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료
2. 훈민정음 체계
3.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4. 한자어 표기법
5. 음운
6. 문법
7. 어휘
2. 훈민정음 체계
3.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4. 한자어 표기법
5. 음운
6. 문법
7. 어휘
본문내용
: '-하'와 '-아'
⑤ 대명사의 곡용 : 1인칭대명사 '나' - '내'(주격:거성, 속격:평성)
2인칭대명사 '너' - '네'(주격: 상성, 속격:평성),
미지칭 '누' - '뉘(주격:거성, 속격:상성, 대격:눌, 누를 등)
⑥ 관형사의 곡용 : '새'(新), '다'(生)
3. 活用
(1) 활용 어간
1) 自動的 交替
① 'ㅿ', 'ㅸ'을 가진 어간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ㅅ'과 'ㅂ' 교체
② '가, 가, 가 : 어간의 말모음은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 앞에서는 모음 연접 의 규칙에 의하여 변함
2) 非自動的 交替
① '듣-/들-'(聞), '묻-/물-'(問)
② '시므-'(植) : 시므고, 시므디, 심거, 심굼 등
③ '다링-'(異) : 다링거늘, 다링샤, 달아, 달옴 등
④ '모링-'((不知) : 모링거늘, 모링고, 몰라, 몰롤 등
⑤ '빛힝-'(碎) : 빛힝디, 빛아, 빛온 등
(2) 활용 어미
1) 語末 語尾 : 동명사 어미(-ㄴ, -ㄹ, -ㅁ, -기)
2) 先語末 語尾
① 意圖法('-오-'),
② 敬語法(겸양법:-싶-, 존경법:-시-, 공손법:-이-)
③ 詩想(현재:-다-, 과거:-거-, -아/-어, -더-, 미래: -리-)
④ 感歎法('-도다, -도소니, -도소이다' 등의 '-도-', '-돗-' + 계사 뒤 : '-로, -롯-'으로 교체)
3) 선어말 어미 배열 순서
'힝힝더시니', '힝힝힝시니이다', '힝힝힝리이다', '힝리로소이다' 등
: 겸양법-과거-존경법-현재-의도법-미래-감탄법-공손법
4) 副動詞의 어미
① 전후 나열 : -고
② 동시 병행 : -며(동명사 어미 '-ㅁ'과 첨사 '여'의 결합)
③ 주동사의 동작보다 선행한 동작의 양태를 나타냄 : '-아/-어'
④ 원인을 나타낸 어미 : -니
⑤ 조건을 나타낸 어미 : -면, -든/딪, -ㄴ대, -란딪
⑥ 양보를 나타낸 어미 : -나, -딪
⑦ 목적을 나타낸 어미 : -라
⑧ 의향을 나타낸 어미 : '-려'는 선어말 어미 '-오-'를 수반
⑨ 希求를 나타낸 어미 : '-고져', '-아져', '-과뎌', '-과딪여', '-기고'
⑩ 한도를 나타낸 어미 : '-도록-
⑪ 정도의 더해감을 나타낸 어미 : '-ㄹ싶록', '-디옷'
⑫ 두 동작이 곧 이어 행해짐을 나타낸 어미 : '-라', '-ㄴ다마다'
⑬ 어미 '-긔/까'는 '-게'
⑭ 뒤에 부정적 표현을 수반한 어미 : '-디, -딪, -ㄴ동, -드란'
5) 定動詞의 어미
① 설명법 : '-다', '-라'
② 명령법 : '-쇼셔, 아쏀, -라'
③ 의문법 :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④ 감탄법 : '-고나'
6) 繫辭의 활용
계사의 형태는 표기상으로는 주격과 같았으나 매우 특수한 자질을 가지고 있 었다.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게', '-고' 등의 'ㄱ'을 'ㅇ'으로, 선어말 어미 '-더-', '-도-', 어말 어미 '-다' 등의 'ㄷ'을 'ㄹ'로 교체시켰던 것이다.
4. 特殊助詞
특수 조사 '게, 그에, 거긔, 손딪' 등은 속격 '-잎'를 지배하였으며 평칭의 여격을 나타내었다. 主題化의 특수 조사 'ㄴ'은 기원적으로는 삼인칭 대명사의 속격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명사에서 기원한 특수조사로 '-까장'이 있었고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두고'가 있었다.
5. 添詞
强勢의 'ㄱ', 'ㅇ'과 疑問의 '가, 고'가 있었다. 强勢의 첨사 '힝'는 고대의 '沙'에 소급하는 것이다. 체언에서는 i, 'ㄹ'뒤에 직접 연결되었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되었다. 강세의 첨사에는 '곳'이 있었는데 모음과 'ㄹ' 뒤에서는 '옷'이 되었다. '곰'은 부사나 부동사에 붙어서는 강세를 나타내었고 명사에 붙어서는 현대어의 '씩'과 같은 뜻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중세 특유의 첨사에 열거를 뜻하는 '여'가 있었다.
6. 統辭
1) 종속절의 변형
① 종속절의 주어가 속격형으로 변형
② 인칭대명사의 속격형이 '내잎, 네의'
2) 集團 曲用
① 한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짐
② '-왜/-괘'(주격형), '-와링/-과링'(대격형)
③ 주격형 지배 : '까힝-'(如), '아-'(値)
④ 부동사 지배 : '어렵-'(難)은 '-디'를
⑤ 순전히 통사적인 기능만을 맡고 있는 형식 명사
㉠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씨, 아, 아'등은 '시, 싶, 싶'로도 표기되며 곡 용형들이다.
㉡ '-ㄴ',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이, 딪, 딪로, 딪' 등 : 이들 형식 명사 의 어간은 각각 '싶', '딪'로서 주격 조사 앞에서 모음 '·'가 탈락
⑥ 동명사들 중에서 명사적 용법은 거의 오로지 '-ㅁ' 에 의해서 충당
⑦ 문장의 서술어는 체언이나 동명사에 첨사가 연결된 것이 많이 있다.
⑧ 漢文으로부터의 영향
⑨ 單文은 거의 없고 複合文과 合成文이 뒤얽힌 복잡한 구조
- 事件 또는 思考 속의 한 단락은 한 문장으로 표현함이 원칙
第七節 語彙
1) 漢字語의 침투 :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의미의 변화를 겪음
간난(艱難)-가난, 쥼싶(衆生)-(뜻:獸, 발음:즘싶)
2) 종교 내지 시대 사상의 영향 : 佛敎, 儒敎의 영향
3) 순수 국어 단어의 격퇴 : 슈룹(雨 ), 온(百), 즈믄(千)
4) 어휘의 개신
힝다가(萬若)-만일에 / 반딪기(必)-반딪시, 반드시 / 밑까(作)-밑딪, 밑딪
5) 모음의 대립 : 의미의 미묘한 차이, 陽母音과 陰母音의 양계열의 대립
칭칭힝-, 치치힝-(密) : 하링-, 프르-(靑) : 보딪람-, 부드럼-(柔) 등
6) 平音과 된소리의 대립이 의미의 미묘한 파이
7) 어휘에 의한 경어법
㉠ 존경법 : '이시-'(有)에 대한 '겨시', '먹-'(食)에 대한 '좌시-', '자-'(寢)에 대한 '자시-'를 사용
㉡ 공손법 : '니르-'(謂)에 대한 '싶-'과 '열짜-'(奏) / '보-'(見)에 대한 '뵈-' (謁) 또는 '뵈힝-' / '주-'(與)에 대한 '드리-'(獻呈), '받-'(奉), '받짜-'(奉獻) 등
8) 차용어 : 주로 16세기의 번역박통사, 훈몽자회 등에 많이 기록되어 있으며 服飾, 布帛, 器用, 食物 등 집중(중국 근대음)
⑤ 대명사의 곡용 : 1인칭대명사 '나' - '내'(주격:거성, 속격:평성)
2인칭대명사 '너' - '네'(주격: 상성, 속격:평성),
미지칭 '누' - '뉘(주격:거성, 속격:상성, 대격:눌, 누를 등)
⑥ 관형사의 곡용 : '새'(新), '다'(生)
3. 活用
(1) 활용 어간
1) 自動的 交替
① 'ㅿ', 'ㅸ'을 가진 어간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ㅅ'과 'ㅂ' 교체
② '가, 가, 가 : 어간의 말모음은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 앞에서는 모음 연접 의 규칙에 의하여 변함
2) 非自動的 交替
① '듣-/들-'(聞), '묻-/물-'(問)
② '시므-'(植) : 시므고, 시므디, 심거, 심굼 등
③ '다링-'(異) : 다링거늘, 다링샤, 달아, 달옴 등
④ '모링-'((不知) : 모링거늘, 모링고, 몰라, 몰롤 등
⑤ '빛힝-'(碎) : 빛힝디, 빛아, 빛온 등
(2) 활용 어미
1) 語末 語尾 : 동명사 어미(-ㄴ, -ㄹ, -ㅁ, -기)
2) 先語末 語尾
① 意圖法('-오-'),
② 敬語法(겸양법:-싶-, 존경법:-시-, 공손법:-이-)
③ 詩想(현재:-다-, 과거:-거-, -아/-어, -더-, 미래: -리-)
④ 感歎法('-도다, -도소니, -도소이다' 등의 '-도-', '-돗-' + 계사 뒤 : '-로, -롯-'으로 교체)
3) 선어말 어미 배열 순서
'힝힝더시니', '힝힝힝시니이다', '힝힝힝리이다', '힝리로소이다' 등
: 겸양법-과거-존경법-현재-의도법-미래-감탄법-공손법
4) 副動詞의 어미
① 전후 나열 : -고
② 동시 병행 : -며(동명사 어미 '-ㅁ'과 첨사 '여'의 결합)
③ 주동사의 동작보다 선행한 동작의 양태를 나타냄 : '-아/-어'
④ 원인을 나타낸 어미 : -니
⑤ 조건을 나타낸 어미 : -면, -든/딪, -ㄴ대, -란딪
⑥ 양보를 나타낸 어미 : -나, -딪
⑦ 목적을 나타낸 어미 : -라
⑧ 의향을 나타낸 어미 : '-려'는 선어말 어미 '-오-'를 수반
⑨ 希求를 나타낸 어미 : '-고져', '-아져', '-과뎌', '-과딪여', '-기고'
⑩ 한도를 나타낸 어미 : '-도록-
⑪ 정도의 더해감을 나타낸 어미 : '-ㄹ싶록', '-디옷'
⑫ 두 동작이 곧 이어 행해짐을 나타낸 어미 : '-라', '-ㄴ다마다'
⑬ 어미 '-긔/까'는 '-게'
⑭ 뒤에 부정적 표현을 수반한 어미 : '-디, -딪, -ㄴ동, -드란'
5) 定動詞의 어미
① 설명법 : '-다', '-라'
② 명령법 : '-쇼셔, 아쏀, -라'
③ 의문법 :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④ 감탄법 : '-고나'
6) 繫辭의 활용
계사의 형태는 표기상으로는 주격과 같았으나 매우 특수한 자질을 가지고 있 었다.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게', '-고' 등의 'ㄱ'을 'ㅇ'으로, 선어말 어미 '-더-', '-도-', 어말 어미 '-다' 등의 'ㄷ'을 'ㄹ'로 교체시켰던 것이다.
4. 特殊助詞
특수 조사 '게, 그에, 거긔, 손딪' 등은 속격 '-잎'를 지배하였으며 평칭의 여격을 나타내었다. 主題化의 특수 조사 'ㄴ'은 기원적으로는 삼인칭 대명사의 속격형인 것으로 추정된다. 명사에서 기원한 특수조사로 '-까장'이 있었고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두고'가 있었다.
5. 添詞
强勢의 'ㄱ', 'ㅇ'과 疑問의 '가, 고'가 있었다. 强勢의 첨사 '힝'는 고대의 '沙'에 소급하는 것이다. 체언에서는 i, 'ㄹ'뒤에 직접 연결되었고 용언에서는 선어말 어미 '-거-', 어말 어미 '-아, -늘, -고, -게' 등에 연결되었다. 강세의 첨사에는 '곳'이 있었는데 모음과 'ㄹ' 뒤에서는 '옷'이 되었다. '곰'은 부사나 부동사에 붙어서는 강세를 나타내었고 명사에 붙어서는 현대어의 '씩'과 같은 뜻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중세 특유의 첨사에 열거를 뜻하는 '여'가 있었다.
6. 統辭
1) 종속절의 변형
① 종속절의 주어가 속격형으로 변형
② 인칭대명사의 속격형이 '내잎, 네의'
2) 集團 曲用
① 한문장에서 동격으로 사용된 명사들은 마지막 것만이 필요한 조사를 가짐
② '-왜/-괘'(주격형), '-와링/-과링'(대격형)
③ 주격형 지배 : '까힝-'(如), '아-'(値)
④ 부동사 지배 : '어렵-'(難)은 '-디'를
⑤ 순전히 통사적인 기능만을 맡고 있는 형식 명사
㉠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씨, 아, 아'등은 '시, 싶, 싶'로도 표기되며 곡 용형들이다.
㉡ '-ㄴ', '-ㄹ' 동명사 뒤에 사용된 '이, 딪, 딪로, 딪' 등 : 이들 형식 명사 의 어간은 각각 '싶', '딪'로서 주격 조사 앞에서 모음 '·'가 탈락
⑥ 동명사들 중에서 명사적 용법은 거의 오로지 '-ㅁ' 에 의해서 충당
⑦ 문장의 서술어는 체언이나 동명사에 첨사가 연결된 것이 많이 있다.
⑧ 漢文으로부터의 영향
⑨ 單文은 거의 없고 複合文과 合成文이 뒤얽힌 복잡한 구조
- 事件 또는 思考 속의 한 단락은 한 문장으로 표현함이 원칙
第七節 語彙
1) 漢字語의 침투 :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의미의 변화를 겪음
간난(艱難)-가난, 쥼싶(衆生)-(뜻:獸, 발음:즘싶)
2) 종교 내지 시대 사상의 영향 : 佛敎, 儒敎의 영향
3) 순수 국어 단어의 격퇴 : 슈룹(雨 ), 온(百), 즈믄(千)
4) 어휘의 개신
힝다가(萬若)-만일에 / 반딪기(必)-반딪시, 반드시 / 밑까(作)-밑딪, 밑딪
5) 모음의 대립 : 의미의 미묘한 차이, 陽母音과 陰母音의 양계열의 대립
칭칭힝-, 치치힝-(密) : 하링-, 프르-(靑) : 보딪람-, 부드럼-(柔) 등
6) 平音과 된소리의 대립이 의미의 미묘한 파이
7) 어휘에 의한 경어법
㉠ 존경법 : '이시-'(有)에 대한 '겨시', '먹-'(食)에 대한 '좌시-', '자-'(寢)에 대한 '자시-'를 사용
㉡ 공손법 : '니르-'(謂)에 대한 '싶-'과 '열짜-'(奏) / '보-'(見)에 대한 '뵈-' (謁) 또는 '뵈힝-' / '주-'(與)에 대한 '드리-'(獻呈), '받-'(奉), '받짜-'(奉獻) 등
8) 차용어 : 주로 16세기의 번역박통사, 훈몽자회 등에 많이 기록되어 있으며 服飾, 布帛, 器用, 食物 등 집중(중국 근대음)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 교육과 언어 제 연구 영역과의 관련성에 관해 설명
[자연대]-고대와 중세과학연구
현대국어의 중의구문 연구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연구
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특징 및 소설 동의보감 학습 지도안 연구수업자료
조선후기 신분변동에 관한 연구
14세기 페스트로 인한 중세 유럽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방송매체와 국어 맞춤법의 관계성 연구
국어 유의어의 구조 의미론적 연구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주세형) 논문 정리 요약
이조 후기 궁중 언어의 연구
중세 이탈리아 문서전통에 있어서의 법적 공신력과 기록물 관리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 국어 3학년 말하기 듣기 교과서 분석 및 교재연구
파리바게트 마케팅케이스 연구 : (파리바게트 기업분석,성공요인/ 파리바게트 마케팅 4P,ST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