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통증의 정의
1) Sternbach
2) 국제 통증협회
3) Melzack과 Wall
4) McCaffery
2.통증의 기전
1) 말초기전
2) 중추기전
3) 통증지각과 조절
4) 통증이론
5) 통증에 대한 반응
3.통증에 미치는 영향요인
1) 민족적/문화적 가치
2) 발달단계
3) 환경과 지지자
4) 이전의 통증경험
5) 통증의 의미
6) 불안과 스트레스
4.통증에 대한 간호과정
1) 통증력
2) 신체사정
3) 통증일기
< 계획 >
1) 목표
2) 중재
3) 퇴원계획
< 수행 >
1) 개별화된 통증간호
2) 통증관리의 기본요소
3) 약물에 의한 통증관리
4) 세계보건기구의 단계적 통증관리
5) 위약의 투여
6) 마약성 약물의 투여 경로 및 방법
7) 자가조절 진통방법
8) 비약물적 통증관리
9) 비약물적 침습적 치료
1) Sternbach
2) 국제 통증협회
3) Melzack과 Wall
4) McCaffery
2.통증의 기전
1) 말초기전
2) 중추기전
3) 통증지각과 조절
4) 통증이론
5) 통증에 대한 반응
3.통증에 미치는 영향요인
1) 민족적/문화적 가치
2) 발달단계
3) 환경과 지지자
4) 이전의 통증경험
5) 통증의 의미
6) 불안과 스트레스
4.통증에 대한 간호과정
1) 통증력
2) 신체사정
3) 통증일기
< 계획 >
1) 목표
2) 중재
3) 퇴원계획
< 수행 >
1) 개별화된 통증간호
2) 통증관리의 기본요소
3) 약물에 의한 통증관리
4) 세계보건기구의 단계적 통증관리
5) 위약의 투여
6) 마약성 약물의 투여 경로 및 방법
7) 자가조절 진통방법
8) 비약물적 통증관리
9) 비약물적 침습적 치료
본문내용
적인 통증완화 작용.
. 주입방법 : 한번에(bolus), 자가조절진통(PCA) 기계를 사용.
⑻ 척수내
. 경막외(epidural)또는 지주막하(subarachnoid) 공간으로 마약 주입.
. 척수 후각에 있는 아편 수용기에 직접 작용.
. 흔히 사용되는 약물은 방부제 없는 morphine sulfate와 fentanyl
. 장점 :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마약보다 진정효과가 적다는 것
. 경막이 외막염과 같은 감염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막외 공간이 흔히 사용.
. 지주막하 공간보다 경박외 공간을 사용하면, 똑같은 정도의 진통효과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용량의 약물이 필요.
. 척수내 주입용 카테터는 의사에 의해 삽입되면 간헐적인 일회 주입과 지속적 주입이 모두 가능.
. 경막외 카테터를 통하여 진통제를 투여받는 대상자의 간호중재 P855 표 29-7
7) 자가조절 진통방법
스스로 통증조절을 하는 방법에 관해 받은 대상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약하는 것
투여경로는 구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흔함. 피하, 정맥, 경막외 투여경로를 이용한경우가 증가.
의사가 진통제의 용량, 경로, 횟수를 처방하면, 대상자는 자신의 통증 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스스로 투약.
비경구적 경로로 투약할 때에는 주입펌프를 사용.
이점
.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 할 수 있다.
. 통증완화를 위해 진통제의 혈중농도를 더 안정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의 요구량이 감소됨.
대상자가 진통제를 필요로 할때 주입펌프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미리 맞추어 둔 용량의 진통제가 주입. 용량이 다 주입되면 미리 정해 놓은 폐쇄기간(lockout inteval : 보통 10~15분) 동안에는 대상자가 버튼을 눌러도 부가적인 용량이 주입되지 않는다. 또한 주어진 기간동안(보통 4시간) 주입도리 최대 약용량을 프로그램 할 수 있음.
8) 비약물적 통증관리
신체적 중재에는 피부자극, 부동, 전기피부자극법(TENS), 침술(acupuncture), 위약 투여 등
- 신체적 중재의 목표는 안위제공, 신체적 기능장애의 교정, 신체적 반응의 변화, 그리고 통증으로 인한 부동이나 활동 제한과 관련된 공포 감소 등.
- 심신(인지-행동적) 중제에는 전환(distraction). 이완술, 심상요법, 명상, 바이오피드백, 최면술, 치로적 접촉 포함.
⑴ 피부자극(cutaneous stimulation) : 일시적이지만 통증완화에 효과 있음
. 통증자극의 전도를 차단하는 엔돌핀 분비를 일으킴
. 직경이 큰 A-beta 감각신경섬유를 자극하여 직경이 작은 A-delta와 C섬유를 통해 전도되는 통증자극을 감소.
① 마사지
- 이완을 돕고, 근육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위간호
- 신체적 접촉으로 돌봄을 전달함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킴.
- 통증부위의 표재성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 강도를 감소
- 연고나 바르는 약의 사용은 관절이나 근육통이 있는 부위의 국소적 통증을 완화시킴
② 온냉요법
③ 지압요법(acupressure)
- 고대 중국의 침술의 치유체계에서 발달.
④ 대측자극법(contralateral stimulation)
- 통증이 있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
- 특히 통증부위가 너무 민감하거나 부목이나 붕대로 인해 혹은 환상통이어서 그 부위를 만질 수 없을 때 유용
⑵ 부동
관절염이 있는 관절이나, 손상입은 사지 등 통증이 있는 신체부위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
부목이나 보조지지물은 최적의 기능적 위치에서 관절을 지지해야 하고 기관의 프로토콜에 따라 정기적으로 제거하여 관절가동범위운동(ROM exercise)을 시켜줌.
부동상태가 연장되는 관절경축, 근위축, 심혈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⑶ 전기피부자극법(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stimulation, TENS)
통증부위를 지배하는 말초신경 부위 혹은 척수신경을 따라 통증부위의 지압점에 낮은 전압의 전기자극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⑷ 전환(distraction)
① 시각적 전환 : 독서, TV시청, 야구경기 관람, 심상요법
② 청각적 전환 : 유머, 음악청취
③ 촉각적 전환 : 느린, 규칙적인 호흡, 마사지, 애완동물이나 장난감을 안거나 쓰다듬기
④ 지적 전환 : 빈칸 낱말 채우기, 퍼즐 게임, 카드놀이, 취미
⑸ 점진적 근이완
⑹ 심상요법
⑺ 바이오피드백
⑻ 최면술
⑼ 교육
9) 비약물적 침습적 치료
⑴ 신경차단(nerve block)
신경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신경전달경로의 화학적 전달을 차단하는 것.
치과에서 널리 사용.
목의 손상, 하부 허리 장애, 활액낭염, 암으로 인한 통증의 완화에 사용.
신경섬유를 파괴시키므로 말초신경차단에만 사용.
⑵ 척수전삭절단술(cordotomy)
전외측 척수시상로와 촉각, 압각과 같은 감각을 전달하는 상행로를 분리하여 척수시상 아래 수준의 통증과 온도감각을 없애며, 보통 다리와 몸통에 있는 통증을 없애기 위해 시행.
고직적인 통증에만 마지막 수단으로 수행.
⑶ 근절개술(rhizotomy)
신경절과 척수 사이의 전신경근이나 후신경근을 차단.
⑷ 신경절제술(neurectomy)
⑸ 교감신경절제술(sympathectomy)
혈관경련을 제거, 말초혈액공급을 증진시켜 협심증이나 레인드 질환 같은 통증성 혈관질환을 치료
⑹ 척수자극(spinal cord stimulation, SCS)
덜 침습적인 치료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비악성 통증에 사용.
< 평가 > :
■ 적절한 진통제가 투여되었는가? 대상자가 용량 변경이나 투여 시간 간격 변경으로 인해 이득을 보았는가?
■ 통증 치료에 대한 대상자의 믿음과 가치를 고려하였는가?
■ 대상자가 통증경험을 덜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
■ 통증관리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없애기 위해 적절한 지도를 하였는가?
■ 대상자와 보호자가 통증관리 기술에 대한 지도를 이해하였는가?
■ 대상자가 의미있는 타인들로부터 적절한 지지를 받고 있는가?
■ 중재를 변경해야 할 만큼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가 변했는가?
■ 선택된 중재전략이 재평가되어야하는가?
. 주입방법 : 한번에(bolus), 자가조절진통(PCA) 기계를 사용.
⑻ 척수내
. 경막외(epidural)또는 지주막하(subarachnoid) 공간으로 마약 주입.
. 척수 후각에 있는 아편 수용기에 직접 작용.
. 흔히 사용되는 약물은 방부제 없는 morphine sulfate와 fentanyl
. 장점 : 전신적으로 투여하는 마약보다 진정효과가 적다는 것
. 경막이 외막염과 같은 감염에 대한 방어벽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막외 공간이 흔히 사용.
. 지주막하 공간보다 경박외 공간을 사용하면, 똑같은 정도의 진통효과를 얻기 위하여 더 많은 용량의 약물이 필요.
. 척수내 주입용 카테터는 의사에 의해 삽입되면 간헐적인 일회 주입과 지속적 주입이 모두 가능.
. 경막외 카테터를 통하여 진통제를 투여받는 대상자의 간호중재 P855 표 29-7
7) 자가조절 진통방법
스스로 통증조절을 하는 방법에 관해 받은 대상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약하는 것
투여경로는 구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흔함. 피하, 정맥, 경막외 투여경로를 이용한경우가 증가.
의사가 진통제의 용량, 경로, 횟수를 처방하면, 대상자는 자신의 통증 정도에 따라 진통제를 스스로 투약.
비경구적 경로로 투약할 때에는 주입펌프를 사용.
이점
.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통증을 조절 할 수 있다.
. 통증완화를 위해 진통제의 혈중농도를 더 안정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 통증 완화를 위한 진통제의 요구량이 감소됨.
대상자가 진통제를 필요로 할때 주입펌프에 부착된 버튼을 누르면 미리 맞추어 둔 용량의 진통제가 주입. 용량이 다 주입되면 미리 정해 놓은 폐쇄기간(lockout inteval : 보통 10~15분) 동안에는 대상자가 버튼을 눌러도 부가적인 용량이 주입되지 않는다. 또한 주어진 기간동안(보통 4시간) 주입도리 최대 약용량을 프로그램 할 수 있음.
8) 비약물적 통증관리
신체적 중재에는 피부자극, 부동, 전기피부자극법(TENS), 침술(acupuncture), 위약 투여 등
- 신체적 중재의 목표는 안위제공, 신체적 기능장애의 교정, 신체적 반응의 변화, 그리고 통증으로 인한 부동이나 활동 제한과 관련된 공포 감소 등.
- 심신(인지-행동적) 중제에는 전환(distraction). 이완술, 심상요법, 명상, 바이오피드백, 최면술, 치로적 접촉 포함.
⑴ 피부자극(cutaneous stimulation) : 일시적이지만 통증완화에 효과 있음
. 통증자극의 전도를 차단하는 엔돌핀 분비를 일으킴
. 직경이 큰 A-beta 감각신경섬유를 자극하여 직경이 작은 A-delta와 C섬유를 통해 전도되는 통증자극을 감소.
① 마사지
- 이완을 돕고, 근육긴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위간호
- 신체적 접촉으로 돌봄을 전달함으로써 불안감을 감소시킴.
- 통증부위의 표재성 순환을 증가시켜 통증 강도를 감소
- 연고나 바르는 약의 사용은 관절이나 근육통이 있는 부위의 국소적 통증을 완화시킴
② 온냉요법
③ 지압요법(acupressure)
- 고대 중국의 침술의 치유체계에서 발달.
④ 대측자극법(contralateral stimulation)
- 통증이 있는 부위의 반대쪽 부위의 피부를 자극하는 것.
- 특히 통증부위가 너무 민감하거나 부목이나 붕대로 인해 혹은 환상통이어서 그 부위를 만질 수 없을 때 유용
⑵ 부동
관절염이 있는 관절이나, 손상입은 사지 등 통증이 있는 신체부위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
부목이나 보조지지물은 최적의 기능적 위치에서 관절을 지지해야 하고 기관의 프로토콜에 따라 정기적으로 제거하여 관절가동범위운동(ROM exercise)을 시켜줌.
부동상태가 연장되는 관절경축, 근위축, 심혈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⑶ 전기피부자극법(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stimulation, TENS)
통증부위를 지배하는 말초신경 부위 혹은 척수신경을 따라 통증부위의 지압점에 낮은 전압의 전기자극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
⑷ 전환(distraction)
① 시각적 전환 : 독서, TV시청, 야구경기 관람, 심상요법
② 청각적 전환 : 유머, 음악청취
③ 촉각적 전환 : 느린, 규칙적인 호흡, 마사지, 애완동물이나 장난감을 안거나 쓰다듬기
④ 지적 전환 : 빈칸 낱말 채우기, 퍼즐 게임, 카드놀이, 취미
⑸ 점진적 근이완
⑹ 심상요법
⑺ 바이오피드백
⑻ 최면술
⑼ 교육
9) 비약물적 침습적 치료
⑴ 신경차단(nerve block)
신경에 국소마취제를 주입하여 신경전달경로의 화학적 전달을 차단하는 것.
치과에서 널리 사용.
목의 손상, 하부 허리 장애, 활액낭염, 암으로 인한 통증의 완화에 사용.
신경섬유를 파괴시키므로 말초신경차단에만 사용.
⑵ 척수전삭절단술(cordotomy)
전외측 척수시상로와 촉각, 압각과 같은 감각을 전달하는 상행로를 분리하여 척수시상 아래 수준의 통증과 온도감각을 없애며, 보통 다리와 몸통에 있는 통증을 없애기 위해 시행.
고직적인 통증에만 마지막 수단으로 수행.
⑶ 근절개술(rhizotomy)
신경절과 척수 사이의 전신경근이나 후신경근을 차단.
⑷ 신경절제술(neurectomy)
⑸ 교감신경절제술(sympathectomy)
혈관경련을 제거, 말초혈액공급을 증진시켜 협심증이나 레인드 질환 같은 통증성 혈관질환을 치료
⑹ 척수자극(spinal cord stimulation, SCS)
덜 침습적인 치료법으로 조절되지 않는 비악성 통증에 사용.
< 평가 > :
■ 적절한 진통제가 투여되었는가? 대상자가 용량 변경이나 투여 시간 간격 변경으로 인해 이득을 보았는가?
■ 통증 치료에 대한 대상자의 믿음과 가치를 고려하였는가?
■ 대상자가 통증경험을 덜 표현한 이유는 무엇인가?
■ 통증관리에 대한 잘못된 개념을 없애기 위해 적절한 지도를 하였는가?
■ 대상자와 보호자가 통증관리 기술에 대한 지도를 이해하였는가?
■ 대상자가 의미있는 타인들로부터 적절한 지지를 받고 있는가?
■ 중재를 변경해야 할 만큼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가 변했는가?
■ 선택된 중재전략이 재평가되어야하는가?
추천자료
화상(burn)의 간호진단 (#1 통증, #2 잠재성체액부족, #3 잠재성감염)
[신체형장애]신체화장애,신체화장애,통증장애,건강염려증,신체변형장애
정형외과 케이스, 척추협착증 간호사례, 통증완화 방법, 낙상교육안
[간호학]기본간호학 -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증상관리
PCA(Patient-controlled analgesia)를 이용한 통증관리
신체형장애발표 - 신체화 장애, 전환장애, 통증장애, 건강염려증, 신체변형장애
오십견 재활 운동 (Adhesive capsulitis, 1단계 통증 경감 시기, 2단계 적극적 가동범위 회복...
장게실염(Diverticulitis) 케이스 & 문헌고찰, 급성통증, 체액과다, 지식부족 간호과정, ...
경막외혈종케이스(간호과정:두개내 혈종과 관련된 뇌조직관류장애,두통과 관련된 통증,수술과...
[모성여성간호학] 분만 중 안위증진과 통증관리 비약물적 요법
심근경색, STEMI, 출혈위험성, 급성통증, 불안
비뇨기계건강사정, 건강사정, 비뇨기계건강진단, 배뇨통증, 임상진단검사, 요검사, 요로조영...
고위험 아동의 영양/ 발달 간호/ 비외상성간호 - 통증
성인간호학케이스 기흉(Pneumothorax) - 통증, 비효과적 호흡양상, 감염위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