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중앙차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버스 중앙차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버스 전용차로
시행배경
정의
버스전용차로 장점
버스전용차로 단점
기대효과
보완대책

본문내용

벗겨낸 후 할 필요가 있는지 이해가 안 간다. 오히려 비용이 더 들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비가 온 후에 붉은색 아스팔트가 많이 벗겨진 것을 볼 수도 있었다. 오히려 낭비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1차선에 중앙버스 차선이 생기다 보니깐 그동안 좌회전이나 U턴을 하던 사람들은 2차로나 이용을 할 수 없게 되어서 오히려 큰 불편을 꺾고 있다. U턴 같은 경우는, 아예 할 수가 없기 때문에 P턴을 해야 되기 때문에 시간이 더욱더 걸리게 될것이다.
첫날에 시행된 후, 미디어에서 중앙버스 노선 이용 장면을 보여줬는데 정말 장난이 아니었다. 특히 강남대로 모습을 보여줬는데, 무슨 버스가 마치 지하철처럼 줄줄이 연결된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 이후로 간선버스는 외곽 차선을 이용해서 그나마 좀 낳아졌지만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수색방향과 성산대교 방향에서 오는 차량들이 만나는 모래내 고가는 갑자기 중앙버스 차선을 이용하다가 갑자기 차선을 바꿔야 하기 때문에 병목현상이 자주 일어난다.
이처럼 올해 시행된 중앙버스차선은 말도 많고, 탈도 많다. 아직 시행초기라서 단점들이 더욱 많지만, 내년쯤이면 거의 정착될 것으로 본다. 지금도 시행초기보다는 많이 낳아진 것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현 서울시장이 재임기간에 무언가 큰 일을 하기 위해서 너무 서두르게 시행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치적인 면이 약간 있다는 얘기이다.
그래도 이왕 시행된 일이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적극적인 편의를 위해서 좀 더 낳은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굳이 집에서 승용차를 몰고 나와서 출퇴근길 교통정체에 빠지지 말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더욱더 낳을 것이다. 아무리 해도 시내에서는 버스의 속도를 자동차가 따라 갈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중앙버스차로에는 장애인에 대한 편의가 별로 없다고 한다. 횡단 보도의 높이는 적당한 수준이었는데, 점자블록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향신호등은 부적당하거나, 설치가 안되있다고 본다. 항상 무슨 시설이 설치될 때마다 장애인에 대한 편의는 알면서도 제대로 시행을 안 하는것 같다. 정부 사람들은 무슨 일을 할때 일반 시민 중심으로 시행하지 말고, 장애인을 항상 위주로 시행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장애인을 기준을 만들어도 일반 시민들은 충분히 다 이용할 수 있다.
● 참고자료
서울시청 홈페이지
한국일보 기획특집 ‘교통개편 한달’
T-money 홈페이지
중앙일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1.10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2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