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간완성을 위한 학문
(1)사학병진(思學竝進)
(2)극기복례(克己復禮)
(3)충서(忠恕)
(4)반구
(5)공자의 인간관
(6)사회관
(1)사학병진(思學竝進)
(2)극기복례(克己復禮)
(3)충서(忠恕)
(4)반구
(5)공자의 인간관
(6)사회관
본문내용
관심 가운데 하나이다. 그런데 유교에서 생각하는 이상사회가 어떠한 것이냐에 따라서 그러한 이상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경제·사회에 대한 이론들도 결국 목표가 되는 이상사회의 성격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공자를 비롯한 유교의 사상가들은 한결같이 인간의 본성에 따라서 서로 사랑하고 서로 도우며, 서로 신의를 지켜서 살아가는 공동체적인 사회를 이상적인 인간사회로 생각하고, 그 구현을 염원해 왔다.
<<의문점:1>>.책의 내용중 공자는 '직'을 설명하면서 양을 훔친 아버지를 관가에 가서 고발한 아들보다 아버지를 숨겨 주고 감싸주는 것을 더 정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효심이 강하다고는 할 수 있지만 더 정직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 지금 사회에서 만연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학연, 지연 혈연 주의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들도 공자의 '직'의 관점에서 본다면 옳은 일이 될텐데 말이다.
2.공자는 '인'을 강조하며 덕치주의를 내세웠다. 그런데 공자는 '인'을 상황에 따라서 정의를 달리 내렸다. '인'이 워낙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고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에 그러할수도 있겠지만 중요한 사상이 상황에 따라 변한다면 오히려 그 중요성이 떨어지고 혼란을 가져오지는 않을까?
3.공자의 이상사회론은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는 말 그대로 이상사회론이 아닐까?
의견 : 비록 도덕적인 사회의 건설이 유교의 가장 핵심적인 관심사이지만, 인간의 삶 자체가 경제적인 여건의 해결 없이 영위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자의 관심 역시 경제적인 조건의 해결에 모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 까닭에 공자는 도덕적인 교화에 앞서서 경제적인 생활의 안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그러나 유학의 사회적 관심은 역시 도덕성의 확립에 모아지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삶의 기본적인 조건의 해결을 역설하면서도 그것은 이상적인 삶을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일 뿐이라는 사실을 환기시키며, 도덕적 교화가 따르지 않으면 인간이 동물과 다를 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그는, 도덕적인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국민에 대한 규범적인 교육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범법자가 생기게 되고 그럴 경우 자연히 형벌과 사형까지도 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자연히 백성을 헤치고 죽이는 결과에까지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공자의 사회사상은 도덕성을 전제로 한 이상사회론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
<<의문점:1>>.책의 내용중 공자는 '직'을 설명하면서 양을 훔친 아버지를 관가에 가서 고발한 아들보다 아버지를 숨겨 주고 감싸주는 것을 더 정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효심이 강하다고는 할 수 있지만 더 정직하다고 볼 수 있는 것인가? 지금 사회에서 만연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학연, 지연 혈연 주의도 같은 맥락에서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들도 공자의 '직'의 관점에서 본다면 옳은 일이 될텐데 말이다.
2.공자는 '인'을 강조하며 덕치주의를 내세웠다. 그런데 공자는 '인'을 상황에 따라서 정의를 달리 내렸다. '인'이 워낙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고 중요한 개념이기 때문에 그러할수도 있겠지만 중요한 사상이 상황에 따라 변한다면 오히려 그 중요성이 떨어지고 혼란을 가져오지는 않을까?
3.공자의 이상사회론은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는 말 그대로 이상사회론이 아닐까?
의견 : 비록 도덕적인 사회의 건설이 유교의 가장 핵심적인 관심사이지만, 인간의 삶 자체가 경제적인 여건의 해결 없이 영위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자의 관심 역시 경제적인 조건의 해결에 모아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런 까닭에 공자는 도덕적인 교화에 앞서서 경제적인 생활의 안정이 선행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그러나 유학의 사회적 관심은 역시 도덕성의 확립에 모아지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삶의 기본적인 조건의 해결을 역설하면서도 그것은 이상적인 삶을 성취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건일 뿐이라는 사실을 환기시키며, 도덕적 교화가 따르지 않으면 인간이 동물과 다를 바가 없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그는, 도덕적인 사회를 지향하기 위해서는 국민에 대한 규범적인 교육이 필수적으로 뒤따라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범법자가 생기게 되고 그럴 경우 자연히 형벌과 사형까지도 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자연히 백성을 헤치고 죽이는 결과에까지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공자의 사회사상은 도덕성을 전제로 한 이상사회론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