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판매촉진의 역할과 전략
B.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
1. 쿠폰
2. 견본
3. 경품
4. 특가판매
5. 공개실연
6. 컨테스트
C. 중간상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
1. 중간상 판매 컨테스트 및 인센티브
2. 리베이트
3. 공제
4. 판매처 교육 및 지원
5. POP 광고
B.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
1. 쿠폰
2. 견본
3. 경품
4. 특가판매
5. 공개실연
6. 컨테스트
C. 중간상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촉진
1. 중간상 판매 컨테스트 및 인센티브
2. 리베이트
3. 공제
4. 판매처 교육 및 지원
5. POP 광고
본문내용
할 때, 자사제품을 일정량 이상 구매할 때, 중간상이 광고나 판촉을 할 때 이를 지원해 주는 것이다.
리베이트(rebate)
판매처와 제조업체가 판매량, 판매방법, 결제조건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해 약정하고 약정된 조건에 대한 결과에 따라 판매장려금, 판매수수료 등을 지급하는 방법이다. 현실적으로 많이 일어나고 있는 방식이다.
POP(point of purchase)광고
구매시점광고라고도 하는데 소비자의 구매가 주로 이루어지는 곳에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목적으로 설치된 여러 가지 형태의 광고물을 말한다. 주로 상품 설명, 매장안내, 판매능률 향상, 점포의 분위기 형성, 광고, PR 등의 역할을 한다. 창진열(window display), 포스터, 스탠드, 장식물, 대형 실물 견본, 등이 있다.
판매처 교육 및 지원
판매원의 판매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판매처의 회계, 구매, 재고, 판매 등의 제반 문제를 교육, 세미나 등을 통해서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판매원 교육이 많이 실시되는데 이는 전문적인 제품지식이 필요한 제품의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주로 자사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품을 실연하거나 판매기법 등을 교육하고 지원한다.
리베이트(rebate)
판매처와 제조업체가 판매량, 판매방법, 결제조건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대해 약정하고 약정된 조건에 대한 결과에 따라 판매장려금, 판매수수료 등을 지급하는 방법이다. 현실적으로 많이 일어나고 있는 방식이다.
POP(point of purchase)광고
구매시점광고라고도 하는데 소비자의 구매가 주로 이루어지는 곳에 상품의 구매를 유도할 목적으로 설치된 여러 가지 형태의 광고물을 말한다. 주로 상품 설명, 매장안내, 판매능률 향상, 점포의 분위기 형성, 광고, PR 등의 역할을 한다. 창진열(window display), 포스터, 스탠드, 장식물, 대형 실물 견본, 등이 있다.
판매처 교육 및 지원
판매원의 판매 능력을 키우기 위한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판매처의 회계, 구매, 재고, 판매 등의 제반 문제를 교육, 세미나 등을 통해서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판매원 교육이 많이 실시되는데 이는 전문적인 제품지식이 필요한 제품의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주로 자사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품을 실연하거나 판매기법 등을 교육하고 지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