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인(歸因/attribution)
2. 귀인의 방향
3. 귀인의 원리
1) 절감원리(discounting principle)
2) Kelly의 공변원리(covariation principle)
4. 귀인의 편향(attributional bias)
1) 기본귀인과오
2) 행위자-관찰자 효과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방어적 귀인)
2. 귀인의 방향
3. 귀인의 원리
1) 절감원리(discounting principle)
2) Kelly의 공변원리(covariation principle)
4. 귀인의 편향(attributional bias)
1) 기본귀인과오
2) 행위자-관찰자 효과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방어적 귀인)
본문내용
인식하지 못한다.
예를 들자면, 어떤 학생이 교실에 30분 늦게 들어오면서 갑자기 기우뚱하더니 책을 떨어뜨려 교과서와 공책이 사방에 흩어졌다고 가정했을 때, 그것이 타인이 행동이라면 조심성이 없고 성급한 성격 때문이라고 귀인하기가 쉬운 반면, 자신의 행동일 때는 자신이 부주의하고 모자라는 성격 때문이 아니라고 귀인한다.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방어적 귀인)
이 귀인편향은 자기의 자존심을 높이려는 방어적인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경향이다. 즉 자기의 성공에 대해서는 능력이나 노력 같은 내부적 원인으로 귀인하고, 자기의 실패에 대해서는 운과 같은 외부적 원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다.
예를 들면 기말리포트 작성에서 교수에게 A학점을 받았을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 노력 때문에 라고 내부귀인한다. 반면 F학점을 받았다면 과제가 어렵고 교수가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외부귀인한다.
그밖에 타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상내용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경향도 강하다. 즉 좋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때와 나쁜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때 각각 이렇게 형성된 인상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어떤 학생이 교실에 30분 늦게 들어오면서 갑자기 기우뚱하더니 책을 떨어뜨려 교과서와 공책이 사방에 흩어졌다고 가정했을 때, 그것이 타인이 행동이라면 조심성이 없고 성급한 성격 때문이라고 귀인하기가 쉬운 반면, 자신의 행동일 때는 자신이 부주의하고 모자라는 성격 때문이 아니라고 귀인한다.
3) 동기적 편향(motivational bias/방어적 귀인)
이 귀인편향은 자기의 자존심을 높이려는 방어적인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경향이다. 즉 자기의 성공에 대해서는 능력이나 노력 같은 내부적 원인으로 귀인하고, 자기의 실패에 대해서는 운과 같은 외부적 원인으로 귀인하는 경향이다.
예를 들면 기말리포트 작성에서 교수에게 A학점을 받았을 경우에는 자신의 능력, 노력 때문에 라고 내부귀인한다. 반면 F학점을 받았다면 과제가 어렵고 교수가 까다롭기 때문이라고 외부귀인한다.
그밖에 타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상내용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경향도 강하다. 즉 좋은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때와 나쁜 사람이라는 인상을 받았을 때 각각 이렇게 형성된 인상이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 방향으로 귀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