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맹자에 대하여
*맹자의 사상과 정치
*성선설과 왕도정치
*맹자 7편 (양혜왕편,공손추편,등문공편,이루편,만장편,고자편,진심편)
전편에 대한 해설
*맹자의 사상과 정치
*성선설과 왕도정치
*맹자 7편 (양혜왕편,공손추편,등문공편,이루편,만장편,고자편,진심편)
전편에 대한 해설
본문내용
있다.
<<이루편>>
이 편은 대부분이 대화 형식이 아닌 맹자의 일방적인 말이 기록되어 있으며 , 윤리 도덕에 대한 설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의에 입각한 도덕정치와 불인한 정치가 가져오는 상반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천하 후세의 통치자들을 경계하였으며, 임금의 잘못된 마음을 바로잡는 것이 신하 된 자의 큰 사명으로 내세우기도 하였다. 증자의 예를 들어서, 부모를 봉양하는 데 있어서 몸을 보살피는 것보다는 그 뜻을 편안케 하는 것이 효도라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여기에서도 인륜에 밝았던 순임금의 업적을 찬양하였다.
<<만장편>>
이 편은 맹자와 그의 제자인 만장 사이의 문답이 중심을 이루며, 고대 중국의 이상적 군주인 요순에 대한 공업을 많이 다루었다. 특히 순이 지극한 효도로써 완악한 그의 아버지 고수를 감화시키고 천하만세에 수훈한 숭고한 정신을 서술하였으며, 요순의 선양이나 하후, 은, 주의 세습이 그 의의에 있어서 동일하다는 가치관을 내세움으로써 선양을 신성시하고 하후, 은, 주의 세습을 경시하는 일반적 경향을 시정하려 하였다. 그 밖에도 공자가 집대성적 성인임을 밝힘과 동시에 군신간의 의리 또는 교우하는 방법론 등이 제시되어 있다.
<<고자편>>
천하가 혼란에 빠진 전국시대에는 인성문제에 대한 논란이 성행되었던 것 같다. 맹자의 성선설을 비롯해서 고자의 무선무불선설. 인성은 선하게도 만들 수가 있으며 불선하게도 만들 수 있다는 설. 인성이 선한 사람도 있고 불선한 사람도 있다는 설 등 학설이 분분 했다. 이 편에서는 고자의 무선무불선설과 맹자의 성선설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맹자는 고자의 설을 압도하고 인간을 선으로 유도하려는 뜻을 비추었다.
어와 웅장의 선택 문제를 비유로 들어 정의의 도를 밝힘으로써 인간이 갈 길을 제시하였으며, 5패는 3왕의 죄인이요 오늘날의 제후는 5패의 죄인이라고 규정지어서 제후들의 불안한 정치와 약육강식하는 침략행위를 규탄하기도 하였다.
<<진심편>>
이 편에서는 인간의 심 , 성, 천명 등이 형이상학적인 문제로 깊이 파고 들어갔다. 성선설을 이해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교육 문제나 천명에 대한 깊은 고찰을 맹자의 후기의 학설로서 중요하게 취급된다. 고지성왕인 요순을 연원으로 해서 맹자까지의 도통을 성립시킴으로써 전편에 대한 매듭을 지었다.
<참고> 이기석, 한용우 역해 홍신문화사,
맹자의 사상과 정치,
맹자 문학과 현실사,
유교 경전의 이해
<<이루편>>
이 편은 대부분이 대화 형식이 아닌 맹자의 일방적인 말이 기록되어 있으며 , 윤리 도덕에 대한 설명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의에 입각한 도덕정치와 불인한 정치가 가져오는 상반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천하 후세의 통치자들을 경계하였으며, 임금의 잘못된 마음을 바로잡는 것이 신하 된 자의 큰 사명으로 내세우기도 하였다. 증자의 예를 들어서, 부모를 봉양하는 데 있어서 몸을 보살피는 것보다는 그 뜻을 편안케 하는 것이 효도라는 것을 주장하였으며, 여기에서도 인륜에 밝았던 순임금의 업적을 찬양하였다.
<<만장편>>
이 편은 맹자와 그의 제자인 만장 사이의 문답이 중심을 이루며, 고대 중국의 이상적 군주인 요순에 대한 공업을 많이 다루었다. 특히 순이 지극한 효도로써 완악한 그의 아버지 고수를 감화시키고 천하만세에 수훈한 숭고한 정신을 서술하였으며, 요순의 선양이나 하후, 은, 주의 세습이 그 의의에 있어서 동일하다는 가치관을 내세움으로써 선양을 신성시하고 하후, 은, 주의 세습을 경시하는 일반적 경향을 시정하려 하였다. 그 밖에도 공자가 집대성적 성인임을 밝힘과 동시에 군신간의 의리 또는 교우하는 방법론 등이 제시되어 있다.
<<고자편>>
천하가 혼란에 빠진 전국시대에는 인성문제에 대한 논란이 성행되었던 것 같다. 맹자의 성선설을 비롯해서 고자의 무선무불선설. 인성은 선하게도 만들 수가 있으며 불선하게도 만들 수 있다는 설. 인성이 선한 사람도 있고 불선한 사람도 있다는 설 등 학설이 분분 했다. 이 편에서는 고자의 무선무불선설과 맹자의 성선설의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맹자는 고자의 설을 압도하고 인간을 선으로 유도하려는 뜻을 비추었다.
어와 웅장의 선택 문제를 비유로 들어 정의의 도를 밝힘으로써 인간이 갈 길을 제시하였으며, 5패는 3왕의 죄인이요 오늘날의 제후는 5패의 죄인이라고 규정지어서 제후들의 불안한 정치와 약육강식하는 침략행위를 규탄하기도 하였다.
<<진심편>>
이 편에서는 인간의 심 , 성, 천명 등이 형이상학적인 문제로 깊이 파고 들어갔다. 성선설을 이해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교육 문제나 천명에 대한 깊은 고찰을 맹자의 후기의 학설로서 중요하게 취급된다. 고지성왕인 요순을 연원으로 해서 맹자까지의 도통을 성립시킴으로써 전편에 대한 매듭을 지었다.
<참고> 이기석, 한용우 역해 홍신문화사,
맹자의 사상과 정치,
맹자 문학과 현실사,
유교 경전의 이해
추천자료
유가사상과 법가사상
[동양][동양의 국가관][동양의 사상][동양의 이상사회][동양의 봉건제도][동양의 환경관][동...
[주자, 주자의 사상] 주자의 사상과 철학
[주자, 주자의 교육사상] 주자의 교육사상과 교육론
[북학의][박제가][실학사상]북학의(실학자 박제가)의 해제, 북학의(실학자 박제가)의 경제사...
유가사상과 도가사상의 비교
도교사상과 유교사상
[양명학][양지론][치양지론][회통원융사상][스포츠][양명학의 비판]양명학의 의미, 양명학의 ...
[유교][유교 변천][유교 사상][유교 실재관][유교 합리주의][유교 인성][유교 교화][유교와 ...
[동양][동양무도][동양사상][동양윤리][동양철학][동양학][동양화][동양예언]동양과 동양무도...
[동양, 동양윤리, 동양사상, 동양철학, 동양의학(한의학), 동양예술]동양과 동양윤리, 동양과...
[동양, 동양무도, 동양철학, 동양사상, 동양사회, 동양행정, 동양예언]동양과 동양무도, 동양...
[연암 박지원 (燕巖 朴趾源)] 연암 박지원의 생애와 교육사상과 특성, 박지원의 교육사상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