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화법
(1) 청능훈련
(2) 보청기(hearing aid)
① 보청기의 종류
②
보청기 착용 훈련
(3) 발화지도
① 발화지도의 단계
② 발화지도 전략
(4) 독화지도
2) 수화법
(1) 청능훈련
(2) 보청기(hearing aid)
① 보청기의 종류
②
보청기 착용 훈련
(3) 발화지도
① 발화지도의 단계
② 발화지도 전략
(4) 독화지도
2) 수화법
본문내용
우 낮거나 다른 말소리의 구형과 중복되어 있어 독화를 더욱 어렵게 한다.
한국어 음소의 구형 변별력을 조사한 김영욱(1983)은 단모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47.4%이고, 자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13.8%이며, 이중모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39.4%라고 하였다.
독화지도는 청각활동을 극대화하고 종합적인 언어지도 상황에서 꾸준히 하되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가능한 독화단서를 활용하도록 한다.
② 말은 보통의 속도로, 자연스럽게 한다.
③ 차폐물이 없는 밝은 곳에서 한다.
④ 소음이 통제된 곳에서 한다.
⑤ 약 2^36,36^3m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되 1m이하로 간격을 좁히지 않는다.
⑥ 항상 동일한 위치와 방향에서 독화하지 않도록 한다.
⑦ 독화하려는 태도를 갖게 한다.
⑧ 화자는 말을 할 때 가만히 서서하되 가능하면 아동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한다.
2) 수화법
수화법(manual method)은 손에 대한 의사소통 체계로 수화와 지문자를 사용한다.
수화(sign language)는 농인들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체계적인 수화는 18세기 트래피스트회 수도사들이 사용한 몸짓등을 기초하여 de I`Epee가 농학교에
적용하면서 체계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Furth, 1973).
지문자(fingerspelling)는 1620년 Bonet에 의해 한손 지문자가 소개된 후 이를 기초하여 1698년에 영국에서는 양손 지문자가 개발되었으며 그 후 Pereire가 프랑스 문어의 철자에 기초하여 만든 지문자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성학적 지문자의 선구가
되고 있다(김병하 역, 1984).
수화는 농인 사회에서 사용되는 의사교환의 양식이며, 농인들에 의해 창조되었고 창조되는 일종의 언어로 보아야 한다(김승국, 1989). 또한 수화는 음성체계가 아니라 시각-운동체계이다. 그러므로 수화의 각 기호는 시각에 의해서는 변별할 수 있으나 청각에 의해서는 변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음성 언어와 같이 지각되자 곧 영원히 사라져버리는
것이다(김승국, 1982).
김승국(1982)은 한국수화의 구성 방법은 지사, 모방, 사형,
형지, 형동, 회의, 전주등 일곱 가지라고 하고 수향소, 20개의
체동소가 있다고 하였다.
지문자는 그림 2-12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모양을 변화시켜
자모와 수를 표시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청각장애 아동의 조기
언어지도에 도입하여 지도하기도 한다.
한국어 음소의 구형 변별력을 조사한 김영욱(1983)은 단모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47.4%이고, 자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13.8%이며, 이중모음의 평균 구형 변별력은 39.4%라고 하였다.
독화지도는 청각활동을 극대화하고 종합적인 언어지도 상황에서 꾸준히 하되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① 가능한 독화단서를 활용하도록 한다.
② 말은 보통의 속도로, 자연스럽게 한다.
③ 차폐물이 없는 밝은 곳에서 한다.
④ 소음이 통제된 곳에서 한다.
⑤ 약 2^36,36^3m 이내의 거리를 유지하되 1m이하로 간격을 좁히지 않는다.
⑥ 항상 동일한 위치와 방향에서 독화하지 않도록 한다.
⑦ 독화하려는 태도를 갖게 한다.
⑧ 화자는 말을 할 때 가만히 서서하되 가능하면 아동과 비슷한 높이를 유지한다.
2) 수화법
수화법(manual method)은 손에 대한 의사소통 체계로 수화와 지문자를 사용한다.
수화(sign language)는 농인들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발전되었다. 체계적인 수화는 18세기 트래피스트회 수도사들이 사용한 몸짓등을 기초하여 de I`Epee가 농학교에
적용하면서 체계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Furth, 1973).
지문자(fingerspelling)는 1620년 Bonet에 의해 한손 지문자가 소개된 후 이를 기초하여 1698년에 영국에서는 양손 지문자가 개발되었으며 그 후 Pereire가 프랑스 문어의 철자에 기초하여 만든 지문자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음성학적 지문자의 선구가
되고 있다(김병하 역, 1984).
수화는 농인 사회에서 사용되는 의사교환의 양식이며, 농인들에 의해 창조되었고 창조되는 일종의 언어로 보아야 한다(김승국, 1989). 또한 수화는 음성체계가 아니라 시각-운동체계이다. 그러므로 수화의 각 기호는 시각에 의해서는 변별할 수 있으나 청각에 의해서는 변별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음성 언어와 같이 지각되자 곧 영원히 사라져버리는
것이다(김승국, 1982).
김승국(1982)은 한국수화의 구성 방법은 지사, 모방, 사형,
형지, 형동, 회의, 전주등 일곱 가지라고 하고 수향소, 20개의
체동소가 있다고 하였다.
지문자는 그림 2-12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모양을 변화시켜
자모와 수를 표시하는 것인데, 최근에는 청각장애 아동의 조기
언어지도에 도입하여 지도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