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소라에서 왜 소리가?
2.빨대 끝부분을 뾰족하게 자른다음 납작하게 해서 입으로
부는데, 빨대의 굵기와 소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3.줄을 팽팽하게 당겼다가 놓으면 왜 소리가 나나여?
4.리코더를 불면 어떻게 소리가나나요?
5.쇠 냄비를 손톱으로 긁으면 왜 마음의 느낌이 이상하죠?
6.컵에물의양을다르게넣어두드렸을때나는 소리비교하기
7.변기에 물내리면 왜 사아~ 하는 소리가 날까요?
8.왜 악기마다 소리가 다르냐?
9.눈을 밟으면 왜 소리가 날까요?
10.비 오는 날 소리가 크게 들리는 이유。。。。?
11.물속에서는 왜 박수소리가 나지않을까?
12.물 속에서도 피아노를 치면 피아노 소리가 울릴까요..?
13.마이크는 어떻게 해서 크게 소리가 나는 걸까?
14.트라이앵글을 손으로 잡고 치면 탁한 소리가 나는 이유?
15.유리병을 앞에 두고 입김을 불면 왜 소리가?
16.호루라기는 어떻게 소리가 나나요?
17.습기가 많을 때는 소리가 어떻게 되나요?
2.빨대 끝부분을 뾰족하게 자른다음 납작하게 해서 입으로
부는데, 빨대의 굵기와 소리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3.줄을 팽팽하게 당겼다가 놓으면 왜 소리가 나나여?
4.리코더를 불면 어떻게 소리가나나요?
5.쇠 냄비를 손톱으로 긁으면 왜 마음의 느낌이 이상하죠?
6.컵에물의양을다르게넣어두드렸을때나는 소리비교하기
7.변기에 물내리면 왜 사아~ 하는 소리가 날까요?
8.왜 악기마다 소리가 다르냐?
9.눈을 밟으면 왜 소리가 날까요?
10.비 오는 날 소리가 크게 들리는 이유。。。。?
11.물속에서는 왜 박수소리가 나지않을까?
12.물 속에서도 피아노를 치면 피아노 소리가 울릴까요..?
13.마이크는 어떻게 해서 크게 소리가 나는 걸까?
14.트라이앵글을 손으로 잡고 치면 탁한 소리가 나는 이유?
15.유리병을 앞에 두고 입김을 불면 왜 소리가?
16.호루라기는 어떻게 소리가 나나요?
17.습기가 많을 때는 소리가 어떻게 되나요?
본문내용
떨림이 바로 소리입니
다.
물체가 진동하면 그 진동이 주위의 공기에 전해지고 파동을 이루어 점차 주위로 퍼
져 가는데, 이 파동을 음파라 합니다. 소리는 진동 때문에 생기지만 진동한다고 하
여 소리가 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 진동을 전해줄 매질이 없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예컨대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는 소리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소리가 전달되는 모양은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생기는 모습과 유사하
다. 물결은 밀려서 멀리 퍼지지만 물결이 차례로 이어지는 것일 뿐 물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소리도 이와 같이 공기의 파동으로 전해진다. 진동하는 물체로부터 주
위에 있는 물체로 보내어진 밀도 변화가 있는 파동이 통과함에 따라 물체 내의 각
부분에 압축과 팽창의 상태가 전달되면서 소리가 전달된다. 소리의 전달은 매질의
압축과 팽창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일치하는 종파이
다.
실제로 매질이 고체인 경우 즉 강철의 경우에는 속도가 5,941(m/s)로서 같은 조건에
서 공기331 m/s, 헬륨 965m/s에 비해 훨씬 빠르답니다.
소리의 속도는 밀도에도 관계되지만 매질의 상태에 따라서도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다.
물체가 진동하면 그 진동이 주위의 공기에 전해지고 파동을 이루어 점차 주위로 퍼
져 가는데, 이 파동을 음파라 합니다. 소리는 진동 때문에 생기지만 진동한다고 하
여 소리가 들리는 것은 아닙니다. 그 진동을 전해줄 매질이 없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습니다. 예컨대 공기가 없는 우주에서는 소리가 전달되지 않습니다.
소리가 전달되는 모양은 잔잔한 호수에 돌을 던지면 물결이 생기는 모습과 유사하
다. 물결은 밀려서 멀리 퍼지지만 물결이 차례로 이어지는 것일 뿐 물이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소리도 이와 같이 공기의 파동으로 전해진다. 진동하는 물체로부터 주
위에 있는 물체로 보내어진 밀도 변화가 있는 파동이 통과함에 따라 물체 내의 각
부분에 압축과 팽창의 상태가 전달되면서 소리가 전달된다. 소리의 전달은 매질의
압축과 팽창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일치하는 종파이
다.
실제로 매질이 고체인 경우 즉 강철의 경우에는 속도가 5,941(m/s)로서 같은 조건에
서 공기331 m/s, 헬륨 965m/s에 비해 훨씬 빠르답니다.
소리의 속도는 밀도에도 관계되지만 매질의 상태에 따라서도 결정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