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부진아의 진단과 이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일반 능력 수준에 따른 개념 : 학습 지진/학습부진

2. 발생 원천에 따른 개념 : 학습 장애/학습부진

3.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개념 : 학습 저성취/학습부진

본문내용

또래 수용, 귀인성향 등에서 비슷한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두 집단의 차이점은 학습장애 집단은 장애의 개인 내적 요인, 기본적 심리 과정(에, 지각, 정보처리, 기억, 읽기)에 더 중점을 두고 그것을 밝히려는 노력과 그에 대응하는 처치를 주고자 하는데 반해, 학습부진 집단에서는 개인 외적 요인에 더 중점을 두어,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요인, 학습습관의 측면에 더 강조점이 주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학습장애 집단이나 학습부진 집단 모두 각기 다른 원인에 의해 학습의 문제를 가지고 있지만, 한가지 중요한 것은 이러한 원인 분석이 그들의 학습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학습부진 집단은 부진의 원인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습관이나 태도 등으로 보기 때문에 학습장애 집단보다 학습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습부진아란 정상적인 학교 학습을 할 수 있는 잠재 능력이 있으면서도 환경요인이나, 그것의 영향을 받은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학습습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교육과정상에 설정된 교육목표에 비추어 볼 때 최저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습자’를 말한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