인산(ADP)에 공급하여 아데노신3인산(ATP)을 재합성시키는 것이다.
{ C}_{6} { H}_{ 12} { O}_{ 6}
lactic acid + P
ADP + P ATP
또 하나는, 해당작용(解糖作用)이다. 결국 효소의 활동의 의하여 탄수화물을 젖산으로 분해하는 작용인 것이다. 여기에서 생성된 에너지의 일부는 ATP의 재합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점 ♤
exercise system
무산소 운동
유산소 운동
연료원
글리코겐(글루코스)이 주된 영양성 연료원이다.
글리코겐, 지방, 단백질이 영양성 연료원이다.
산소
산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산소가 요구된다.
ATP
ATP는 근육세포에서 재합성된다. 젖산(lactic acid)이 생성된다.
ATP는 근육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재합성 된다. 산소대사 능력은 미토콘드리아 세포의 수와 밀집도에 관련되어 있다.
최대 용량
중간 정도 (1.2몰, ATP)
크다. (90.0몰, ATP)
최대 힘
중간정도(1.6몰 ATP/mim)
작다. (1.0 몰 ATP/mim)
에너지
단기간의 보통 신체활동에 대하여 에너지를 주로 공급한다. 운동시작 후 30초에서 90초 사이에서의 주요 에너지원이 된다.
운동시작 후 2분이 지나면 다른 에너지 체계를 지배하게 된다.
근섬유
Ⅱ형 근섬유(위상성의 빠른 수축): 짧은 시간에 많은 장력을 발생, 쉽게 피로하는 경향이 있다. (큰 장력을 생산하는 근육에서 많이 발견)
Ⅰ형의 금섬유(긴장성, 느린 수축): 장력을 많이 발생시키지 않지만 장시간 동안 수축을 유지. 쉽게 피로되지 않는다. (자세유지 근육에서 많이 발견)
참고문헌
성동진, 건강체력 유지 증진을 위한 운동처방과 생리학, 형설출판사, 서울, 1991
조명진, 스포츠 생리학, 고문사, 서울, 1985
internet
http://www.bodytrends.com/gourley.htm
http://well-net.com/cardiov/aerex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