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 능력 수준에 따른 개념 : 학습 지진/학습부진
2. 발생 원천에 따른 개념 : 학습 장애/학습부진
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개념 : 학습 저성취/학습부진
2. 발생 원천에 따른 개념 : 학습 장애/학습부진
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개념 : 학습 저성취/학습부진
본문내용
또래 수용, 귀인성향 등에서 비슷한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두 집단의 차이점은 학습장애 집단은 장애의 개인 내적 요인, 기본적 심리 과정(에, 지각, 정보처리, 기억, 읽기)에 더 중점을 두고 그것을 밝히려는 노력과 그에 대응하는 처치를 주고자 하는데 반해, 학습부진 집단에서는 개인 외적 요인에 더 중점을 두어,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요인, 학습습관의 측면에 더 강조점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습장애 집단이나 학습부진 집단 모두 각기 다른 원인에 의해 학습의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한가지 중요한 것은 이러한 원인 분석이 그들의 학습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학습부진 집단은 부진의 원인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습관이나 태도 등으로 보기 때문에 학습장애 집단보다 학습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부진아란 정상적인 학교 학습을 할 수 있는 잠재 능력이 있으면서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학습습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상에 설정된 교육목표에 비추어 볼 때 최저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를 말한다.
이와 같이 학습장애 집단이나 학습부진 집단 모두 각기 다른 원인에 의해 학습의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한가지 중요한 것은 이러한 원인 분석이 그들의 학습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학습부진 집단은 부진의 원인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습관이나 태도 등으로 보기 때문에 학습장애 집단보다 학습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부진아란 정상적인 학교 학습을 할 수 있는 잠재 능력이 있으면서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학습습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상에 설정된 교육목표에 비추어 볼 때 최저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를 말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지적 특성과 발달
아동들의 부적응 행동
학습장에와 그에 따른 지도 방법
학업 문제의 이해와 지도
기초기본학력의 의미, 기초기본학력의 중요성과 기초기본학력 지도계획, 기초기본학력 지도사...
고등학교 수학Ⅰ 교과(수학교육) 특징, 고등학교 수학Ⅰ 교과(수학교육) 내용체계와 영역별내용...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선택중심교육...
수학과(수학교육)의 성격과 목표,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수준별교육과정, 초등학교 수...
Keller의 ARCS 모델의 장점과 단점, 구성요소에 따른 전략, 수업설계
영어과교육(영어교육) 활동중심학습,과제중심학습(과업중심학습), 영어과교육(영어교육) 침묵...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목적, 영어과교육과정(영어교육과정)의 중점, 영어과교육과...
교과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방안 - 영어교과를 중심으로 한 선행연구 분석
아동상담-학교부적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