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의 폐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행하는 평가로는 수준별 교육은 명목에 그칠 뿐”이라고 진단했다.
◇사교육의 폐해=학생들의 사교육 의존 심화가 공교육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도 만만찮다. 실제 교육당국의 올해 초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의 40% 정도가 선행학습 등 학원·과외 수강이 학교수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지역 한 초등교 교사는 “6학년 영어 시간에 이미 알고 있다는 이유로 따라 읽지 않는 학생이 10~20%에 이른다”면서 “중고교의 ‘교실붕괴’ 현상이 초등학교에도 나타나고 있는 조짐”이라고 밝혔다. 특히 탐구와 사고과정을 중시하는 과학수업 등의 경우, 초등학교 아이들이 미리 모범답안을 알고 있을 경우 수업 효과는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서울 송천초교 양아무개 교사는 “이미 답을 알고 있는 아이들은 과학 실험 등에 별로 흥미를 느끼지 않는다”면서 “사회 과목 등의 토의학습도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김양분 연구위원은 “사교육 열풍은 학생에게 자신감을, 교사에게는 좌절감을 안겨주면서 교사들의 연구 의욕을 꺾고 있다”고 밝혔다.
학원 의존 심화는 교사의 상대적 권위 추락으로 이러진다. 강남 지역의 한 학부모는 “학생들이 학원 강사에겐 선생님이란 호칭을 꼭 붙이지만, 학교 교사는 이름을 함부로 부른다”고 말했다. 한 학원 관계자도 “학원 강사들의 전문성 등이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면서 강사들의 직업 만족도가 크게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최근 유명 학원강사 장례식때 학원 수강생 수백명이 빈소를 지켰던 일도 학원강사의 사회적 위상 제고를 보여주는 일화로 학원가에서는 회자되고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6.19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