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며..
2.프레이리는 어떤 사람인가..
3.프레이리의 인간관과 세계관
4.프레이리의 교육목적과 교육사상
5.프레이리의 교사론을 읽고..
6.현교육의 비판과 바람직한 교육방향을 위한 우리의 노력
2.프레이리는 어떤 사람인가..
3.프레이리의 인간관과 세계관
4.프레이리의 교육목적과 교육사상
5.프레이리의 교사론을 읽고..
6.현교육의 비판과 바람직한 교육방향을 위한 우리의 노력
본문내용
를 할 수 엇는 상황이 이르른다. 그리고 프레이리의 사상과 같은 훌륭한 교육이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70년대 그러한 환경이 되지 못하여 실천할 수 없는 아쉬움도 남겼다. 지금의 지식위주의 교육이 아닌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실행하려면 동아리 활동이나 토론식 수업 등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것을 할 환경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결국 우리의 교육은 절대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정체성 교육으로 머물고 말 것이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문제들이 우리의 교육을 방해하고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후손이 좀더 좋은 교육을 받기 위해 지금이라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프레이리가 말하는 대화식 교육, 문제제기식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행정가, 교사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우리 모두의 역할과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에서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개방적이고 열린 교육 정책을 실천해야만 한다. 잘못된 것은 과감히 받아들여 수정하고 진보적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앞에서 말한 프레이리의 교사론과 같이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춰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좀 더 변화에 발맞춰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고 공부만 잘 하는 학생이 아니라 참된 사람으로 거듭날 수 잇도록 올바른 인성교육 또한 병행해야 할 것이다. 학부모의 역할도 중요하다. 교사와 학생이 올바르고 원만한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중간 매개자 역할을 잘 해야 하며 학생을 잘 포용할 줄 알고 안아주는 포근함을 갖춰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학생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교사나 학부모는 학생의 잠재력을 끌어내어 주고 그것이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조언해주고 방향을 제시하는 촉매제 밖에 될 수가 없다. 학생 스스로가 자신의 정체성을 정립하여 의욕적으로 생활해 나가야만 스스로에게 발전이 있을 뿐 아니라 사회에도 큰 거름이 될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이 바탕이 된다면 프레이리가 말한 민주적인 사회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이란 오로지 학생을 위해 나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생이 좀더 발전할 수 있고 바른 인간상으로 성장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것이 주변자들의 역할인 것이다. 우리의 교육이 좀 더 개정되고 포용적일 수만 있다면 우리의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는 직선 도로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 사회 또한 좀 더 발전할 수 잇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우리의 노력이 바탕이 된다면 프레이리가 말한 민주적인 사회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이란 오로지 학생을 위해 나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생이 좀더 발전할 수 있고 바른 인간상으로 성장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것이 주변자들의 역할인 것이다. 우리의 교육이 좀 더 개정되고 포용적일 수만 있다면 우리의 교육은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는 직선 도로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우리 사회 또한 좀 더 발전할 수 잇는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