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릿말
2. 지리적 배경
3. 라틴동맹과 로마
4. 초기의 공화정
5. 로마의 중부 이탈리아 정복
6. 남부 이탈리아의 정복
7.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의 의의 - 시민권의 확대
8. 맺음말
2. 지리적 배경
3. 라틴동맹과 로마
4. 초기의 공화정
5. 로마의 중부 이탈리아 정복
6. 남부 이탈리아의 정복
7.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통일의 의의 - 시민권의 확대
8. 맺음말
본문내용
들을 무릎 꿇게 할 수 있도록 자원과 인력을 공급했다.
로마인들에게는 다행히도 잠재적으로 가장 강력한 적국들이었던 고도로 발달된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모두 질투와 경쟁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그로써 양쪽 그룹이 힘을 결집하여 로마에 대항할 수가 없었다.
이런 이점들이 한데 뒤섞여 로마인들은 강력하고 융통성 있는 동맹체제를 통해 이탈리아 반도 전역을 장악했고, 기원전 264년 경에 로마를 지중해 세계 위에서 주요 강대국의 하나로 만들어준 탄탄한 동맹 체제를 구축했다. 이런 상황 위에서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에게 승리를 안겨준 주된 요인은 로마의 이탈리아 동맹이 갖고 있던 강력하고 항구적인 성격이었다. 그리고 타부족의 정복결과에서 로마가 보인 유연한 시민권의 확대는 여기에서 만민법이 발생하였고, 세계시민의 정신이 발생하였다. 오늘날, 이제 세계는 국경없는 무역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로마의 역사가 그러하였듯이 국경을 두고는 있으되, 국민간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국내에 규정한 법률만으로는 유지가 힘든 시대인 것이다. 승리자의 관용과 절제, 주인으로서 책임지는 당당한 시민의식 등이 있었기에 로마는 수백년의 오랜기간에 결쳐 대제국을 유지했던 영속성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한다.
◀◀ 참 고 문 헌 ▶▶
― 프리츠 하이켈하임.『로마사』. 현대지성사. 1999
― 조인형 편역. 『사진과 함께 보는 서양고대사』.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 김진경 外. 『서양 고대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1996
―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1986
― 허인. 『이탈리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로마인들에게는 다행히도 잠재적으로 가장 강력한 적국들이었던 고도로 발달된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모두 질투와 경쟁으로 분열되어 있었고, 그로써 양쪽 그룹이 힘을 결집하여 로마에 대항할 수가 없었다.
이런 이점들이 한데 뒤섞여 로마인들은 강력하고 융통성 있는 동맹체제를 통해 이탈리아 반도 전역을 장악했고, 기원전 264년 경에 로마를 지중해 세계 위에서 주요 강대국의 하나로 만들어준 탄탄한 동맹 체제를 구축했다. 이런 상황 위에서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에게 승리를 안겨준 주된 요인은 로마의 이탈리아 동맹이 갖고 있던 강력하고 항구적인 성격이었다. 그리고 타부족의 정복결과에서 로마가 보인 유연한 시민권의 확대는 여기에서 만민법이 발생하였고, 세계시민의 정신이 발생하였다. 오늘날, 이제 세계는 국경없는 무역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로마의 역사가 그러하였듯이 국경을 두고는 있으되, 국민간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국내에 규정한 법률만으로는 유지가 힘든 시대인 것이다. 승리자의 관용과 절제, 주인으로서 책임지는 당당한 시민의식 등이 있었기에 로마는 수백년의 오랜기간에 결쳐 대제국을 유지했던 영속성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 아닌가한다.
◀◀ 참 고 문 헌 ▶▶
― 프리츠 하이켈하임.『로마사』. 현대지성사. 1999
― 조인형 편역. 『사진과 함께 보는 서양고대사』.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 김진경 外. 『서양 고대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1996
― 차하순. 『서양사총론』. 탐구당. 1986
― 허인. 『이탈리아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