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종학의 설립 배경
2.종학의 의의
3.종학 운영에 있어서 상실된 교육적 의미
4.종학의 교육
2.종학의 의의
3.종학 운영에 있어서 상실된 교육적 의미
4.종학의 교육
본문내용
교육이 정치와 상호분리를 하여 교육의 자주성과 중립성을 지켰으며, 한글 보급을 통해 교육의 대중화를 활성 시켰다. 조선시대의 교육기관은 크게 관학과 사학으로 나눌 수 있다. 관학 교육기관으로서 성균관·4부학당(사학)·종학·잡학·향교 등이 있으며, 사학 교육기관으로는 서재·서당 등이 있다. 종학은 종실의 교육을 담당하는 정 4품 아문이었다. 여기서 말하는 종실은 종친과 마찬가지로 왕의 4대손까지의 자손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의 종학은 1428년, 즉 세종 10년 7월에 대군 이하 종실 자제들의 교육을 위하여 처음으로 설립되었고, 이듬해 10월에 경복궁의 건춘문 밖에 학사를 세우는가 하면, 동왕 12년 3월에는 종학의 학칙인 종학학식을 규정하여 비로소 명실상부한 종친교육기관으로서 종학의 체계를 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