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아사야의 역사관
Ⅲ. 사도 바울의 역사관
Ⅳ.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관
1.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관
2.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원론
3. 아우구스티누스의 종말론
Ⅴ. 맺음말
Ⅱ. 아사야의 역사관
Ⅲ. 사도 바울의 역사관
Ⅳ.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역사관
1.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관
2. 아우구스티누스의 이원론
3. 아우구스티누스의 종말론
Ⅴ. 맺음말
본문내용
천상도시의 시민 사이의 대립, 투쟁으로 엮어진 하나의 드라마다. 하나님은 이 드라마를 통해서 마치 연출가가 그렇게 하듯이 그의 의도와 생각, 즉 섭리를 실연(實演)한다. 이 드라마에서 인간은 배우다. 다시 말해서 인간이란 극작가이며 연출가인 하나님의 의도를 연기로 표현하는 배우다. 그러므로 궁극적으로 모든 인간의 삶과 행위는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인간은 나름대로 자유의지를 소유하고 있어서 하나님의 의도와 배치되는 삶과 행위를 할 수가 있다. 즉 인간들은 사랑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데, 어떤자는 자기자신과 현세적 삶을 너무 사랑하여 하나님과 그의 아들이며 인류의 구세주인 예수 그리스도를 외면하고 있으며, 어떤자는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너무 사랑하여 현세의 삶을 고통스런 박해와 가난과 비천에 맡겨버린다. 그래서 전자는 현세에서 승리자요 지배자의 위치에서나 내세, 즉 신의 도시에서는 버림을 받는 자가 될 것이고, 후자는 현세, 즉 지상도시에서는 패배자이고 수난을 당하는 자이나 내세, 즉 신의 도시에서는 당당한 시민으로서의 영광스러운 삶을 살게 된다는 것이다. 역사는 이렇게 지상도시에 속한 자와 신의 도시에 속한 자의 대립, 투쟁의 과정이다. 이 투쟁을 통해서 하나님은 그의 본래의 계획이며 역사의 최종적인 목표인 <인류의 원죄로부터의 구속(救贖) >을 이룩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 李相鉉. 일송 미디어. 2002
-歷史로의 入門. 李相鉉. 박문각. 1994
-歷史哲學과 그 歷史. 李相鉉. 박문각. 1991
-지성사로 본 세계사. 李相鉉. 집문당. 1998
<참고문헌>
-역사, 그 지식의 즐거움. 李相鉉. 일송 미디어. 2002
-歷史로의 入門. 李相鉉. 박문각. 1994
-歷史哲學과 그 歷史. 李相鉉. 박문각. 1991
-지성사로 본 세계사. 李相鉉. 집문당.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