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문
1.어머니의 장례식과 뫼로소의 습관에 관한 고찰
2.마리아의 정사와 해수욕에서 나타나는 욕구 심리
3.살인과 뫼로소의 불안심리 분석
4.왜곡된 재판과정과 뫼로소의 반항
◈ 사족
1.어머니의 장례식과 뫼로소의 습관에 관한 고찰
2.마리아의 정사와 해수욕에서 나타나는 욕구 심리
3.살인과 뫼로소의 불안심리 분석
4.왜곡된 재판과정과 뫼로소의 반항
◈ 사족
본문내용
은 심리비평적 입장의 분석이라기 보다는 독서 감상문적 성격이 더 강하다고 느껴진다. 뫼르소의 부조리 정신과 반항정신에 대해 심층적 심리 분석을 했다기보다는 그 의미를 용이한 대로 해석하는 입장을 취했다는 자각 때문이다. 어쩌면 나는 본질을 이해하지 못했는 지도 모른다. 나의 이러한 심리 뒤에는 '자의식(양심)'이 있을 것이다.
-사족(蛇足)2.
심리주의 분석을 한다는 명징한 의식없이 '기계적'으로 문서를 작성했다. 그것은 나의 능력이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독창적인 해석도 없었다. 심리분석이 자신이 없었다면 차라리 작품 분석이 이제까지와는 다를 독창적인 데가 있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크게 흉 잡히지 않을 '모범 답안'을 작성하는 데 급급했다. 부끄럽다. 그러나 의미있고 흥미 있는 작업이었다. 작품을 읽을 때 지금처럼 책에 일일이 줄을 긋고 견해를 쓰는 등의 면밀한 자세로 읽어보긴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아마도 이 작품을 두 번째 읽은 덕도 크다. 첫 읽기였다면 줄거리를 파악하느라 바쁘고 감상을 느끼느라 정신 없어 분석은 엄두도 못 내었을 것이다. 어쨌든 묵은 체증 같았던 숙제를 해냈으니 이제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를 진중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
-사족(蛇足)2.
심리주의 분석을 한다는 명징한 의식없이 '기계적'으로 문서를 작성했다. 그것은 나의 능력이 역부족이었기 때문이다. 독창적인 해석도 없었다. 심리분석이 자신이 없었다면 차라리 작품 분석이 이제까지와는 다를 독창적인 데가 있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크게 흉 잡히지 않을 '모범 답안'을 작성하는 데 급급했다. 부끄럽다. 그러나 의미있고 흥미 있는 작업이었다. 작품을 읽을 때 지금처럼 책에 일일이 줄을 긋고 견해를 쓰는 등의 면밀한 자세로 읽어보긴 처음이었기 때문이다. 그것은 아마도 이 작품을 두 번째 읽은 덕도 크다. 첫 읽기였다면 줄거리를 파악하느라 바쁘고 감상을 느끼느라 정신 없어 분석은 엄두도 못 내었을 것이다. 어쨌든 묵은 체증 같았던 숙제를 해냈으니 이제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를 진중하게 읽을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