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카우어의 영화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모더니즘과 영화

Ⅱ. 새로운 이데올로기로서의 영화와 네오리얼리즘

Ⅲ. 외부 현실의 구제

Ⅳ. 맺는 말

본문내용

석하면서, 현실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바쟁과 마찬가지로 크라카우어는 영화를 사진이 확대된 것으로 여긴다. 프루스트의 소외된 주체와 카프카의 파편화 된 현실개념은 그의 영화미학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 반 표현주의적이며 반 이상주의적으로, 특이한 형식의 현실에서 현실과 꿈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의 네오리얼리즘의 영화미학은 아방가르드 미학과 신즉물주의의 예술이론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Theodor. W. Adorno, Der wunderliche Reqalist. ber Siegfried Kracauer. In: Noten zur Literatur, Gesammelte Schriften Bd.11, Frankfurt a. M. 1974, S. 388-408.
Walter Benjamin, Gesammelte Schriften III, Frankfurt a. M. 31989.
Miriam Hansen, Decentric Perspektives. In: New German Critique 54 (1991), S. 47-76.
Miriam Hansen, Massenkultur als Hieroglyphenschrift: Adorno, Derrida, Kracauer. In: Christoph Menke/ Martin Seel (Hg.), Zur Verteidigung der Vernunft gegen ihre Liebhaber und Verachter, Frankfurt a. M. 1993, S. 333-367.
Tilo Rudolf Knops, Melodrama und Montagekino bei S. Kracauer. Zur Komplementaritat ihrer Einschatzung in der deutschen Filmkultur. In: Michael Kessler/ Thomas Y. Levin (Hg.), Siegfried Kracauer. Neue Interpretationen, Tubingen 1990, S. 129-146.
Klaus Koziol, Die Wirklichkeit ist eine Konstruktion. Zur Methodologie Siegfried Kracauers. In: Michael Kessler/Thomas Y. Levin (Hg.) Siegfried Kracauer. Neue Interpretationen, Tubingen 1990, 147-158.
Siegfried Kracauer, Die Angestellten, Frankfurt a. M. 1977.
Siegfried Kracauer, Das Ornament der Masse. Essays, Frankfurt a. M. 1977.
Siegfried Kracauer, Theorie des Films, Frankfurt a. M. 1985.
Stefan Oswald, Die gebrochenen Farben des bergangs. Zum Essay-Band 『Das Ornament der Masse』. In: Text+Kritik,
  • 가격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11.19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3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