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생활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시대의 생활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거지 및 토지

2. 의복·신발·장식구등의 생활 용품

3. 형벌

4. 상업

5. 결혼 풍습

6. 의술

7. 조선시대의 천주교

*조선시대의 종교

8. 주도(酒道)

9. 도자기

10. 장례의식

11. 기타

본문내용

하품 그릇이었으므로 도공들은 스스로 자신의 뒤떨어진 미적감각을 빗대어 자신들을 도공이 아닌 오공(烏工)라고 부르고 있었다.
색주가 : 이들은 전국에서 사기장들이 모여 작업을 하는 해빙기에서 결빙기가지 성시를 이루었다가 날이 쌀쌀해지면 사라지는 일종의 파시(波市)였다. 주로 사기장들의 두둑한 주머니를 노리고 모여든 것이다.
10. 장례의식
최 : 원래 최란 작은 베조각을 가슴에다는 것을 가리킨다. 주로 심장이 있는 왼쪽 가슴에 달았는데, 이것은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는 ‘눈물받이’의 역할까지 하여 심장의 슬픔을 가리키는 상징적이 뜻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 돌아가신 사람들을 추모할 때에는 가슴에 최를 달거나, 슬픔을 등에 지었다 하여 부판(負版)의 삼베조각을 등쪽의 옷깃에 달거나, 적(適)이라 하여 양쪽 어깨에 삼베조각을 매다는 풍습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가슴에 다는 최는 가장 가까운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 애최의 뜻을 표현하기 위한 상장이었다.
11. 기타
-국방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주무관청인 비변사에서는 자주 사람을 보내어 변방의 경계상태를 점검해보곤 했는데 이들이 돌아와 보고했던 내용은 주로 인삼을 중심으로 한 상인들에 관한 것이었다. 중국을 오가는 역관들과 만상들에 의해 거래되는 인삼 때문에 사사로이 월경(越境)하는 자들이 많아 자연 국경의 방비가 허술하여지고 또한 국가의 세수가 감소되고 있었다.
-개성상인들의 독특한 조직(=송방): 이를 통해 장사에 필요한 정보를 다른 상인들보다 훨씬 다양하고 빠르게 얻음.
-인륜대지사는 관(冠), 혼(婚), 상(喪), 제(祭) 네 가지가 있는데 이중 상(喪)을 으뜸으로 여김.
-음관(조상의 공덕이나 아비의 은덕으로 벼슬아치에 오르는 것)으로 벼슬에 오르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렇게 오르는 경우 대개 음관출신이라는 것을 부끄러워했다.
-정상배(政商輩): 권력을 잡은 세도가의 집에 가서 눈 도장이라도 찍어 출세하려는 사람과 뇌물을 바쳐 이권을 탐하려는 사사로운 무리)들이 많음.
-권력이 있는 사람들은 연죽(煙竹: 백동을 기본으로 하고 오동과 금으로 시문한 최고의 담배)를 즐김.
-사랑방에는 항상 지필묵을 준비해 두었는데 이는 사랑방에 모여드는 선비들은 대부분 글씨와 그림에 능통한 묵객들이었기 때문이다.
-정기적으로 파견하는 사신 이외에 임시로 통고할 일이 있을 때 부정기적으로 파견하는 사신이 있었는데 이를 변무사라고 한다.
-당시 경제 단위로 인삼 한 근은 은자 25냥 이었다.
-해마다 사신들이 북경에 있는 동안 머물게 되어 있는 객관에는 임금을 가리키는 ‘궐(闕)’자를 새겨 넣은 나무패가 있었다. 이를 궐패라 하는데 이를 향해 엎드려 배례함으로써 공식적인 연경에서의 외교 행사를 시작 하였다.(=망궐례)
부를 하다가 다시 문과에 응시해 합격하여 관직에 나아감.
-신분에 따라 대신들은 금으로 정 3품까지 은으로 관찰사, 절도사 등은 옥으로 만들어 갓 정상에 달았다.
-유생들이 일반적으로 밟는 과정=국가에서 시행하는 소과에 급제하고 성균관에 들어가 공 -해마다 정원 첫 해일(亥日)에는 붉은 콩 한알씩 종이 봉지 속에 넣어 종친들에게 보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는 붉은 콩알이 귀신을 물리쳐 주는 부적 역할을 한다고 믿는 민간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다. (특히 객상들은 안전을 위해 필히 가지고 다녔다)
-관어용(官御用)도자기: 국가가 직접 담당하여 전국의 명인들을 경기도 광주에 집합 시킨 후 그곳에서 사옹원의 임무 아래 임금이 쓰거나 혹은 궁중에서 쓰는 그릇을 만들었다.
-사기장들은 대부분 한 여름에만 모여서 궁중 용품을 만들고, 나머지 한철에는 사발, 대접, 접시 등 사제품을 만들어 직접 육로로 가거나 배를 타고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산골 지방으로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팔았는데 당장 돈 없는 농가에는 외상으로 나눠주었다가 가을이 되면 곡식을 받거나 현금으로 받아서 돈을 벌었다.
-공노비들은 예로부터 전쟁의 포로나 특정 범죄자등으로 하여 국가기관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사사로이 팔거나 함부로 면천되어 자유를 얻을 수 없었다.
-사노비들은 사사로이 팔 수 있는 노예로서 이들은 노비문기라는 문서에 의해 매매되기도 하고 남에게 양여되기도 하고 상환되기도 한다. 문서가 없어지면 자유의 몸이 되었다.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학문의 심화를 위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를 유기적으로 연계시켰다.
-과거에 합격하지 않고 간단한 시험인 취재를 거쳐서 하급관리로 나아갈 수도 있었으나, 이런 경우에는 요직으로 나아가기가 어려웠다.
-민간에서는 굿이 유행하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4.12.28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