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사상 - 사단사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맹자의 사상 - 사단사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맹자의 의
1) 의와 윤리실천의 주체로서의 개인
가. 주체와 성실
나. 인권과 자유
2) 의의 정치적인 면
가. 민본주의
나. 혁명사상
3) 의의 사회적인 면
가. 인도주의
나. 저항정신
4) 맹자의 의에 대한 해설

2. 사단사덕
1) 사단(사단)
2) 사덕 (사덕)

본문내용

과정을 이기론적으로 해명하는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올랐으며 이것은 대규모 논쟁으로까지 전개되었다. 이 논쟁은 이황(李滉)과 기대승(奇大升) 사이에서 처음 발생하였고 나중에 이이(李珥)와 성혼(成渾) 사이에서 다시 논의됨으로써 새로운 국면의 논쟁으로 전개되었다.
이 과정에서 주된 쟁점이 되었던 것은 사단이 이(理)에 속하는가 아니면 기(氣)에 속하는가 하는 문제와, 이(理)가 과연 발동할 수 있는가 없는가 하는 두 가지 문제였다. 16세기말에 발생하였던 이 논쟁은 당대의 저명한 성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학계 전체의 문제로 확대되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성리학자가 이 문제를 다루었을 정도로 한국 유교의 전개 과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2) 四德 (사덕)
元(원), 亨(형),利(이), 貞(정)이라 할 수 있으며, 천지(天地) 자연(自然)의 네 가지 덕(德)
은 마음씨, 말씨, 맵씨, 솜씨를 뜻하며, 여자(女子)로서 갖추어야한다는 네 가지 덕행(德行)
으로써는 孝(효), 悌(제), 忠(충), 信(신)로 나타난다. 또한 인륜(人倫)의 네 가지 德(덕)은 仁 (인), 義(의), 禮(예),智(지)등을 통해 군자(君子)가 행해야할 네 가지 품성(品性)을 길러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
1. 김종무 지음, 맹자신해, 민음사, 1994.
2. 맹자 지음, 박경환 옮김, 맹자, 홍익출판사, 1999.
3. 양구오롱 지음, 이영섭 옮김, 맹자평전, 미다스북스, 2002.

키워드

사단,   맹자,   사덕,   맹자의 사상,   동양,   철학,   ,   사단지덕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5.1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98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