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의 동향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국제비정부기구(Non-Governmental Organization)

Ⅱ본론
2.국제사회 NGO의 동향
3. 국제사회에서의 NGO의 역할
4. 국제사회에서의 NGO의 활동

Ⅲ.결론

본문내용

상하였다.
1) 설립동기
퍼그워시 회의의 목적은 무력분쟁의 위험을 줄이고 지구적 차원의 문제에 대해 협 력하여 해결책을 찾는 데 관심이 있는 전 세계의 과학자와 학자들이 함께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정부나 기관의 대표가 아니라 개인으로서 사적인 만남을 통해 퍼그워시 참석자들은 동서간 그리고 남북간의 공식적 대화와 협상에서는 볼 수 없는 솔직성, 연속성 및 융통성이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군비통제, 군축 및 긴장완화에 대한 대안 을 찾고 의견을 교환한다.
2) 주요실적
① 핵실험 금지조약 - 퍼그워시가 지상과 지하에서의 핵실험에 대해서, 특히 검증과 검사방법에 대해서 진행한 토의 내용은 1963년 핵실험부분금지조약의 체결과정에 서 유용하였다.
② 핵무기비확산조약(NPT) - 퍼그워시 회의에서 핵보유국과 핵비보유국들의 의무사 항을 규정한 주요 조항이 만들어졌으며, 핵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사항과 함께 조 약 당사국들의 조약이행 여부를 보장하기 위한 통제와 보장조치 문제와 같은 기술 적, 정치적 문제가 다루어졌다. 1993년 북한 NPT 탈퇴를 반대했고 복귀를 성사시 켰다.
③ 비핵지대 창설 지지
④ 전략무기 제한, 세균무기 금지협약
3. 국경없는 의사회 (Medecins Sans Faontieres, Doctors Without Borders)
199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국제 민간 의료 구호단체로서 전쟁, 기아, 질병, 자연재 해 등으로 고통받는 세계지역의 주민 구호를 주요 임무로 하고 있다.
1) 설립
1968년 나이지리아 비아프라 내전에 파견된 프랑스 적십자사 소속 베르나르 쿠시 네(Bernard Kouchner)를 비롯한 의사와 언론인 12명이 1971년 파리에서 ‘중립공평 자원’의 3대 원칙과 ‘정치종교경제적 권력으로부터의 자유’라는 기치 아래, 전쟁, 기 아, 질병, 자연 재해 등으로 고통 받는 세계 각 지역의 주민들을 구호하기 위해 설립 한 단체이다.
2) 활동
① 난민 구호 - 1972년 지진이 발생한 니카라과에 들어가 구호활동을 벌인 것을 시 초로 1975년 베트남 전쟁, 1990년 걸프전쟁 때는 난민캠프를 설치하여 7만여명의 난민을 구호하기도 하였다.
② 의료활동 - 소말리아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나이지리아콩코에티오피아코소보동 티모르 등 전쟁재해지역, 그리고 1999년에는 사상 최대의 지진 피해를 입은 터키 와 타이완 등지에서 의료활동을 벌였다.
③ 이라크의 화학무기 살포사실을 전세계에 알리고, 1995년 르완다에서 양민 대학살 사건을 폭로하였다.
Ⅲ.결론
911테러때를 잠시 생각해 보면, 전쟁의 위협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국가와 NGO의 대응 방식은 다르다. 힘에 의한 평화를 주창해 온 미국의 부시 행정부는 다른 국가들에게 줄서기를 강요하고 있고,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많은 국가들은 ‘반테러국제연합’에 동참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세계 각지의 NGO들은 테러와 보복 전쟁이라는 폭력행사에 규탄의 목소리를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국 정부가 미국의 보복 전쟁에 지원하는 것을 저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01년 10월 13일에는 끔찍한 테러를 당한 뉴욕에서부터 아프간 폭격으로 바쁘게 움직이는 캘리포니아 미 공군기지 앞까지, 서울의 명동성당에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아르헨티나의 발리로체까지 전세계 85개 도시에서 동시 다발적인 반전 평화 시위가 진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NGO의 노력이 국가주도의 ‘반테러국제연합’에 대응할만한 ‘반전평화국제연대’로까지 확대될 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국내적으로는 반전 평화 여론을 확산시켜나가고, 국제적으로는 국경을 넘어 연대를 확대시켜나가야 하는 것이 국내외 많은 NGO들의 과제이자 도전인 것이다.
비정부기구들이 국제관계에서 당당한 주체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 오늘날,
인류애가 강조되면서 민족, 국가, 종교 등의 이유로 발생하는 분쟁에서 초래되는 난민문제들을 해결하기위해 NGO들간의 국제적 연대의 필요가 절실하다.
[참고문헌]
김동춘 등, 「NGO란 무엇인가」, 서울 : 아르케, 2000.
주성수, 서영진 공저,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 서울 :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0.
함께하는 시민행동 엮음, 「세상을 바꾸는 세계의 시민단체 」, 서울 : 홍익미
자유기업원, NGO모니터 No. 33, 2005년 2월
[Internet Site]
네이버 www.NAVER.co.kr
퍼그워시 www.ytc.pe.kr/pugwash/cover.html
월간 지구촌 www.magazinegv.com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11.07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9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