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표설정의 기능
2. 목표설정의 네 차원
1) 목표내용
2) 목표강도
3) 수업목표의 설정 과정
3. 수업목표의 협동설정 전략
1) 동료협동
2) 교사-학생간 협동
3) 자기목표
4. 작용점
2. 목표설정의 네 차원
1) 목표내용
2) 목표강도
3) 수업목표의 설정 과정
3. 수업목표의 협동설정 전략
1) 동료협동
2) 교사-학생간 협동
3) 자기목표
4. 작용점
본문내용
를 바탕으로 자기에게 적합한 목표를 스스로 조정하여 결정한다.
4. 작용점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수업을 위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수업상황에서 막연하게 수업목표를 설정하는 것 보다 구체적인 행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둘째. 쉬운 수업목표를 설정하기보다는 학습자에게 현재의 능력수준 보다 약간 더 어려운 수업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셋째. 시간적으로 너무 먼 수업목표보다는 학습자가 당장 학습해야할 바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넷째. 수업목표를 교사가 일방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학생들간의 협동을 통하여 수업목표를 설정할 기회를 제공한 뒤 교사와의 숙의 과정을 거쳐 수업목표에 접근하며, 최종적으로 학생의 능력수준에 적합한 개별화된 학습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야한다.
4. 작용점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수업을 위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수업상황에서 막연하게 수업목표를 설정하는 것 보다 구체적인 행동으로 설정해야 한다
둘째. 쉬운 수업목표를 설정하기보다는 학습자에게 현재의 능력수준 보다 약간 더 어려운 수업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셋째. 시간적으로 너무 먼 수업목표보다는 학습자가 당장 학습해야할 바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넷째. 수업목표를 교사가 일방적으로 제시하기보다는 학생들간의 협동을 통하여 수업목표를 설정할 기회를 제공한 뒤 교사와의 숙의 과정을 거쳐 수업목표에 접근하며, 최종적으로 학생의 능력수준에 적합한 개별화된 학습목표를 설정하도록 해야한다.
추천자료
교육 공학 교수 목표 설정
제 6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 설정
기획과정으로서 목표의 설정과 상황의 분석에 대하여 설명함.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의 설정
조직행위론 사례 및 분석(목표 설정 이론, 강화이론, 조직 몰입 이론, 인지부조화 이론, 리더...
스포츠와 인간행동 -목표 설정과 자신감
NEXON (넥슨) (SWOT 분석, 목표 설정, STP 전략, 4P 분석).PPT자료
[광고학개론 요점 정리 노트] 08장 광고 목표 설정
교육과정의 구성과 계획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와 구성원리, 교육목표의 설정, 교육내용의 선...
목적, 목표 설정에 따른 사업계획서 분석 및 평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계획수립과정 _계획단계, 개입목표 설정, 계약(계약의 개념...
[보육과정] <보육> 보육목표의 설정과 보육내용 (보육과정의 구성절차)
[합리적계획과정] 합리적 계획과정 모형, 단계별 계획과정(목표의 설정, 대안의 선택, 집행, ...
[보육학개론] 보육과정의 구성요소 - 보육목적 및 목표의 설정, 보육내용 선정, 보육내용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